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티벳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나타난 불교사의 과제 : 나란다사 복원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정성준 韓國佛敎硏究院 2014 불교연구 Vol.40 No.-

        When the Buddhism was firstly adopted to Tibet the tradition of Indian 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was flourished simultaneously but under the rule of the King Tri song de chen Indian Buddhism was accredited as unique and orthodox Buddhism in Tibet. Consequently the Tibetan letter and grammatical rule was invented for the purpose of interpreting Sanskrit scripture of Indian Buddhism and the monastic system was established in Samye Monastery based on the Indian Buddhist monastery like Nalanda Monastic University. Tibetan Buddhism has succeeded the Indian Buddhism which is vanished in Indian peninsula today. Tibetan Buddhism show some unique religious factors like unification of Bon po, sectarian Buddhism and the political and religious system of reincarnation of Buddhas especially like Dalai Lama. These specific aspects of Tibetan Buddhism comes from Tantric Buddhism originated from Indian Buddhism but Tibetan Buddhism possesses many factors that enable the reestablishment of Nalanda Buddhist Monastery which can represent a valuable spirit of Buddhism. 티벳불교는 불교가 처음 도입될 당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의 양계통이 동시에 유입되어 유행하였다. 티송데첸왕 치세에 이루어진 삼예사의 논쟁이후 티벳은 인도불교를 수용하면서 산스끄리뜨 불교경전을 번역하기 위해 티벳문자와 문법, 번역규칙을 마련하였다. 티벳경전이 인도원어 경전의 원의를 가장 충실하게 계승하게 된 내력은 이와 같다. 또한 티벳사원은 나란다를 비롯한 인도승원의 체제를 계승하여 설립되었다. 티벳불교는 사원체제를 통해 문헌과 사원조직의 양면에서 명실상부하게 인도불교를 계승하였다고 볼 수 있다. 티벳불교는 인도불교의 전승 이후 종파불교가 형성되고 토속종교인 뵌교와의 습합과 달라이라마의 정치제도 등 티벳불교 고유의 특수성을 보이지만 인도불교와의 관계에서 볼 때 인도에서 사라진 나란다사이외의 전통사원을 복원할 수 있는 가장 많은 단서를 내포하고 있다. 티벳불교는 테라바다를 비롯해 대승불교의 전통으로서 인도불교 전체의 보편성을 역사적으로 계승하고, 동시에 티벳의 토양과 정치사회, 문화에서 보이는 특수성을 발전시키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비로자나경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次第法疏)의 밀교사적 의미 고찰

        鄭盛準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The Mahāvairocana Sūtra(大日經) was translated into Chinese by Śubhakara-siṃha(善無畏), a master from mid-India, and brought about a lot of changes to Chinese Buddhism. At that time Esoteric Buddhism in China was prevailed by incantational Mantra which purpose was mainly to fulfill the worldly desire for practitioner, but the Mahāvairocana Sūtra was quiet different from those early Esoteric Buddhism since the purpose and foundation of it was to accomplish Buddhahood. The Mahāvairocana Sūtra is supposed to flow into Korean peninsula and expected to provoke similar situations that the Chinese Buddhism had already experienced. Today it is difficult to find any philological materials concerned with the situations except the Commentary of Vairocana-Sūtra's Rites(大毘盧遮那經次第法疏), whose author is His Ven. Bulgasaui(不可思議), a Monk from Silla's Yeongmyosa Temple(零妙寺). Refer to the inscription's record of Galhang Temple(葛項寺)'s stone pagoda and historical record of Samgukyusa(三國遺事) it is possible to draw a lineage that initiated by Master Seungjeon(勝詮法師), which handed down to Master Unjeok(言寂法師) and Bulgasaui, so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Bulgasaui were related to the traditions of Euisang(義湘)s Hwaom(華嚴)’ order. One of the clues to make this assumption clear is that the doctrinal foundation of Hwaom and Esoteric Buddhism is same as those are dealt with ultimate truth of Dharma's realm(法界) and Dharma's Body(法身) beyond history and time, especially presented by Vairocana Buddha(毘盧遮那如來). Considering the doctrinal foundations of Silla's Buddhism before the inflow of Mahāvairocana Sūtra it is found some doctrinal similarities to Esoteric Buddhism. For example Wonhyo(元曉)'s Integrated Buddhism(圓融佛敎) unites various doctrines of Theravada and Mahāyāna Buddhism into the thought of One Mind(一心), and in Hwaom school it is dealt the Vairocana Buddha as an emanation of universal truth. By views of practices and rites the Abhiṣetana's Light Mantra(大灌頂光眞言) in Wonhyo's Yusimanlakdo(遊心安樂道) is deemed as a development of Silla's Esoteric Buddhism since those believes of Hwaom, Pure Land(淨土), and Avalokiteśvara(觀音) were unified into a system of Vairocana Buddha. Especially, by the existence of Abhiṣetana's Light Mantra it is possible to expect a functional change of Mantras in Silla Buddhism to develop its role of fulfilling worldly desire to an advanced purpose of accomplishing ultimate enlightment. The Avalokiteśvara, a Boddhisattva said in the Commentary of Vairocana-Sūtra's Rite is deemed as a part of Vairocana Buddha's Incarnation(神變). The idea of the practice in the commentary is for a practitioner to accomplish the enlightment of Vairocana Buddha and to carry out those Avalokiteśvara's merciful behaviors. This assumption make it is possible to draw a doctrinal and practitional continuance between Yusimanlakdo and the Commentary of Vairocana-Sūtra's Rite. The Abhiṣetana's Light Mantra, now known as Light Mantra(光明眞言), is classified into a Kṣitigarbha's belief(地藏信仰) system, but the Yusimanlakdo and the Commentary of Vairocana-Sūtra's Rite shows that the Mantra actually belongs to the Vairocana Buddha's system. 신라스님 불가사의는 인도 선무외삼장에게 수학하여 『대비로자나경차제법소』를 남겼고, 이것은 오늘날 드물게 전해지는 신라의 밀교저술 가운데 하나이다. 불가사의 스님은 영묘사출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영묘사는 의상의 화엄계 사찰이기 때문에 비로자나여래를 중심으로 한 화엄과 밀교의 친근성이 불가사의의 교학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원효의 『유심안락도』에는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서 관음보살의 영험에 의지한 전통적 신앙체계를 보이지만, 문헌에 담긴 대관정광진언의 존재는 악도에 떨어진 중생들을 구원하기 위해 비로자나여래의 가피에 의지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진언을 염송한 사실을 보여준다. 『대비로자나경차제법소』에는 관음보살이 비로자나여래의 신변의 일부로 표현되고 있으며, 수행자는 법신여래가 되어 관음보살과 같은 중생구호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수행이념이 설해진다. 『대일경』에는 대승불교의 불보살들이 태장계만다라에 수용된 통일된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융합과 통일의 사유 신라불교의 원융불교와 쉽게 결합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불교의 관음신앙과 지장신앙은 서로 다른 신앙체제로 인식되지만, 『대비로자나경차제법소』의 연구는 신라시대부터 대보살에 대한 신앙이 비로자나여래를 중심으로 중기밀교의 향상된 세계관과 결합한 정황을 전해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