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돌봄 관련 학과로 진학한 만학도 대학생들의 돌봄 재형상화: 다시-기억하기를 통한 자기돌봄과 함께돌봄

        정선영 ( Jung Sun-young ),이진희 ( Lee Jin-h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4 아동교육 Vol.33 No.2

        이 연구는 돌봄 관련 학과를 선택한 만학도 대학생 6명이 자기 삶 속에서의 돌봄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개별면담 및 집단면담에 참여하면서 다시-기억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는 과정을 통하여 돌봄이 어떻게 새롭게 재형상화되는지에도 주목하였다. 연구 초기에 잘 기억나지 않던 돌봄의 얼굴은 개인적, 도덕적, 정서적 영역에 머물렀으며 역설적으로 그 결핍과 불평등이 남긴 상처의 흔적으로 가장 생생하게 기억되었다. 그러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참여자들은 잊고 있던 돌봄들을 기억해 내었고 돌봄의 재형상화를 통하여 돌봄이 우리의 삶과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 곳곳에 분포되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자기돌봄과 함께돌봄의 얽힘 속에서 돌봄의 결핍을 경험하게 했던 이들과 화해하고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면서, 돌봄을 주고받는 관계를 인간 및 인간-이상의 존재들로 확장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성장 중심 사회에서 돌봄 중심 사회로의 변화를 위한 정치적 제도, 돌봄과 일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노동환경의 변화, 시민들의 돌봄 가치 및 실천 공유, 다양한 돌봄공동체 실험을 통한 함께-되기, 함께-만들기의 돌봄 문화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at illuminating how six elderly students who chose a care-related major had experienced and perceived care in their lives. It also paid attention to their reconfigurations of care by re-memebering and discussing care together in the process of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The figures of care were not remembered easily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often remained in the personal, moral, and emotional realms, and paradoxically remembered most vividly by its lack and inequality. However, as the research proceeded, the participants began to remember forgotten cares they had experienced, and realized care has been distributed in our lives and the world we inhabit through their reconfigured notions of care. In the entanglements of self-care and caring-with, they became more empathetic to those who did not provide needed care to them, healed their wounded scars of the past, and extended caring relationships to human and more-than-human existences.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building becoming-with and making-with cultures along with reforms in political structures to shift its gear from development-oriented society to care-oriented one, changes to harmonize care and labor in the workplace, citizens’ sharing of care values and practices, and various experiments of caring community.

      • KCI등재

        방과후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및 아동과 가구의 특성: 방과후 서비스의 이용유형과 이용 서비스 유형의 개수를 중심으로

        정선영 ( Sun-young Ju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3

        본 연구는 방과후 서비스의 이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개인 및 가구의 특성, 지역사회의 특성, 이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의 초1패널 3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개인 및 가구의 특성은 개별 방과후 서비스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여자아동보다는 남자아동일 때,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일 때, 저소득가구일 때, 어머니가 취업상태일 때이용하는 방과후 서비스 유형의 개수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의 사교육 참여율은 아동 개인의 사교육 이용이 아니라 이용하고 있는 전체 방과후 서비스 유형의 개수와 방과후 학교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학력과 지역사회 사교육 참여율의 상호작용 효과는 이용하는 방과후 서비스의 개수와 방과후 학교 이용여부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개입과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dividual, household,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among these which explain the use of after-school services. For this, it analyzed data from the 1st grade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which explain the use of the after-school services differed by the type of the service. Second, being a boy, having a mother whose educational level is lower than or equal to high school graduate, being from a low-income family, or having a working mother lowered the number of types of after-school services in use. Third, the community participation rate in private after-school program affected the use of after-school program implemented in the school and the number of after-school services in use.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 community participation rate in private after-school program were found in the use of after-school program implemented in the school and the number of after-school services in use.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생활스트레스와 수퍼바이저와의 정서적 유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Sun Young Jung),이연호(Yun Ho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3

        본 연구는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생활스트레스와 수퍼바이저와의 정서적 유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는 2012년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과정에 참여한 전체 수련생 346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와 정서적 유대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산분석한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정서적 유대에 따른 자기효능감에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학적 특성, 생활스트레스 및 생활스트레스의 하위변수, 정서적 유대를 독립변수로 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생활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하위 변수 중에서는 가치관문제 스트레스와 일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리고 정서적 유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증진되었다. 따라서 수련생 스스로가 일과 생활에 대한 균형감을찾고 자신의 가치관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자기점검과정이 필요하며, 수련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수퍼바이저와의 정서적 유대가 요구된다. The research aims to disclose the effects of the daily stress,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trainee on the self-efficacy for the preliminar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under being trained. For this purposes, the survey work accommodated 346 respondents from May 2012to June 2012,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program organiz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pondents were severely suffering from the various types of daily stress which would affect their self-efficacy in work.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elf-efficacy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daily stress as well as in the level of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The ANOVA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e above as well. The work went on the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on the various 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family issues, future work, values, jobs, and peer group stress. Among others, the variables of job and value related daily stress significantly lowered the degree of self-efficacy.

      • KCI등재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정선영(Jung, Sun-Young),이은경(Lee, Eun Kyung),김보혜(Kim, Bo Hye),박진화(Park, Jin-Hwa),한민경(Han, Min Kyoung),김인경(Kim, In Kyu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11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death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365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s and dea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Fear of Death and Dying Scale (FODS)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 death. Result: The mean of the FODS score was 2.63 out of 4, so the participants had a slightly negative attitude toward dea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religion, religion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experience of parents death, experience of friends death, and overall FODS score. Among the four subscales of overall FODS, the score of the fear of death of sel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nd who experienced patients death in the intensive care unit compared to the emergency room.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educational programs to change the attitude toward death are required before clinical practice. Programs need to consider nursing students gender and religion, and give opportunity to share experiences and feelings about death of family or friend. In addi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simulators is advised in the need for simulation training.

      • KCI등재

        슈퍼비전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이 수련중인 예비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선영(Jung, Sun-Young),이연호(Lee, Yun-H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는 슈퍼비전의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이 수련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예비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론적, 정책적 함의의 제시를 목적으로 2012년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에 참여한 수련생 346명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수련기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와 임상수련형태, 수련 전 정신보건영역 근무경험 유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슈퍼비전 구조 다양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에서는 개별과 집단수퍼비젼을 병행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슈퍼비전 형식의 다양성에서는 슈퍼비전 제공방법이 다양할수록 자기효능감이 제고되었다. 셋째, 슈퍼비전 기능에 따른 자기효능감 차이는 행정적, 교육적, 그리고 지지적 슈퍼비전을 평균이상으로 제공받는 수련생들의 자기효능감이 그 이하로 제공받는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슈퍼비전 형태와 형식, 그리고 슈퍼비전 기능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research attempts to disclose the factors of promotion of self-efficacy for preliminar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supervision would influence the degree of self efficacy. The study asked 346 those prep-workers who have participated the training program organiz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2012. The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elf-efficacy is in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s of training agencies. The research also indicates that the co-training program of both individual and group supervision together promotes the self-efficacy most.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the educational supervision and the supportive supervision together have greatly improved the self-efficacy of trainee. Fi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being specified confirm that those explanatory variables, the degree of diversity in structure and functions of supervision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motion of self-efficacy for the preliminar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KCI등재

        아동보호전담요원의 가정외보호 및 원가정복귀와 관련된 태도 연구 : 국제비교 및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정선영(Sun Young Jung),강지영(Ji Young Kang),김진숙(Jin Sook Kim),선욱(Sun Wook J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2020년 10월 도입된 아동보호전담요원의 가정외보호 및 원가정복귀와 관련된 태도를 살펴보았다. ‘아동복지태도’ 척도를 이용하여 서구의 아동보호 관련 실무자의 태도와 비교분석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아동보호전담요원을 가정외보호 및 원가정복귀와 관련된 태도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보호전담요원의 ‘분리보호 반대’ 수준은 이스라엘, 북아일랜드, 스페인, 네덜란드와 비교했을 때 가장 낮았다. 둘째, 아동보호전담요원은 가장 높은 수준의 ‘시설보호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보였으며, ‘가정위탁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과 ‘짧은 가정외보호 기 및 원가정복귀 선호’에서는 다른 나라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아동보호전담요원은 가장 높은 수준의 ‘아동의 의사결정 참여를 선호’를 보였으나 ‘부모의 의사결정 참여’는 중간 수준으로 선호하였다. 넷째, 아동보호전담요원은 가정외보호 및 원가정복귀와 관련된 태도에 따라 ‘아동참여와 가정외보호 선호’, ‘실무자 판단 중심의 원가정보호 선호’, ‘당사자 판단 중심의 원가정보호 선호’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보호전담요원 대상지침 및 교육과정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ttitudes relating to out-of-home care and family reunification of the child welfare agents. We collected information through on-line survey and compared the levels of child welfare attitudes with those of child welfare workers from Israel, Northern Ireland, Spain and the Netherlands. Additionally, the child welfare agents were grouped based on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First, Korean agents showed the lowest levels of ‘against removal.’ Second, Korean agents show the highest levels of ‘favorable view on residential care’ and not significantly higher or lower levels of ‘favorable view on foster care’ and ‘favor reunification and short duration of out-of-home care.’ Third, Korean agent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favor children s participation in decisions’ and the middle levels of ‘favor parents’ participation in decisions.’ Fourth, Korean agents were grouped into three groups of ‘favor out-of-home care and child participation’, ‘favor family preservation based on practitioner decision,’ and ‘favor family preservation based on child and parents participation.’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direc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child welfare agents.

      • KCI등재

        우리나라 생산자서비스업의 생산성 결정요인

        정선영(Sun-Young J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4

        본고는 사업서비스 생산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업서비스업 노동생산성 결정요인에 대해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청 기업활동조사의 2006년-2009년 기업 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업의 규모, 인적자본, 자본투입량, 기술진보, 효율성, 지역 등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기업특성 변수들을 설명변수로 활용하였다. 또한 세부산업별로 생산성 결정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하여 IT서비스업, 연구개발업, 전문서비스업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으로 세분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사업서비스업의 생산성은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업서비스업 내 인적자본이 많이 축적되어 있을수록 생산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전문서비스업이나 사업지원서비스업의 경우 자본집약도의 상승도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뚜렷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 분석 결과는, 사업서비스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는 M&A 등을 통해 기업의 대형화를 유도하여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는 한편 우수인력 유치 및 교육 강화 등을 통해 인적자본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전문서비스업과 사업지원서비스업의 경우 인적자본 확충과 동시에 물적 자본의 확대도 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abor productivity for the purpose of seeking methods to improve productivity in Korean business services.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s the 2006-2009 micro panel data from the Statistics Korea’s 「Survey of Business Structure and Activities」and utilizes various firm-specific variables, which are considered to affect productivity, as explanatory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subdivides business services into IT servic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fessional service and business support service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bigger the firm size, the higher the productivity is. Moreover, productivity tends to improve as the human capital in business service accumulate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capital intensity in professional service and business support service definitely improves productivity. Such empirical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productivity in business services, economy of scale should be pursued by encouraging each firm to expand through M&A and other methods. In addition, human capital should be expanded by strengthening internal training. Lastly, the results imply that policy makers should make an effort to simultaneously expand both human capital and physical capital for professional and business support services.

      • KCI등재

        양육사회화 가치관 변화의 연령, 기간, 세대 효과: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을 중심으로

        정선영(Sun Young J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아이들이 가정에서 교육받아야 한다고 일반적으로 여겨지는 자질인 양육사회화 가치관이 지난 30년간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연령, 기간, 세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관조사의 2차-7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아이들이 집에서 배워야 할 항목으로 선택된 최대 다섯 가지 가치 중 자율에 해당하는 가치(예: 독립심, 책임감)의 개수에서 권위에 해당하는 가치(예: 근면, 절약)의 개수를 뺀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을 산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수준은 연령증가와 함께 낮아졌다. 둘째,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은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가 높았으며 2000년대에 비해 2018년도에 높았다. 셋째, IMF세대의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은 전쟁세대나 산업화세대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X세대는 산업화세대나 민주화세대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을 보였다. 연구를 통해 양육사회화 가치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연령, 기간, 세대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자율과 권위에 포함되지 않은 양육사회화 가치의 변화, 양육사회화 가치와 실제 부모 양육행동의 관계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which are believed to be taught by parents, during the last 30 years in the Korean society and analyzed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influencing those changes. It analyzed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2nd to 7th waves. The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were yield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selected authority-related values (e.g. hard work, saving money or things) from the number of selected autonomy-related values (e.g. independence, feelings of responsibility) and named as ‘preference of autonomy above authority [PA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PAA got lower with the increase of age. Second, the levels of PAA were higher in 2000s compared with 1990s, and in 2018 compared with 2000s. Third, the PAA levels of IMF gene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war and industrialization generations. Moreover, X generation showed lower levels of PAA compared with industrial and democratization generations. In the future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and actual parenting behaviors need to be examined to extend understanding on the mechanism through which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affect children.

      • KCI등재

        식생활과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정선영(Sun-Young Jung),이성희(Sung-Hee Lee),김기대(Kee Dae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2 環境 敎育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dietary life. On this study,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upon dietary life were implemented to the third graders to see how they affects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and specific aim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of all, we should start by outl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environment and our diet. We can use the resulting outline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our diet.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environmental recognit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est group. Thirdly, the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dietary life could enhance knowledges, emotions and activities about environment. As a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could confirm its value a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and it could bring out positive influence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thir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