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구국과 동모산의 위치에 대해

        정석배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3 No.-

        발해의 구국과 동모산의 위치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구국과 동모산의 위치에대한 의견은 14세기 원나라 때부터 제시되기 시작하였는데 2000년대 초 오동성과 영승유적 발굴조사 이전까지 심양설, 액돈산설, 영고탑설, 악다리성(오동성)설, 노령설, 화전설, 집안설, 액목 숭령설, 돈화 성산자산성설, 돈화 영승유적설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돈화 오동성과 영승유적이 2002~2003년에 실시한 발굴조사에서 금대의 유적으로 보고되면서 구국과 동모산의 위치에 대한 새로운 탐색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 동모산 성자산산성(=마반촌산성)설, 동모산과평지성 통구령산성 및 석호고성설, 구국 서고성설 등 새로운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최근 중국학계에서는 동모산 마반촌산성(=성자산산성)설이 크게 힘을 얻고 있는데 그것은 2017년에 연길 동쪽 성자산산성의 동구에서 발해 초의 것으로 판단되는 대형의 건축지가 발굴되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발해의 구국과 동모산의 위치에 대한 지금까지의 의견들을 모두 살펴보고, 돈화지역에서 새로이 발견된 일심촌유적(묘둔유적)에 주목하여 구국과 동모산이 여전히 돈화지역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구국 시기 동모산은 성산자산성, 평지거점은 일심촌유적(묘둔유적), 왕실 장지는 육정산고분군일 것으로 각각 추정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발해의 북방-서역루트 ‘담비길’ 연구

        정석배 고구려발해학회 2019 고구려발해연구 Vol.63 No.-

        담비길은 러시아의 E.V.샤브꾸노프가 1985년에 발해와 여진의 유적들에서 발견되는 소그드-이란 계통의유물들을 검토하면서 제기한 발해와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교역교통로이다. 그는 서기 1세기부터 중국에서인기를 누렸던 ‘읍루 담비’가 7~10세기에도 여전히 수요가 대단하였고, 중앙아시아와 이란의 상인들이 중국을통하지 않고 직접 만주와 아무르, 연해주 지역의 종족들에게서 초피를 구입하려 하면서 북방지역으로 새로운교역교통로, 즉 담비길이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초피의 생산지와 유통지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피는 읍루뿐만 아니라 나중에 발해의영역에 포함된 부여와 동옥저, 숙신, 물길, 불열말갈 등에서, 그리고 서쪽으로 쉴까 강과 아르군 강 유역의 선비와 이후 실위에서, 또한 더 서쪽으로 예니세이 키르기스(힐알사)에서도 각각 생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발해의 초피는 일본과 당에서 크게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중앙아시아의 상인들이 발해의 초피를 직접 구입하였다는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예니세이 키르기스의 초피가 중앙아시아와 아랍지역으로 수출되었기때문에 위구르에서 활동하였던 소그드 상인들이 이웃하는 실위와 더 동쪽의 발해에서 초피를 구입하였을 가능성은 매우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는 담비길의 구체적인 노선에 대해 살펴보았다. E.V.샤브꾸노프는 담비길의 노선을 ‘세미레치예 - 알타이산맥 - 서몽골 - 셀렝가 강 유역 - 오르혼 강 상류지역 - 톨라 강 상류지역 - 헤룰렌 강과 오논 강 상류지역 - 쉴까 강과 아르군 강 - 아무르 강 - 아무르 강 지류들을 따라 동북아시아의 깊숙한 지역들까지’로 파악하였다. 그가 세미레치예를 소그드 상인들의 출발지로 본 것은 서기 5~6세기부터 이 지역에 소그드인들이 집중거주하였기 때문이었다. 이 글에서 알타이산맥을 지나는 길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셀렝가 강 유역에는756년에 위구르 모엔초르(Moyen-Chor) 가한의 명령에 의해 소그드인들 등이 쌓은 바이-발릭성이 있고, 오르혼 강 상류지역에는 수 천 명의 소그드 상인들이 거주하였던 위구르 한국의 수도 하라발가스가 위치한다. 다음으로 여러 강들을 차례로 지목한 것은 이 강들이 오호츠크 해와 동해까지 갈 수 있는 수로이기 때문이다. 아르군 강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소그드 관련 유물들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또한 쉴까 강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말갈’ 유적들이, 위구르 지역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콧수염’ 무늬 심발형 토기들이 각각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다음에는 발해지역에서 발견되는 소그드인들의 흔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해주의 노보고르제예브까 취락지는 발해시기 소그드인들의 거류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와 중앙아시아지역의소그드 토기들에는 동일한 형태의 문양들이 확인된다. 그 외에도 발해지역에는 사산조 청동거울, 소그드 은화, ‘룬’ 문자 강돌, 토제 의례용기, 쌍봉낙타 뼈, 청동 쌍봉낙타상, 동심능형문양, 바르간, 서아시아 신장상, 사리함 유리병 등등 중부-중앙아시아지역과 관련된 유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 사실들은 발해시기에 발해와 중앙아시아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교역교통로가 실제로 작동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The Sable road is a trade-transport route between Balhae and the Central Asian region, which the Russian archeologist E.V.Shavkunov who investigated the systematic Sogdian and Iranian artifacts on the Balhae and Jurchen sites described in 1985. He considers that the “Yilou sables”, that became famous in China from the 1st century AD, were still important in the VII-X centuries, and traders from Central Asia and Iran built a new trade route, namely, the “Sable road”, so as not to go through China, but to buy sable fur directly from the Manchurian, Amur and Primorye tribes. In this article, we first reviewed the zone of production and the zone of distribution of sable fur. It has been proven that sable fur trapping was diffused not only at Yilou, but also in Buyeo, East Okcho, at Sushen, Wuji, Funie Malgal and other tribes, which later entered the territory of Balhae, as well as westward in the rivers Shilka and Argun basin, at Xianbei and later at Shiwei, and further west, at Yenisei Kyrgyz. The Balhae sable fur was very popular in Japan and Tang China. However, there is no record that merchants from Central Asia bought sable fur in Balhae directly. Nevertheless, it is very likely that Sogdian merchants, who carried on their business at Uyghurs, bought sable fur from neighboring Shiwei and eastward from Balhae, as sable fur from the region of Yenisei Kyrgyz was exported to Central Asia and the Arab region. Then we viewed the specific route of the Sable road. E.V. Shavkunov considers that the Sable road was from “Semirechye - Altai Mountains - Western Mongolia – the Selenge River basin - upstream of the Orkhon River - upper course of the Tuul River - the Heerlen River and the Upper Onon River - the Shilka River and the Argun River - the Amur River - remote areas of Northeast Asia along the tributaries of the Amur River”. He considered Semirechye as the place of Sogdian merchants departure because Sogdians concentratedly lived in this area from the 5-6th centuries AD. In this article, we identified specific routes through the Altai Mountains. In the Selenge River basin there was the Bai-Balyk fortress, built by the Sogdians in 756 by order of the Moyen-Chor Khan, and at the head of the Orkhon River there was the capital of the Uyghur Khaganate, Karabalghasun, in which several thousand of Sogdian merchants lived. Next, several rivers are listed, because these rivers are waterways that can reach the Sea of Okhotsk and the Eastern Sea. Artifacts related to Sogdiana were found on Argun River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In addition, “Malgal” artifacts were found on the Shilka River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and pottery with the “moustache-shaped” ornament was found at Uyghurs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 Then we viewed the Sogdian artifacts found in the region of Balhae. It is very likely that the settlement Novogordeevka in the Primorsky Territory is a colony of the Sogdian people in the period of Balhae. Among the ornaments of pottery found on this site and in Central Asia, there are the same ones. In addition, in the territory of the Balhae were also found numerous items related to the Central Asian and Middle Asian regions: Sasanian bronze mirror, Sogdian silver coin, pebbles with a runic inscription, ritual vessel similar to Sogdian ones, Bactrian camel bone, a bronze figure of a camel, characteristic for Uyghur vessels ornament, a jaw harp, a West Asian man-shaped figure of a warrior of heaven, a glass bottle for relics, etc. These facts suggest that, most likely, in the days of Balhae, there really existed trade and transport routes connecting Balhae and Central Asia.

      • KCI등재

        발해의 서북쪽과 북쪽 경계에 대해 - 고고학자료를 중심으로 -

        정석배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7 No.-

        문헌자료에 의하면 발해는 시기적인 차이는 있어도 말갈의 부족들을 모두 복속시켰다. 흑수말갈도 예외가아니었다. 흑수말갈은 때로는 발해에 독립적이기도 하였으나 꽤 오랜 기간에 걸쳐 발해에 복속되었던 것도사실이다. 이 사실은 고고학적으로도 확인된다. 흑수말갈이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는 나이펠드-동인 문화 유적들이 8세기 이후 동아무르지역에서 급격하게 줄어들고 대신 소흥안령 서쪽의 서아무르지역에 출현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 동아무르지역에는 ‘발해 속말말갈’이 남긴 것으로 이해되는 10세기 초 이전의 뽀끄로브까 문화 유적들이 새로이 등장하며, 서아무르지역에는 나이펠드-동인 문화 유적들뿐만 아니라 역시 ‘발해 속말말갈’이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는 뜨로이쯔꼬예 문화 유적들이 등장한다. 따라서 발해의 최대 강역을 이야기할때에는 흑수말갈의 영역도 마땅히 포함해야만 한다. 오늘날 러시아와 중국학계에서는 자신들이 설정한 발해의 경계 내에 있는 발해시기 유적들에 대해 고구려적 요소들이 보이는 유적들만을 발해유적으로 인정을 하고, 말갈적 요소들만 보이는 유적들은 발해유적이 아닌 말갈유적으로 간주한다. 발해의 건국 주체와 주요 구성원이 말갈이라고 주장하는 그들이기에 이는 참으로아이러니하다고 하겠다. 발해시기의 유적들은 고구려적 요소를 지니든 혹은 말갈적 요소만 가지든 모두 발해유적이 분명하다. 다만 이 둘을 구분할 필요가 있어 고구려적 요소를 지니는 유적들은 ‘본원적인’ 발해유적으로 부를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사실 필자는 수년 전에 발해의 강역이 서북쪽으로 소흥안령을 경계로 하고, 북쪽으로는 아무르강을 넘어동북쪽으로 연해주 북쪽의 사마르가강 하구를 잇는 선까지일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한 적이 있다. 그런데 그이후 기존에 생각하였던 본원적인 발해유적의 분포범위 보다 더 서쪽과 북쪽에서 새로운 발해유적들을 확인하게 되었고, 또한 소흥안령 서쪽의 서아무르지역에서도 고구려적 요소를 가진 발해시기 유적들을 다수 확인하였다. 따라서 ‘발해 속말말갈’이 이주하여 남긴 문화로 이해되고 있는 서아무르지역의 10세기 초 이전까지의 뜨로이쯔꼬예 문화 유적들도 발해의 강역에 포함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 경우 본원적인 발해유적과 발해시기 말갈유적을 모두 포함하는 발해의 서북쪽 경계는 눈강과 제1송화강 합수지점 – 호란하 – 제야강 하류지역을 잇는 선으로, 북쪽 경계는 제야강 하류지역 – (아무르강 북쪽의) 꾸르강 중하류지역 – 아무르강 하상류지역 – (연해주 북동쪽의) 사마르가강을 잇는 선이 된다. 이 계선은 기존에 문헌자료를 통해 제시된 발해의 강역안보다 서북쪽과 북쪽으로 훨씬 더 크게 확장된 것이다. 이 경계는유적들의 분포지점을 선으로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의 발해강역은 더 넓었을 것이고, 또 아무르강 북쪽과동북쪽으로는 유적조사가 더 이루어진다면 발해의 강역이 더 확대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written sources, Balhae (Bohai) subjugated all Mohe tribes, including Heishui Mohe. For a while, the Heishui Mohe were independent of Balhae, but for a long time they were subordinate to it. That is confirmed by archaeological materials. Sites of the Nayfeld-Tongren culture left by Heishui Mohe after the 8th century cease in the Eastern Amur Region, but they appear in the Western Amur Region. But in the Eastern Amur region sites of the Pokrovka culture left by the “Balhae Shumomohe”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0th century, in the Western Amur Region there are not only sites of Heishui Mohe, but also the sites of the Troitskoe Culture, also left by the “Balhae Shumomohe”. Therefore, when it comes to the ultimate territory of Balhae, it will be correct to include in it also the territory of distribution of Heishui Mohe. At present, Chinese and Russian scientists recognize sites that have Kogurye elements as Balhae ones, but the sites that have only Mohe elements are considered as Mohe ones, although they date back to the Balhae time and are located inside the Balhae border, which the scientists themselves determined. It’s even ironic, as they always say that Balhae was founded by Mohe and the population of Balhae was mainly Mohe. These sites of the Balhae time are all Balhae sites,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Koguryeo or Mohe traits. However, we have to distinguish them. In this regard, we proposed to use the name “proper” Balhae sites, which may mean Balhae sites with Koguryeo elements. Some years ago, the author of this work supposed that the northwestern border of Balhae come to the Small Xingan Range, and the northern border crosses the Amur River and reaches the mouth of the Samarga River in Northeast Primorye on the northeast. But recently, we have found new Balhae sites to the west and to the north of the previously defined distribution of the proper Balhae sites. In addition, in the Western Amur Region to the west of the Small Xingan Range, several sites of the Balhae time with Koguryeo traits were found. In this regard,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ites of the Troitskoe culture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0th century in the Western Amur Reg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territory of Balhae. Therefore, the northwestern border of Balhae, including the proper Balhae and Mohe sites of the Balhae time, is determined by the line: the confluence of the Nen river and the first Songhua rivers → the Hulan River → the lower reaches of the Zeya River. And the northern border goes from the lower reaches of the Zeya River → the middle-lower reaches of the Kur River (in the north of the Amur River) → the lower upper reaches of the Amur River → the mouth of the Samarga River (in the north-east of Primorye). This boundary line is much wider than the line proposed earlier based on the study of written sources. These lines are determined by the junction of the sites, so the real border of Balhae most likely was even wider than it. In addition, when the sites in the northern and north-eastern parts of the Amur River will be studied, the Balhae border may even be distended.

      • KCI등재
      • KCI등재

        유라시아대륙 동물형 대구의 특징과 기원 문제

        정석배 중앙아시아학회 2022 中央아시아硏究 Vol.27 No.2

        In the 1st century BC - 4 c. AD in the southeastern and mid-western regions of Korea, animal-shaped belt hooks in the form of a tiger and a horse were widely used. By the way, animal-shaped belt hooks have been foun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other regions of the Eurasian continent. In this regard, in Korean scientific community there was a tendency to consider Korean animal-shaped belt hooks as having the origin in the nomadic cultures of the steppes of Northern Eurasia or in China. However, the analysis of the totality of the Eurasian animal-shaped belt hooks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This article collects and analyzes animal-shaped belt hooks from the Eurasian continent from China in the east to Ukraine in the west, presented in scientific community so far. First, the author determined the areas of distribution of animal-shaped belt hooks: in addition to the Korean region, these are the Sayan-Altai region, the southwestern region of Ural, the northern Circumpontic (Circum-Black Sea) region and the Chinese region. Then the author presented a short description of all animal-shaped belt hooks for specific sites. The total number of animal-shaped belt hooks analyzed by the author is 148 pieces: the Sayan-Altai region - 7 pieces,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Urals - 19 pieces, the northern Circumpontic region - 45 pieces, the Chinese region - 77 pieces. Further, the author studied the signs of animal-shaped belt hooks from each region of the Eurasian continent, identified their types according to the signs of the degree of expression of the body of animals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ar and plate of the belt hooks. In addition, subtypes are also divided, taking into account such signs: the bar is connected with which part of the animal's body, whether the tail of the animal plays the role of the bar, etc. Through such an analysis is possible to find out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animal-shaped belt hooks from each region. Then we considered the question of the origin of animal-shaped belt hooks from each region. It turns out that animal-shaped belt hooks originally appeared in the territory of the Yuhuangmiao culture of Northern China. However, we believe that animal-shaped belt hooks from the Yuhuangmiao culture are not distributed in all regions of the Eurasian continent, because animal-shaped belt hooks from the Sayan-Altai region, the southwestern region of Ural and the northern Black Sea region fundamentally differ from Yuhuangmiao culture’s ones in many ways, including the direction the bent end of the bar is facing. We think that the region of Sayan-Altai is the place of origin of other line of animal-shaped belt hook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Yuhuangmiao culture. The author also considered the question of the origin of Korean animal-shaped belt hooks. The animal-shaped belt hooks in the form of a tiger and a horse from Korea belong to the type of a belt hook with a whole animal body and a horizontal bar. They have much in common in structure with the same type of animal-shaped belt hooks from the Eurasian continent. But apparently, the direct source of Korean belt hooks in the form of a tiger, as already noted by various researchers, should be found in the same type of belt hooks from the Chinese region of the Western Han era. As for the Korean belt hooks in the form of a horse, their origin is closely related to the belt hooks with the whole body of an animal and with a horizontal bar connected to a part of the chest, found among occasional finds from the Chinese region at the north of the Yangtzi R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