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소리미디어에 등장하는 지역아리랑 연구

        정서은 ( Jung Sueeun )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8 No.-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소리미디어에 출현하는 지역아리랑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등장 배경 및 연행 양상 등을 파악하여 그 실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소리미디어에 등장하는 지역아리랑은 <밀양아리랑>ㆍ<강원도아리랑>ㆍ<영동아리랑>ㆍ<영남아리랑>ㆍ<진도아리랑>ㆍ<남도아리랑>ㆍ<용강긴아리>ㆍ<함경도아리랑>ㆍ<정선아리랑>ㆍ<대구아리랑>ㆍ<동래아리랑>으로 모두 11종이며 그 존재 양상은 각 악곡에 따라 그리고 소리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면 첫째, 각 지역아리랑은 소리미디어에 등장하는 시기가 서로 다르다. 1926년 유성기음반의 <밀양아리랑>을 선두로 <강원도아리랑>이 1927년에 등장하고, 1930년대 전반기에 <영동아리랑>ㆍ<영남아리랑>ㆍ<진도아리랑>ㆍ<남도아리랑>ㆍ<용강긴아리>ㆍ<함경도아리랑>이, 1930년대 후반기에는 <정선아리랑>ㆍ<대구아리랑>ㆍ<동래아리랑>이 보인다. 둘째, 유행 양상이 다르다. 음반발매 및 방송횟수를 기준으로 지역아리랑 중에서는 <밀양아리랑>이 가장 많이 유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강원도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이 의 뒤를 잇는다. 그 외에 지역아리랑은 단 몇 회 정도 등장하거나 오랜 기간 지속되지 못했다. 셋째, 일제강점기 주요 지역아리랑으로 꼽을 수 있는 <밀양아리랑>ㆍ<강원도아리랑>ㆍ<진도아리랑>은 등장의 배경이 다르게 나타난다 <강원도아리랑>은 토속민요로 존재하다가 소리미디어를 통해 소개되면서 통속화된 소리이고, <밀양아리랑>은 통속민요로 유행하다가 소리미디어에 등장한 경우이다. 그리고 <진도아리랑>은 소리미디어를 통해 재편성 창작된 새로운 아리랑이다. 넷째, 등장 배경이 각각 다른 세 가지 지역아리랑은 가창자와 연주 형태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가장 인기를 누렸던 <밀양아리랑>은 가창자와 편성에 있어 다양성을 보이는 반면, <진도아리랑>과 <강원도아리랑>은 비교적 제한된 양상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일제강점기 지역아리랑을 담고 있는 두 가지 소리미디어 중 유성기음반이 시기적으로나 유행 선도에서 방송을 앞서는 경향을 보이며, 방송은 이를 보완하여 유행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local Arirang, appearing in Japanese colonial era sound media and identify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and performance patterns to reveal its substance. The local Arirangs that appear in Japanese colonial Sound Media are Miryang arirang, Kangwǒndo arirang, Yǒngdong arirang, Yǒngnam arirang, Chindo arirang, Namdo arirang, Yonggang arirang, Chǒngsǒn arirang, Taegu arirang, and Tongnae arirang. These eleven arirangs have different types of music, depending on its melody and types of sound media. In summary, first, each local Arirang has different periods of appearance in sound media. In 1926, Kangwǒndo arirang appeared in 1927, led by Miryang arirang on the meteorological record.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Yǒngdong arirang, Yǒngnam arirang, Chindo arirang, Namdo arirang, and Yonggang arirang followed. An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Chǒngsǒn arirang, and Taegu arirang appeared. Second, the trend is different. Based on the number of albums released and broadcasted, Miryang arirang was assumed to be the most popular among other local Arirangs. And it is followed by Kangwǒndo arirang and Chindo arirang. In addition, local Arirang appeared only a few times or did not last for a long time. Third, Miryang arirang, Kangwǒndo arirang, and Chindo arirang, which can be considered as major regional Arirang in Japanese colonial era, have different backgrounds. Kangwǒndo arirang existed as a local folk song and had been introduced through sound media, and Miryang arirang was a popular folk song and had appeared in sound media. And Chindo arirang was a new Arirang that was reorganized and created through sound media. Fourth, the three local Arirang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lso show differences in singer and performance formation. The most popular Miryang arirang shows diversity in singer and organization, while Chindo arirang and Kangwǒndo arirang show relatively limited patterns. Lastly, among the two sound media containing Japanese colonial era regional Arirang, the phonograph record tended to be ahead of broadcasting in terms of timing and trend, and broadcasting was believed to play major role in expanding the trend by supplementing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