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육법적 관점에서

        정상우,강은영 대한교육법학회 2019 敎育 法學 硏究 Vol.31 No.3

        민주시민교육은 민주 국가에서 시행되는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며,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은 헌법상 보장된 교육을 받을 권리의 필수 요소이다. 그러나 법제화 측면에서 민주시민교육 개념은 오랜 논의 끝에도 정립되거나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못하였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중핵교과인 <사회>교과의 본질이 다소 희미해졌고, 교육과정 고시에서는 범교과교육으로 머물러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법제화 또는 조례의 제정이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민주시민교육 지원 법안 및 조례분석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규범적 의의를 살펴보고, 최근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려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 및 한계를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민주시민교육이 본연의 목적에 따라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헌법개정에서 민주시민교육이 명시되고 교육권 조항에서 민주시민 양성을 중시해야 한다. 헌법을 인권과 민주주의의 제도화라고 한다면 이미 헌법은 민주시민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며, 헌법공동체의 구성원인 국민이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해 교육받아야 하는 것은 권리이자 의무라고 할 수 있다. 헌법상 민주시민교육을 명시한다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규정과의 조화로운 해석이나 적극적인 해석이 가능하고,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입법 및 정책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제정이 필요하다.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법률로 규정하여 모든 학생이 지역에 따른 차등 없이 안정적으로 민주시민교육의 경험을 제공받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교육자치의 입장에서 중앙정부는 민주시민교육의 기반 마련과 간접적 지원에 치중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셋째, 조례를 통해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과정 중심의 교육방법 및 평가 방식을 추구하기에 교원의 역량 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원 역량 강화는 교사연수를 통한 방식 외에도 연수원이나 교육원 설치를 통한 지원 또한 필요하다. 법률 제정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교육원의 설치 및 지원을 조례로 규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정에 모든 학생이 쉽게 접근하고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습 소외를 줄이고, 민주적 교실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량 강화와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goal of education in a democratic country. The ability as a democratic citizen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constitutional right to education. In terms of legislation, however, the concept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or formally adopted in spite of the long argument. The essence of social studies, the core subject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has faded somewhat, and in the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it remains a crosscurricula education. Legislation or enactment of ordinances have been requir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normative significanc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aws and ordinances to support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recently considered the efforts and limitation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schools. Thus, it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its original purpose. First,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and it should place importance on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in the provision of education. If the Constitution is revised to specify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a harmonious or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can be made, and legislative and policy basis can be established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cond, legislation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pport Act is needed. It is necessary for all students to be provided with the experienc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a stable manner, without any regional differences, by stipulating in law wha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education of democratic citizens in schools systematically. However,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focus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providing indirect support. Third, support for the revitaliz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ordinances. In pursuit of a process-oriented education method and evaluation,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teachers. Reinforcement of teacher capacity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necessary not only through teacher training, but also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raining centers and educational institute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n a local level as an ordinance through legislation.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and improve the curriculum so that all students can easily access and participate in the school’s democratic civic education courses, reduce learning alienation according to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create a democratic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

        대학의 사학 관련 학과에서 진행하는 학술 답사의 양상

        정상우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In the historical study and education, acquisition and gener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experience is very restrictive. However, the field trip to historic sites is, though indirectly,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past. This paper is to search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ield trips in the history-department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nd to consider its problems and complementary measures. Through the questionnaire, history-departments show a tendency to take some measures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o make a class dealing with the field trip. In this case, the field trip has been extended with the activities of during 1semester. Looking at the case of a class, lectures and field trips a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presenting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visiting region consider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overall flow of Korean history. Therefore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several times to the field trips can be access the history of the region while learning by repeating the overall flow of history and comparing the various regions’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heritages. It is to arouse the interest of students about their major. It also helps to students try to plan for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ir own. However, most of the field trips end with one-time-event to be carried out for 3days. And activities during the field trips are often performed only explanation for cultural heritage. To realize the field trips’ purpose of that acquisition and gener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experience, prior educations and feedbacks are important. To make a class dealing with the field trip can be an alternative for this. But, without the class, to diversify activities during the field trips can be a method for drawing the activeness of students. 경험할 수 없는 과거를 탐구하는 역사학에서 ‘답사’는 ‘추체험’의 기회이다. 때문에 역사가·역사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학과들은 답사의 전통이 있다. 하지만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모색은 활발치 않다. 이 글은 이를 위한 출발점으로 대학의 사학 관련 학과의 답사 현황을 파악하고, 그 난점들을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설문을 통해 볼 때 사학 관련 학과들은 답사에 학생 참여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방식은 몇 가지가 있었지만 답사 관련 강의 개설은 주목된다. 강의를 중심으로 ‘선행학습·답사·feedback’의 형태로, 답사가 1학기 동안의 활동으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답사 관련 강의의 실제 사례를 보면 답사지역의 역사적 특성과 한국사의 흐름 속에서 해당 지역의 문화유산들을 제시하는 형태로 강의·답사가 구성된다. 때문에 답사에 여러 차례 참여하는 학생은 한국사의 흐름을 반복 학습하는 가운데 지역의 문화유산을 통해 지역사를 통사적으로 접근하며 지역간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또 답사 이후의 강의는 사학 전공자들이 일상에서 받을 수 있는 질문들이나 전공을 바탕으로 한 진로 설계와 관련되어, 전공에 대한 관심을 재고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많은 경우, 답사는 정해진 기간에만 한정되는 1회성 행사로 끝나며, 그 활동도 유적·유물에 대한 설명으로만 이루어졌다. ‘경험을 통한 지식의 획득·생성’을 위해서는 답사 전후의 활동이 중요하며, 강의 개설은 하나의 대안이다. 하지만 강의 개설이 아니라도 답사에서의 활동을 다각화함으로서 답사 전후의 활동을 끌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법적 과제

        정상우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4 No.1

        The autonomy,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are specified in Article 31, Section 4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general,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means that education should take a neutral position away from a particular party interest or influence. However, in reality, while teachers' political impartiality is overemphasized,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not been properly covered in the public law. In this article, in order to clarify the details of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under the constitution, we have examined the history and structure of regulations covering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of the constitution, analyzed those meanings, and reviewed legislative issues and precedents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public legal issues are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impartiality of education that is currently proposed and secure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In particular, solving the issue of political impartiality by not only limiting the scope of teachers' political activities, but also improving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eds to be institutionalized. 우리 헌법 제31조 제4항에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등이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란 교육이 특정 정파적 이해관계나 영향력으로부터 떨어져 중립적인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 현실에서는 교사의 정치적 중립성은 지나치게 강조되는 반면 교육행정의 정치적 중립성은 공법 영역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 우리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규정의 연혁과 구조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며, 우리나라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한 입법상 문제점과 판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재 제기되는 교육의 중립성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법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특히 정치적 중립성을 막연히 교원의 정치적 활동 범위의 제약으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교육행정의 정치적 중립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제도화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旋條銃의 射入口區分에 關한 實驗的 試圖

        鄭相愚 大韓法醫學會 1979 대한법의학회지 Vol.3 No.1

        The features of the rifled gun-inflicted entrance wounds are determined by type of weapon, target material, muzzle-target angle, etc., as well as distance of fire. Nonetheless, the entrance wound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only one factor, distance of fire. Poplin and suede were fired with .45-caliber pistol, 38-caliber revolver, .25-caliber pistol and M16a1 rifle at various muzzle-target distances. The results made the author possible to classify the entrance wounds by the characteristics of wounds as follows. 1. Underblasted wound - An entrance wound which is produced when fired at fast contact with a small caliber handgun on target of considerable mechanical strength. The front surface resembles a simple wound from long range shot. The undersurface surrounding the exit hole shows effects of gaseous blast, flame, smoke and gunpowder residues. 2. Blasted wound - Variable degrees of damage to target due to gaseous blast is accompanied. Degree and shape of damage are dependent on the difference between mechanical strength of target material and gaseous explosive power. 3. Tattooed wound - fouling around the entrance hole, concentric or eccentric, is noticed due to flame, smoke and/or gunpowder residues. Implied in the type of patterned wound, blasted wound and tattooed wound are caused by close range shot and near range shot, respectively. 4. Simple wound - Only effect by bullet, penetration wound, can be found. distances of fire, correspondent to the types of the entrance wounds, wer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weapon and target material tried in the experiment. The above classification of the entrance wounds was applied retrospectively to the cases of gunshot deaths autopsied by forensic Medicine Section, the ROKA Scientific Investigation Lab.

      • KCI등재

        3・1운동과 민주공화국의 탄생

        정상우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valuate the 3・1 Movement (1919 Korea Independent Movement) from a constitutional history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ional Chart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Republic.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3・1 movement, and the impact of the 3・1 movement on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t the time of the 3・1 movement did not specify a democratic republic, the ideology of the 3・1 movement contained democratic and republican elements, which subsequently influenced the draftin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stitution. It seemed reasonable to explain the ideology contained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idea of sovereignty and enlightenment raised before and after the 3・1 movement as republicanism recognized in Korea at that time. In the Provisional Charter that was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3・1 movement, the Democratic Republic was emphasized, which wa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concept of republicanism in the previous period and the influence of So-Ang Cho in drafting the Provisional Charter. Democratic republican ideology was based on democracy, egalitarianism, parliamentarism, rule of law and the exclusion of the monarchy. Beyond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e 3・1 movement was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and was embodied in the ideology of republic thr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stitution. Democratic Republic regulations have had a certain impact on the constitutional law enacted in 1948 thr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amended in 1987. 이 연구는 3・1운동을 헌법사적 관점에서 재평가하고 이로 인해 제정된 대한민국임시헌장과 민주공화국 수립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3・1운동의 배경, 성격, 평가를 파악하고, 3・1운동이 대한민국임시헌장 제정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였다. 3・1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은 민주공화국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3・1운동의 사상은 민주공화적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었고 그것은 이후 임시정부 헌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 독립선언문에 담긴 사상과 3・1운동 전후 제기된 주권재민 사상과 계몽주의는 당시 우리나라에서 인식한 공화주의로 설명하기에 무리가 없다고 보았다. 3・1운동의 결과 제정된 임시헌장에서는 민주공화국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임시헌장의 초안을 작성한 조소앙의 영향과 이전 시기에 공화주의 개념을 수용한 결과였다. 민주공화국 사상은 당시의 인식으로는 군주의 배제와 민주주의, 균등 사상, 의회주의와 법치주의 등이 중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3・1운동은 민족독립운동을 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민주공화국 건설에 결정적 기여를 한 것이고, 임시정부 헌법을 통해 공화국 사상으로 구체화되었다. 민주공화국 규정은 임시정부를 거쳐 1948년 헌법 제정과 1987년 개정된 현행헌법에까지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