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관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정상교 ( Jung¸ Sang-ky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0 한국불교사연구 Vol.18 No.-

        본 논문은 국내에 출판된 중관학 연구서적의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용 중관학 교재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먼저 중관학 분야 연구서들을 크게 1. 국내 연구서, 2. 연구 번역서, 3. 역주서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4. 중관 교재의 편찬 방향’에서는 필자 나름의 대학 교재로서의 중관 서적에 대한 목차를 제시해 보았다. 중관학에 대하여 김성철은 90년대 후반부터 연구서, 번역서는 물론 역주서에도 많은 저서를 남겨 후학들에게 중관학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박인성 역시 연구서와 『중론』 산스크리트본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통해 『중론』 연구에 기여하였고 이태승, 남수영은 중후기 중관 논서의 연구로 중관학의 지평을 넓혀왔다. 이후 김정근의 쁘라산나빠다 역주는 국내 『중론』 및 중관 연구에 또 다른 기반을 제공해준 매우 소중한 성과물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서를 바탕으로, 일견 추상적 주관적으로 느껴지는 공의 개념을 불교 사상사적 맥락 속에서 구체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해 주는 교재의 편성 방향을 제시해본다. Based on the review of the Madhyamaka books published in Korea, this paper seeks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of the books. As a result, the books were categorized into 1. domestic research books, 2. translation books, 3.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In addition to this, I presented a table of contents on the Madhyamaka research books in the “4.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of the Madhyamaka research books.” Since the late '90s, Kim, sung-chul has left many books in research, translation, and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books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Madhyamaka studies for other students and scholars. Park, In-sung also contributed to the studies through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Sanskrit, and Lee Tae-seung and Nam Soo-young have broadened the horizons of the Madhyamaka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of the mid- to late-term the Mādhyamika school. Especially Kim, Jung-kun’s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of the Prasannapadā is also a very valuable achievement that has provided another foundation for domestic research on the Madhyamaka studies. Based on this prior study, we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mpilation of textbooks that enable us to capture the concept of Śūnya, which seems abstractly subjective, in the context of Buddhist thought and history.

      • KCI우수등재

        Upādāna와 Karman의 의미를 통한 상호 의존적 관계 고찰 -≷중론≸ 제8장 제12게와 제13게를 중심으로

        정상교(Jung, Sang-Kyo)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상호 의존적 관계(相依性, pratyayatā)는 ≷중론≸전체를 관통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자 중관 사상의 근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제8장 「행위와 행위자의 고찰」은 행위자 (kāraka)와 행위(karman)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제법에 확장시켜 보여주고 있는데, 확장의 구체적인 예는 제13게의 ‘취(upādāna)의 작용’을 통해 제시된다. 따라서 ‘취의 작용-행 위자-행위’ 관계에 대한 명확한 분석은 ≷중론≸이 주장하는 상의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하나의 유용하고 구체적인 모델이 될 것이다. 그런데, 주지하듯이 ‘karman’이라는 단어는 ‘행위’뿐만 아니라 ‘행위 대상(결과)’의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게송만을 통해서는 그 의미를 정확히 확정짓기 어렵다. 따라서 제8장이 제시하는 상의성에 관한 고찰은 먼저 관련 주석서를 통해 ‘karman’의 의미를 확정짓는 작업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확정이 중요한 이유는, 제8장 에서 ‘행위자-행위’의 관계는 상술하였듯이 ‘취(upādāna)’로 확장되기 때문에 ‘karman’의 의미 고찰은, 그 자체로 또한 여러 의미를 갖는 ‘upādāna’의 의미 분석을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karman’의 의미 고찰이 선행됨에 의해 ‘upādāna’의 의미가 명확해지고, 이러한 분석이 기반되어야만 제8장이 제시하는 상의성의 이론적 구조가 명확하게 보여질 것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의 부족과, 소수의 관련 연구들은 ‘karman’의 의미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고 있고, 또한 ‘upādāna’의 의미 파악과 연계한 이해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upādāna’와 ‘karman’의 의미 파악에 주목하며 ≷중론≸ 제8장의 해당 게송을 분석 하여 상의성을 고찰하려 한다 The meaning of “pratyayatā (interdependence) is a very important concept that penetrates the whole Mūlamadhyamakakārikā (MMK). Particularly, Chapter 8 shows interdependence of Agent (kāraka) and Act (karman) extending to all beings, and the concrete example of this expansion is Action of “upādāna”. Therefore, a clear analysis of a structure of “Action of upādāna-Agent-Act” could be a useful model to understand “pratyayatā” of the MMK. As is known, however, because the word “karman” means not only Act but also an objec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meaning of “karman” accurately through the verses of the MMK.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pratyayatā” in Chap. 8 should be begun with determining the meaning of “karman” through commentaries of the MMK. This determin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relationship of Agent-Act in Chap. 8 extends to “upādāna”,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karman” leads to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upādāna” which has multiple meanings itself. In other words, since the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karman” leads to the analysis of “upādāna”, the precedence of this review makes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pratyayatā” more clear.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clearly defined the meaning of “karman”,and seems to regard “upādāna” as a simple example of expansion. So they do not show a comprehension of both “karman” and “upādāna”. Therefore, I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pratyayatā through the meaning analysis of upādāna and karman based on the commentary of Chap. 8 of the MMK.

      • KCI등재

        휴먼에러를 중심으로 한 위험요인 도출 방법론에 관한 연구

        정상교 ( Sang Kyo Jung ),장성록 ( Seon Pok Chang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4 한국안전학회지 Vol.29 No.3

        Human error is one of the major contributors to the accidents. A lot of risk assessment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prevention of accidents. Nevertheless, most of them were interested in physical factors, because quantitative evaluation of human errors was difficult quantitatively. According to lack of risk assessment techniques about human errors, most of industrial risk assessment for human errors were based on data of accident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countermeasure to reduce the risk caused by human errors, a systematic analysis is needed. Generally, risk assessment system is composed of 5 step(classification of work activity, identification of hazards, risk estima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isk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human errors that could mainly be applied to industrial fields. In this study, Ergo-HAZOP and Comprehensive Human Error Analysis Technique were used for developing the risk identification technique. In the proposed risk identification technique, Ergo-HAZOP was used for broad-brush risk identification. More critical risks were an alysed by Comprehensive Human Error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verify applicability, the proposed risk identifica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work of pile head cutting. As a consequence, extensive hazards were identified and fundamental countermeasures were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much attention would be paid to prevent accidents by human error in industrial fields since safety personnel can easily fint out hazards of human factors if utilizing the proposed risk identification technique.

      • KCI등재

        『반야등론』 제9장의 선행 주체(purva-vyavasthita) 연구

        정상교 ( Jung Sang Kyo ) 인도철학회 2018 印度哲學 Vol.0 No.53

        본 논문은 『중론』 제9장의 ‘모든 감관들 보다 선행(先行)하는 주체’가 『반야등론』(PP) 및 『반야등론복주』(PPT) 제9장에서 푸드갈라로 전환되면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고찰한다. 즉, 『중론』 의 선행 주체는, PP 및 PPT에서 이전 생의 행위의 결과로 인해 다음 생에 오온을 취하는 푸드갈라로 규정되고 독자부는 그 선행 주체의 증명을 위해 성전을 인용한다. 필연적으로 독자부와 바비베카의 논쟁은 바른 인식 근거로서 성언량의 타당성으로 옮겨진다. 여기서 독자부는 바르트르하리의 Vakyapadiya(문장 단어론)의 게송을 인용하여 인식 근거로서의 성언량을 주장한다. 그런데 이게송은 바비베카의 또 다른 저서인 『중관심론』에서 미망사학파의 주장으로도 소개되고 있어 바비베카의 오해나 왜곡의 가능성이 보인다. 그러나 PP와 PPT의 논의를 검토해 보면 바비베카는 독자부의 주장을 충실히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A pre ceding subject existing prior to whole organs in the Mulamadhyamaka-karika(MMK) chp. 9 changes into Pudgala in Prajnapradipa (PP) and -tika (PPT) chp. 9. A preceding subject is defined as Pudgala, who will be born in the next life because of the result of previous life act, and Vatsiputriya quotes the Agama(scriptures) to prove that Pudgala exists. Inevitably, Vatsiputriya and Bhaviveka's debate is moved to the validity of Agama for measurement of knowledge. Here, Vatsiputriya cites a verse of Bhartrhari’s Vakyapadiya to assert of A preceding subject’s existence on the basis of the Agama. Interestingly, the verse is being recorded as Mimam-sa’s claims that Agama as a basis for measurement in Madhyamaka-hrdaya-karika, Bhaviveka's another masterpiece. In this case, it seems to be Bhaviveka's misunderstanding or intentional distortion. However, when we examine the relevant debate in the PP(T), it seems that Bhaviveka faithfully reflected Vatsiputriya's argument.

      • KCI등재

        『중론』 제9장의 논적(論敵) 연구 -Sarvagatātman을 둘러싼 주석을 중심으로-

        정상교 ( Jung Sang Kyo ) 인도철학회 2020 印度哲學 Vol.0 No.58

        『중론』 제9장 「관본주품(觀本住品)」은 모든 감각 기관에 선행하며 그 감관을 소유하는 ‘선행 주체(본주)’를 비판하는데, 『중론』은 선행 주체의 개념만 간단히 기술하고 이를 주장한 학파에 대한 기술은 없다. 하지만 『중론』 주석서인 『반야등론』, 『프라산나파다』는 선행 주체를 독자부나 정량부 등이 주장한 푸드갈라로 특정 시킨다. 그런데 『반야등론』은 『불호주』의 논적을 상키야 학파로 이해하며 『불호주』의 설명에 오류가 있음을 비판하고 있다. 이에 『프라산나파다』는 『불호주』의 논적은 푸드갈라론자가 타당함을 주장한 후, 『불호주』를 비판한 『반야등론』을 재비판하고 있다. 한편 『반야등론복주』는 상키야 학파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며 그 논적이 푸드갈라론자일 가능성과 상키야 학파일 가능성을 모두 기술하고 있어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한다. 『불호주』의 논적을 상키야 학파로 규정한 『반야등론』은, 상키야 학파의 이론을 매우 정확하게 소개하므로 『반야등론』 및 『복주』의 내용을 쉽게 간과할 수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동일한 『불호주』의 내용을 주석하면서 그 논적을 푸드갈라론자로 간주한 『프라산나파다』의 주석 역시 간단히 다룰 수는 없어 보인다. 이와 같이 주석서들 사이에서도 해석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중론』 제9장의 논적을 일반적으로 알려진 푸드갈라론자로 쉽게 결정지을 수는 없음을 『중론』 해석의 방법론으로 제시한다. The Mūlamadhyamaka-kārikā (MMK) chp.9, “Examination of Clinger and the Objects of Cling” criticizes A preceding subject existing prior to whole sense organs and for whom whole sense organs belong. The MMK focuses on constructing criticism logic after describing concept of A preceding subject briefly. The Prajñāpradīpa(PP), Prasannapāda(PSP), important commentaries of MMK, in comparison, identifies A preceding subject specifically as the Pudgala of the Pudgalavādin(Vātsīputrīya or Sāṃ mitīya) claims to be. It is a comment on the same contents of the MMK chp.9, however the PP cites the annotations of the Buddhapālita-mūlamadhyamaka- vṛtti(BP) that preceded the PP, then interprets the object of criticism of the BP as the Sāṃkhya, and criticizes the contents of the BP for errors. In contrast, the later PSP criticizes PP claiming that object of criticism of the BP is the Pudgala. The problem becomes more complicated. In other words, the Prajñāpradīpa-ṭīkā(PPṬ) annotates the BP, which defines its criticism to the Sāṃkhya, and describes both the possibility that the critic might be the Pudgalavādin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the Sāṃkhya. Introduction of the PP to the Sāṃkhya, which defines object of criticism of the BP as the Sāṃkhya, is so accurate that the explanation of the PP(Ṭ) can not be easily overlooked. However, I can not easily ‘ignore’ comments of the PSP, which commented on the same contents of the BP and regarded the critic as the Pudgalavādin. As such, there are larg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among commentaries.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one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of the MMK, that is the main object of criticism of the MMK chp.,9 which could not be easily determined as the Pudgalavādin.

      • JAVA 네트워킹프로그램 설계기법 및 3차원 채팅프로그램 구현에 관한 연구

        최성(Sung Choi),정상교(Sang Kyo Ju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Ⅳ

        본 논문은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있어 자바활용방안과 네트워킹 프로그램 설계 기법 및 특징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자바를 활용하여 3차원 채팅 프로그램 구현 및 장 · 단점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자바가 발표된지 2년정도의 시간이 흘렀을 뿐 인데도 이미 인터넷 및 인트라넷의 기반 언어로 자리잡고 있는 자바는 그 만큼 활용범위가 넓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즉, 현재의 이용 분야를 보면, 실시간 동화상처리, 증권시세, 원격교육시스템, 일기예보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인트라넷의 보안기법에 적용되어 그 성능을 인정 받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