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야 경관에 따른 진정성과 관광만족의 차이분석 -고궁관광을 중심으로-

        정산설,이훈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5 No.3

        As the tourism activity of tourists increases at nighttime,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is rising in the night scenery of cultural heritage buildings. Due to the economic and cultural importance of the tourism phenomenon that experiences the night scenery focusing on the spatial background of cultural heritage sites,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s are paying attention to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night view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night scenery in the field of tour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ausality between authenticity and tourism satisfaction with tourists who viewed day and night scenery of cultural heritage sit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Deoksugung Palace located in Seoul, Korea. Deoksu Palace is open all the time at night, and this place is expected to be the best place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day scenery and night scenery in cultural heritage. First, both sub-dimensions of authenticity positively influenced tourism satisfaction, Objective authenticity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than existential authenticity. Second,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there is moderating effect on authenticity and tourism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day scenery and night scenery. In other words, this implies that objective authenticity in the experience of day scenery and night scenery shows the influence difference in tourism satisfaction.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related to night scenery while suggesting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t can be meaningful to quantitatively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ity and tourism satisfaction about landscape experience that has been mainly approached qualitatively in other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uthenticity and tourism satisfaction in the cultural tourism of day and night.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ight scenery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utilize it as a major element of tourism marketing.

      • KCI등재

        여행자의 심리적 행복과 심박변이도 상태 변화 비교분석 - 자연기반 여행자를 중심으로 -

        정산설,이훈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3 觀光硏究論叢 Vol.35 No.3

        Nature-based tourism activities represent a pure and joyful experience that people often seek when grappling with negative emotions caused by external factors. This research employed a combination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alyses, specifically heart rate variability and emotional states, to ascertain whether individuals genuinely experience happiness during nature travel.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sked to report their heart rate variability, negative emotions, and travel-related happiness before and after a two-day nature trip. The outcome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across negative emotions, travel-related happin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Specifically,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and anxiety, along with depression, were notably reduced, while feelings of travel-related happiness increased post-travel. Furthermore, heart rate variability indicators (SDNN, RMSSD, and TP) all showed an elevation, confirming that tourists can indeed undergo a physically tangible experience of happiness through nature-based travel. These findings contribute academically by substantiating the impact of nature tourism on happiness, supported by observable shifts in bo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over time. In light of these results, we propose a policy aimed at reducing psychological barriers and enhancing the overall quality of the nature-based tourism industry. 자연 기반 여행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대표적인 순수체험 활동이다. 따라서 개인들은 외부요인에 의해 부정적 심리를 지각하면 이를 회복하고 행복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여행활동을 영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자연기반 여행을 하면 행복감이 증진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심리·생리적 반응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대학원생을 실험대상자로 선정하여 1박2일 간 자연에서 여행실험을 참여하게 하였고, 실험 전·후의 심박변이도와 부정적 정서 및 여행을 통한 행복감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정적 정서 및 여행을 통한 행복감과 심박변이도 변인들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심리(스트레스-불안감, 우울감)는 여행 후 완화되었고, 여행을 통한 행복감은 상승하였다. 또한, 심박변이도 변수인 SDNN, RMSSD, TP 지표들 모두 상승하여 생리적으로도 개선된 상태인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심리 및 생리 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자연기반 여행의 행복 증진 변화를 검정하였다는 것에 학술적 의미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여행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으며, 여행 상태의 측정 도구를 발전시킴으로써 관광개발 및 관광산업의 질적 향상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연기반 여행은 사람들의 여행행복을 증진시키는가? - 위험지각, 주의회복이론 및 여행행복을 중심으로 -

        정산설,김경배,이훈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5

        With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there have been constraints on tourism behavior, which are increasing the negative emotion of tourists. To recover from this negativity, tourists are pursuing domestic nature-based travel as much as possible in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confirm whether natural tourist destinations have the effect on helping tourist recover from COVID-inspired negativity and if perceived happiness is enhanced for those who traveled to natural tourists destin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from September 5th to September 19th. A total of 742 of 845 respons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hysical risk perception did not affect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while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and socio-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had an impact on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had an impact on perceived attention restor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attention restoration had an impact on travel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heoretically verified the importance and positive role of domestic nature-based tourist destinations in a psychologically negative st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natural tourism destination development directions were proposed for tourism business corporales and public institutions.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관광 활동에 제약이 생겨 관광객들의 부정적 심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 여행객은 현 상황에서 가능한 국내 자연기반 여행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거리두기 기간에 자연관광지를 여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자연대상 관광지가 관광객의 부정적 심리를 회복하고 행복을 지각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코로나 거리두기 기간에 자연기반 관광지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5일부터 2019년 9월 1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845부 중 742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술 통계분석, 분산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위험지각은 회복환경지각에 영향력이 없는 반면 심리적 위험지각 및 사회·환경적 위험기각은 모두 회복환경지각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환경지각은 주의회복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의회복은 여행행복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으로 부정적 상태에서 여행공간으로써 국내 자연기반 관광지의 중요성과 긍정적 역할을 이론적으로 검증하고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자연 관광지 개발 및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인 사업체나 기관이 자연 관광지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자연유대감이 여행행복에 미치는 영향분석 : 생리학적 HRV를 중심으로

        정산설,박상희,강서현,최지현,임태호,이훈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3

        일반적으로 개인들은 자연기반 여행을 통해 행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기반 여행에서 자연유대감을 느끼면 정말로 회복하고 행복을 느끼는지 심리ㆍ생리지표를 활용하여 과학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81명의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1박 2일간 자연기반 여행에 참여하는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여행 전ㆍ중ㆍ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박변이도 및 심리적 지표 간에는 유사한 추세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자연유대감과 주의회복, 주의회복과 여행행복 및 자연유대감과 여행행복 간에 양(+)의 영향관계가 도출되었다. 자연유대감과 심박변이도 회귀분석 결과 전체 주파수 강도(TP)를 제외하고 고주파영역(HF), RMSSD, NN 간격의 표준편차(SDNN) 지표들과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행 현장의 연속선상에서 심리 및 생리 변수를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고, 지표 간 영향관계를 확인하여 자연 여행을 통한 긍정적 심리 지각의 객관성을 높였으며, 자연공간의 긍정 심리 증진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학술적 의미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자연 여행을 통한 행복 상승을 위한 질적 성장 중심의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자연기반 여행 산업이 양질의 성장을 할 수 있게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스마트 관광기술 경험이 확장된 기술준비수용모델 및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정산설(San-Seol Jung),이훈(Hoon Lee) 한국관광학회 2024 관광학연구 Vol.48 No.2

        과학기술의 발달과 4차 산업시대의 도래로 관광도 역시 급격한 시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신기술의 발전으로 관광 역시 국내외에서 스마트 관광 원활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관련한 연구가 지속해서 배출되고 있다. 하지만 관광에서 스마트 기술의 도입은 공급자 관점의 기술 연구와 경제적인 이윤 중심 연구가 주류를 이룬다는 한계가 지속해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확장된 TRAM 모델’을 활용하여, 관광자 입장에서 스마트 관광 환경 구축에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기존에 신기술 도입이 관광자의 행복 지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분석을 통하여 미래형 스마트 관광의 지향점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여행에서 스마트 관광기술을 활용한 내국인 관광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20개의 유효 응답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및 랜덤포레스트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준비도 변수 중 혁신성을 제외하고 모두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기술준비도 변수 중 낙관성을 제외하고 모두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용이성과 유용성의 영향관계는 채택되지 않았으나, 유용성-주관적 행복 및 용이성-주관적 행복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랜덤포레스트 분석 결과, 유용성 및 유희성이 스마트 관광기술이 관광자의 주관적 행복을 높이는 데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스마트 관광기술 경험은 관광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유용성 및 용이성을 높여주며, 주관적인 행복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자가 스마트 관광기술을 통해 추구하는 본질적인 요구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스마트 관광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관광 정책 전략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Recent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rapidly reshaped the tourism landscape, leading to an increased focus on smart tourism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global smart tourism policies. However, existing literature predominantly addresses technological and economic aspects from suppliers' perspectives, often overlooking tourists' experiences. This study adopts the 'extended TRAM model' and empirically explores key factors influencing a smart tourism environment for tourists and their impact on happiness perception. By surveying 420 domestic tourists using smart tourism technology, the analysis employ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andom forest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at all five technological readiness variables, except innovativeness, significantly affect tourists' perceptions of the technology's usefulness in simplifying their travel. Similarly, all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optimism, notably impact the perceived ease of use, indicating the level of difficulty tourists face when employing the technology. Alth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not directly related, both demonstrat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The random forest analys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in enhancing tourist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mart tourism technology. These findings illuminate essential tourist needs and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marketing strategies in smart tourism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역사문화관광지 온라인 리뷰 기반 관광매력속성과 추천의도의 영향 관계에 대한 탐색적인 접근: 해석수준이론의 관점에서 빅데이터 분석

        장민희,정산설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3 호텔경영학연구 Vol.32 No.4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al Level Theory,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active attributes of online review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view and reviewer characteristics in these relationships. As for the research method, Gyeongbok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Jongmyo Shrine, and Suwon Hwaseong Fortress reviews were collected from TripAdvisor, an online review site, using Octoparse, a scraping program. In addition, text mining was performed after going through a data preprocessing process using a Tidyverse approach using the R program. After that, words, which are unstructured data, were refined and formalized. Finall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social attributes, which are the attractive attributes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destinations, influence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he access factor and travel planning factor, which are the incidental attributes of tourism destinations, influence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when a potential tourist decides to explore a tourism destination online and visit a cultural heritage tourism destination,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comes closer, showing more interest in the incidental attributes of the tourism destination.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big data research in the academic fiel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ctual online data and inferring whether Construal Level Theory can be confirmed in real life. In addition, when promoting a specific tourism destination, it is meaningful to draw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f the tourism destination is a well-known tourist destination,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ncidental attributes of the tourism destination as a strategy to increase revisit.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의 관점에서 온라인 리뷰의 역사문화관광지 매력속성과 추천의도와의 영향 관계와 이들 관계에서의 리뷰 및 리뷰어 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스크래핑 프로그램인 옥토파스(octoparse)을 활용하여 온라인 리뷰 사이트인 트립어드바이저에서 경복궁, 창덕궁, 종묘, 수원화성 리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이디버스(tidyverse)접근법으로 데이터전처리과정을 거친 후,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였다. 이후 비정형 데이터인 단어를 정제하여 정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통계분석, 음이항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역사문화관광지 매력속성 중 상위차원의 관광지 매력속성인 사회적 속성이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하위차원의 관광지 매력속성인 접근성요인과 여행계획 요인이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통해 잠재적 관광자가 온라인에서 관광지를탐색하고 역사문화관광지를 방문하기로 결정한 시점에서는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져 관광지 부수적 속성에더 많은 관심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온라인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해석수준이론이실생활에서도 확인이 가능한지 역으로 유추해보는 탐색적인 시도를 함으로써 학문 영역에서의 빅데이터연구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특정 관광지를 홍보할 때 그 관광지가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유명 관광지일 경우 재방문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관광지 부수적 속성을 강조할필요가 있고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관광지는 관광지 주요 매력속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겠다.

      • KCI우수등재

        여행에 대한 기대감은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가?: 대학생·대학원생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측정 분석

        박상희,정산설,최지현,강서현,이훈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6

        Travel is one of the many activities that bring happiness to people, and such trav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 being. Among them, the expectation of travel is an important part that affec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rip,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subjective well being and satisfaction of the tra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s before the trip and the expected performance and happiness after the trip. Also it is intended to verify whether happiness, which is a psychological indicator, can be expressed and measured as an objective indicator by using objective physiological indicators.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on 74 study participants who traveled for 1 night and 2 days,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 being and heart rate vari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and significant. In addition,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as derived between expectations and heart rate variability.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was also derived betwee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expectation, expected performance, and subjective well be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inimizes information distortion by measuring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at the travel site, and confirms the possibility of objectiv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indicators using physiological indicators by confirm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indicators.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많은 활동 중 대표적인 것이 여행이며, 이와 같은 여행은 그들의 삶의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그 중에서도 여행의 기대감은 여행 전ㆍ중ㆍ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분이며, 여행의 행복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여행 전의 기대감과 여행 후의 성과 인식과 행복 간의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확인하고, 객관적으로 표현 가능한 생리지표를 활용하여 심리지표인 행복을 객관적인 지표로 표현하고 측정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는 74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1박 2일 간의 여행을 다녀오는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주관적 행복과 심박변이도 간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로 서로 유의한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리변수인 기대감과 생리변수인 심박변이도 사이의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여행 전의 기대감이 높아질수록 여행 후 행복감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심리변수인 기대감과 여행 후 성과 인식, 주관적 행복 사이에도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여행 전의 기대보다 여행 후 성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이를 통해 여행 후 행복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여행 현장에서 심리 및 생리적 변수의 측정을 통해 생리-심리 지표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생리지표를 활용한 심리지표의 객관적인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여행을 통한 심리적 회복의 정책적 지원을 마련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캠핑참여자의 소비가치와 친환경행동 간의 관계분석

        황영주,정산설,이훈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2 觀光硏究論叢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캠핑참여자의 소비가치(Consumption Value)와 친환경행동(Pro-environmental Behavior)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캠핑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환경오염에 대한 사회적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어, 캠핑참여자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소비가치이론은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었고, 특히 환경 친화적인 소비를 분석하기 위한 틀로 활용되고 있어, 캠핑참여자의 친환경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이론적 배경으로 판단되었다. 설문대상자는 지난 1년 동안(2021년 4월∼2022년 4월)캠핑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20대∼50대로, 총 49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개인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인식적 가치, 상황적 가치는 캠핑참여자의 친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기능적 가치(경제적 편익)가 친환경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정서적 가치(죄책감 등)가 친환경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선행연구와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캠핑참여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친환경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캠핑참여자의 친환경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에스닉타운의 관광적 재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

        심창섭,장희선,정산설,이훈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2

        Ethnic towns, geographic areas with a high ethnic concentration, serve as tourist attractions because they include unique landscapes, ethnic food, and interesting products. At the same time, a variety of scholarly attention to ethnic townshas been paid because ethnic towns are excellent places where hybridization of multiple cultures is routinely observed. Therefore, employing the concept of tourism representa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Incheon Chinatown, the biggest ethnic town of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18 merchants who owned shops or worked in Incheon Chinatown were interviewed with a focus on how Chinese cultural identity was being represented by the merchants to attract tour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rchants tended to use objective evidence that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ducts and China. Second, to intentionally construct an exotic environment, the merchants tended to emphasize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their tourism representation of Chinese cultural identity. Third, the merchants’ tourism representation of Chinese cultural identity tended to reflect the uniqueness and contemporary reality of Incheon Chinatown, not the real China.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ovided. 외국인밀집지역을 의미하는 에스닉타운은 타 문화간의 혼종이 일어나는 공간으로서 이 곳의 독특한 경관, 음식, 상품 등을 경험하고자 하는 관광객들이 모여드는 관광명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에스닉타운과 관련된 다양한 관광 관련 주제 가운데 특정 국가·민족 등의 정체성이 관광적 목적에 의해 재구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관광적 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에스닉타운인 인천 차이나타운에 근무하는 18명의 상인들을 현상학적 측면에서 조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은 관광객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재현의 방식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진정성에 대한 재현으로 중국과의 연관성 강조이다. 상인들은 각자가 관광객들에게 제공하고자하는 상품, 음식, 장소, 경관이 어떻게 중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니는가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이국적임에 대한 재현으로 문화적 차이 만들기이다. 상인들은 문화적 차이를 만들어내기 위해 과장, 반복, 경계설정, 상징설치 등의 다양한 재현의 기법을 활용하기도 하며 이 과정을 통해 차이나타운은 ‘이국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에 대한 재현으로 인천 차이나타운만의 독특한 매력 찾기이다. 관광객들은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실제 ‘중국’을 기대하기 보다는 자장면 등 인천 차이나타운만의 ‘중국’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는 상인들의 관광적 재현에도 반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에스닉타운 관광과 관련된 학술적, 산업적, 정책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