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과 사회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

        김희영(Kim, Heuiyung),정봉교(Chung, Bongkyo)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농촌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316명의 농촌 지역 거주 노인들이 연구보조원의 도움을 받으면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생활습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성공적 노화에 관한 설문에 응답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AMO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남성에서는 연령, 음주 및 사회모임 그리고 여성에서는 일과 운동이 성공적 노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높은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를 나타내었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 및 성공적 노화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사회적 지지는 성공적 노화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졌다. 사회적 지지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매개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가 갖는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parameters, life style and successful aging an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opyschological stress on successful aging in elderly people. 316 elderly people were sampled in rural area. With the aid of survey assistants, participants complete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PWI-SF), Medical Outcome Study-Social Support survey(MOS-SSS) and Successful aging scale. Demographic , life style data were also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AMOS statistical procedures. Age, drinking and social group predicted successful ageing significantly in elderly man, but work and exercise predicted successful ageing significantly in elderly women. Elderly m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sociopsychological stress, higher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than elderly women. Sociopsychological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but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Social support had the partial mediation role between sociopsychological stress and successful aging.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긍정성 증진 훈련이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 및 감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주 ( Yong Ju Lee ),장정주 ( Jung Joo Chang ),정봉교 ( Bong Kyo Ch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긍정성 증진 훈련이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과 감사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훈련 집단(11명)과 통제 집 단(11명)으로 무선 표집 하였으며, 훈련 집단은 긍정성 증진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 및 감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훈련 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집단과 검사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즉, 훈련 집단 이 통제 집단보다 훈련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감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는 긍정성 증진훈련이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긍정적 특질들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연구 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sitivity enhancement program on resilience, self-esteem, and gratitude. Twenty-two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training or control group. Training group took the 8-session positive enhancement program. Participants reported questionnaires of resilience, self-esteem, and gratitud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groups and test period was significant in resilience and self-esteem. The result indicated that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ilience and self-esteem than control group did. But two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titude. The results suggested that positive enhancement program could promote positive trait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 to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中隔損傷 흰쥐의 味覺嫌惡學習과 水分攝取

        鄭奉敎 嶺南大學校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85 基礎科學硏究 Vol.5 No.-

        Sprague-Dawley 수컷 흰쥐들의 복내측 및 배외측 중격을 손상시키고 하나의 병을 강제 선택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순수한 물과 사카린이 첨가된 당분용액의 섭취 및 사카린용액에 대해 LiCl을 주사하여 혐오학습을 검사했다. 미각혐오학습은 수동적 회피과제로 사용되었다. 모든 집단의 흰쥐들이 새로운 맛자극에 대한 공포와 미각혐오를 적절히 보여 주었다. 복내측중격 손상군의 수분섭취량은 배외측손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에 중격손상 흰쥐들은 단맛을 내는 사카린용액에 대해 과잉된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구토를 일으키는 LiCl주사를 회피자극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중격손상이 수동적 회피학습에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중격손상동물의 수동적 회피학습장애가 모든 과제에 일반화되지 않음을 확인시켜 준다.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ith ventromedial and dorsolateral septal lesions were tested for water intake, neophobia and LiCl-induced aversion to a 0.1% saccharin solution in a one-bottle forced choice paradigm. Taste aversion test was used as passive-avoidance task. Both types of lesion produced no deficits in neophobia and conditioned aversion. Water intake of the ventromedial septal les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dorsolateral septal lesion group. Rats with septal lesions did not increase their intake of saccharin solution. It was concluded that septal lesion does not impaired passive avoidance learning when nausea-producing LiCl-injection was used as the to-be-avoided stimulation.

      • 콜린性 藥物이 逃避不可能한 電氣衝擊에 의해 生成되는 도피수행결손에 미치는 效果

        鄭奉敎 嶺南大學校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87 基礎科學硏究 Vol.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도피 불가능한 전기 충격에 의해 산출되는 도피수행 장애에 대한 acetylcholine(ACh)의 잠재적 역할을 검토해 보는것이다. 중추작용제인 항콜린성 약물인 scopolamine hydro-bromide는 이전에 가해진 도피 불가능한 전기 충격의 방해적 효과를 제거하였다. 반면에 항 콜린분해효소제인 physostigmine salicylate는 성공적으로 전기 충격의 방해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산출했다. 결론적으로 도피 불가능한 전기 충격은 뇌의 ACh 수준 변화와 연관지을 수 있다. 이런 결과는 통제 불가능한 스트레스에 의한 환쥐의 도피수행 결함을 설명함에 있어서 "ACh 가설"을 지지해 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assess the potential role of acetylcholine(ACh) in the escape interfernce produced by inescapable shock. The centrally acting anticholingergic scopolamine hydrobromide eliminated the disruptive effects of previously administered inescapable shock. In contrast, the anticholinesterase, physostig-mine salicylate successfully mimicked the effects of inescapable shock. It was concluded that inescapable shock involved central ACh changes. This results supported the "acetyl-choline hypothesis" in the explanation of the escape deficits of the rats folloing uncon-trollable stress.

      • 흰쥐의 腹內側 및 背外側 中隔損傷이 逃避不可能한 電氣衝擊에 대한 反應成에 미치는 效果

        鄭奉敎 嶺南大學校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86 基礎科學硏究 Vol.6 No.-

        內側 및 背外側 腦 中隔損傷이 전기충격에 의해 유발된 반응성과 진통에 미치는 효과가 Sprague-Dewley 흰주 수컷을 이용하여 검토되었다. 6시간동안 逃避不可能한 전기충격을 받는 동안에 바퀴돌리기 반응수가 기록되었다. 또한 도피불가능한 전기충격을 받은 동물들에게 24시간 후에 도피가능한 전기충격을 가함으로 발생하는 장기진통효과도 검증되었다. 逃避不可能한 전기충격에 대한 노출은 毛術統制群, 復內側 및 背外側 中隔損傷動物들의 바 퀴돌리기 반응을 증가시켰으나, 복내측손상군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증가추세가 심하지 않 았다. 鎭痛檢査에서 복내측 중격손상이 24시간후에 도피가능한 전기충격에 노출함에 의해 재생되는 진통효과를 감소시켰으나, 배외측 중격손상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복내측 중격손상은 스트레스 조건에 노출된 효과들을 감소시키는 반면에, 배외 측 중격손상은 이런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두 영역으 손상에 의해 행동적 효과가 구분됨이 시사된다. The effects of ventromedial and dorsolateral septal lesions on shock-induced reactivity and analgesia were studied in Sprgue-Dawley albino rats. The number of wheelturn responses made during the 6-hr inescapable shock session was recorded. The long-term analgesia that can be reinstated 24hr later by exposure to escapable shocks was also tested. The exposure to inescapable shock increased the number of wheel-turn responses comparably in the sham-operated, ventromedial and dorsolateral septal lesioned animals, but the degree of increase is less pronounced in the rats with ventromedial septal lesions than in the rats of the other two groups. In contrast to lesions of dorsolateral septum, lesions of ventromedial septum reduced the analgesic effects reiinstated by exposure to escapable shocks 24hr later. It was concluded that ventromedial septal lesions reduced several effects of exposure to inescapable shock in rats, whereas dorsolateral septal lesions did not.

      • A/J혈통생쥐에 있어서 사회적 고립성장이 성숙후의 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鄭奉敎 嶺南大學校府設 基礎科學硏究所 1983 基礎科學硏究 Vol.3 No.-

        The effect fo rearing in isolation on later sociability was studied in A/J strain of albino mice. Thirty-six mice were separated from their own litters on the 23rd day of life and reared in isolation(N=18) or in groups of 4(N=18)for 60days. Sociability was tested in pairs for 24hours in automated preference chamber for mice (Lafayette model No.89004). The result obstain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isolation-reared animals showed significantly more gregariousness than those of group-reared animals for 24hour's testing period. Secondly, the group-reared animals showed a strong aversion to affiliating with those of isolation-reared counterparts, but the isolated mice no difference. It is concluded that mice reared alone and deprived of social contact are more gregarious when give the opportunity than group-reared control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our previous studies. It also suggest that irrelevant social responsiveness of isolated mice to their partner is responsible for the pattern of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