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긴장 이상 환자에게 있어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작업치료가손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사례 연구

        정복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0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hand function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in a patient with dystonia. Method: The subject was a 41 year old female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25th to May 24th in 2002. The Jebsen Hand Function Test and Nine Hole Peg Test were used for assessment, and also hand and finger powers were assessed by grip strength, lateral pinch strength and three jaw chuck pinch strength. The scores were obtained during occupational therapy sessions at 4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Modified Ashworth Scale was employed to grade spasticity before the injection, at 4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Results: Among the subtests of Jebsen Hand Function Test, the speed increased in the writing (15.4%), turning cards (64.4%), simulated feeding (92.0%), moving empty large cans (30.0%) and moving weighted large cans (41.6%), however, the speed of other subtests which were checkers(-26.8) and picking up small objects (0.0%) did not increase. The performance on Nine Hole Peg Test did not change (0.0%). Hand power of grip strength increased by 275%. Finger power increased in lateral pinch strength (40.0%) and three jaw chuck pinch strength(150.0%). Based on Modified Ashworth Scale, spasticity decreased from grade 4 before the injection to grade 1 at 4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in wrist and fingers. Conclusi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can improve the hand function in a patient with dystonia.

      • KCI등재

        로마교회의 약한 자와 강한 자의 갈등과 바울의 권면: - 로마서 14:1-15:13을 중심으로 -

        정복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1 신학과 사회 Vol.35 No.2

        In Romans 14:1–15:13, Paul argues that the social pressure that the strong put on the weak is unjust. The strong were those who were able to host meals and belonged to a higher social status than the weak. The weak were those of a lower social status than the strong. The weak obeyed Jewish purity rules, so the food served at communal meals, especially meat and wine, became an obstacle to their faith. The weak suspected that these items were related to idolatry. Meat and wine were a “stumbling block or obstacle” to the weak. Nevertheless, the weak were under social pressure from the strong to eat the food provided during communal meals. The weak discharged their duty of giving thanks and honor to the strong for their favor. Paul advised both the weak and the strong to “not judge one another anymore” and told the strong to stop putting social pressure on the weak and to consider their perspectives. Paul urged them to build “righteousness, peace, and joy in the Holy Spirit” as the ideal and purpose of the communal meals eaten by members of the Roman church. 로마서 14:1-15:13에서 바울은 로마교회 식사를 위해 음식을 후원하는 강한 자와 그들의 호의에 기댈 수밖에 없는 약한 자 사이의 갈등을 다룬다. 유대교의 음식규례를 준수했던 약한 자는 식사에 제공된 고기와 포도주를 우상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의심하여 거절하고 채소를 먹음으로써 강한 자의 호의를 거절하였다. 반면 강한 자는 약한 자의 음식에 대한 견해를 알면서도 식사에 “부딪칠 것과 거칠 것”을 제공하였다. 또한 강한 자는 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사용하여 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약한 자에게 식사의 고기와 포도주에 참여하도록 강제하였고, 이로 인해 일부 약한 자는 강한 자의 사회적 압력 때문에 의심과 거리낌에도 불구하고 식사에 제공된 음식을 먹게 되었다. 바울은 로마교회의 이러한 갈등을 어느 한쪽의 책임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바울은 음식에 대한 강한 자의 견해를 지지하면서도 그들의 갑질에 대한 부당성을 이야기한다. 바울은 강한 자를 향해 약한 자를 형제로 대하고 그들을 배려하도록 권면한다. 그리고 후원자로서 마땅히 받을 것으로 기대했던 감사와 영예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게 돌리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권면을 통해 바울은 로마교회의 식사가 ‘성령 안에서 의와 평화와 희락’이라는 식사의 이상과 목적을 세워가는 식사가 되도록 하라고 권면한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의 치료 효과

        정복희,김정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07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뇌졸중후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에서 전기자극 치료가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요한복음 6장에 나타난 식사 기독론의 기능

        정복희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1

        John discusses the meal Christology of the Johannine community and the its function through story of the feeding of the 5,000 and his discourse on the bread of life in John chapter 6. In chapter 6, John contrasts Jesus with manna, the Dionysius, and the Roman Emperor. According to John, Jesus as the Bread of Life and Son of Man is the food itself and the food provider. During meals, the Johannine community takes part in everlasting life which Jesus provides and mutual relationship with Jesus. The meal Christology of John chapter 6 reflects the life of the Johannine community (“Sitz im Leben”). Excluded from the synagogue, the Johannine community had a tense relationship with the Jews, synagogue community. Thus, John distinguishes “we” who believe in Jesus from the “you” who do not believe in Jesus through attendance at meals in the Johannine community. Therefore, meals in the Johannine community serve to distinguish between those in the community and those outside of it. At the same time, John expresses an intention to embrace the Jews by delivering Jesus’ invitation to the world. Meanwhile, the Johannine community which was excluded from the synagogue could no longer be an exception to the Roman association law. In a time of tense relations between the Johannine community and the Roman Empire, John continues to resist the Roman Empire by emphasizing the heavenly origin and divine nature of the Son of Man. At the same time, John presents a compromise with the Roman authorities by directly confessing that Jesus was not the King but rather the Son of Man. Through resistance to and compromise with the Roman Empire and division from and embracement of the Jew, John uses meals as a function to propagandize the Johannine community to enhance its survival. 요한은 요한복음 6장의 많은 무리를 먹인 이적과 생명의 떡 강화를 통해 요한공동체의 식사 기독론과 그 기능을 이야기한다. 요한은 6장에서예수를 만나와 대조하고, 예수를 디오니소스와 로마황제와 대조한다. 요한에 따르면, 예수는 생명의 떡과 인자로서 영생을 제공하는 음식 자체인동시에 음식을 제공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식사에서 요한공동체는 예수가제공하는 영생과 예수와의 상호교제에 참여한다. 요한복음 6장의 이런 식사 기독론은 요한공동체의 삶의 정황을 반영한다. 회당으로부터 출교된요한공동체는 유대인들, 특히 회당공동체와 긴장관계에 있었다. 이에 요한은 요한공동체 식사를 통해 예수를 믿지 않는 ‘너희’로부터 예수를 믿은‘우리’를 구분한다. 이와 동시에 요한은 ‘세상’을 향한 예수의 초대를 이야기함으로써 유대인들에 대한 포용을 나타낸다. 한편, 회당으로부터 출교된요한공동체는 더 이상 로마 협회법의 예외를 적용받을 수 없었다. 요한은요한공동체와 로마제국과의 긴장관계에서 인자의 천상적 기원과 신적 본성을 강조함으로써 로마제국에 대한 저항을 나타낸다. 그러면서도 요한은 예수를 직접적으로 하나님의 아들과 왕으로 고백하지 않고 인자로 고백함으로써 로마 당국에 대한 타협을 나타낸다. 이처럼 요한은 요한공동체의생존을 위해 요한공동체 식사를 통해 유대인 대한 구분과 포용, 로마제국에 대한 저항과 타협을 나타냄으로써 요한공동체를 선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