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

        이은경 ( Eun Kyung Lee ),홍양자 ( Yang Ja Hong ),정복자 ( Bok Ja J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을 분석하여 재활 및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4~7세의 발달장애유아 20명으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이동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과 물체조작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TGMD II(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I)와 3회의 비디오 촬영과 특수체육전문가의 매회 관찰지이다.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은 12개월 간의 사전 연구활동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에게 적합하다고 판정된 것으로 24주 동안 60분씩 24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근운동기술의 사전, 사후 결과를 보기 위해 종속 t-검증(paried t-test)을 실시했고,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단계별 특성분석은 Gallahue와 Ozmun(2002)이 제시한 운동발달단계를 기준으로 3회의 비디오 촬영과 3명의 특수체육전문가가 매회 지속적으로 체크한 관찰지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이동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동운동기술의 6개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달리기(p<.001), 갤롭(p<.001), 홉(p<.001), 립(p<.001), 제자리멀리뛰기(p<.001), 슬라이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이동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물체조작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물체조작운동기술의 6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치기(p<.01), 제자리 튀기기(p<.05), 받기(p<.001), 차기(p<.001), 한 손 공 던지기(p<.001), 한 손 공굴리기(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물체조작 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ptual - 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and provide effective data on the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through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by motor development stages. Participants included 2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t the age of 4-7 years,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instrumentation, 12 items of TGMD II (6 items from each locomotion and object manipulation domai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video footage (3 times) by 3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observations records were utilized. The perpe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experiments for 12 months were performed 60 minutes, 24 times per week. To see the pre and post results of gross-motor skills, a series of paired t-tes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analyses, and a critical value of α = .05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motor development stages suggested by Gallahue and Ozmun(2002),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records and video footage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locomotive movement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1).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as running(p<.001), galloping(p<.001), hopping (p<.001), leaping(p<.001), horizontal Jump (p<.001) and sliding(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were observed in 6 area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Second,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tatisticall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 as two-hand strike(p<.01), stationary bounce(p<.05), catching(p<.001), kicking(p<.001), overhand throw(p<.001) and underhand roll(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development stages were observed in 6 area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