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민속예술의 활용 가치

        정병흠(Jeong, Byoung-Heu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2

        본고는 미술교육 영역 안에서 민속예술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현대의 교육 성격에 맞는 전통문화예술 교육의 가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민속예술의 본질과 현재의 미술교육을 살펴보고 현대미술과의 연계한 교육 및 주제중심통합교육 등으로 미술교육에서 민속예술의 활용 가치를 논하였다. 민속예술은 우리 민족의 삶을 엿볼 수 있고, 그 안에서 삶의 지혜, 애환, 염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민화, 민속조각, 공예 교육을 통해 해학적 표현과 민간에서의 소박한 미의식 등 생활 속에서 미를 찾고 만들어 가는 창조적 정신을 배울 수 있으며 민속신앙 속 의식, 민속놀이, 민속극을 활용한 교육을 통해 생활문화와 관련된 개방적 사고와 현실을 슬기롭게 극복해 가는 지혜, 공동체의식 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현대의 행위예술 표현과 연계한 교육으로 학습자 및 그 주변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내․외적 문제나 갈등 해소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민속예술의 교육으로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가치와 우수성을 발견하고 자칫 정체성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세계화시대에 정체성과 자긍심을 함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각문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 나가는데도 중요한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values of traditional art suitable to modern education through different applications in art education. Essence of folk art and modern art education is reviewed and application value of folk art in art education such as teaching related to modern art and thematic integrated education is discussed in this study. Folk art can show our ethnic lives, wisdom, grief, and wishes of people. First, learners can learn humorous expressions and simple esthetic sense by teaching folk paintings, folk sculptures, and folk crafts, which means creative minds to find out beauty through everyday lives. Second, learners can form open-minded thinking related to everyday cultures and wisdom to solve problems in everyday lives, and community spirit by applying folk religions, folk plays, and folk dramas for teaching. Finally, art education related to modern performance art has values in that it can provid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solve various conflicts. In conclusion, folk art education can be a key to show value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raise identities and pride as Korean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to bulid abilities to adjust to diverse visual environments.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미술교육 효용 연구

        정병흠(Jeong, Byung Heu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finding a component of performance art in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and shining a light on the usefulness of it in the contemporary art education setting. Examples. within the Korean heritage. with a character of performance art that illustrate elements of traditional attitude. character, sentiments. and philosophy include performances in folk drama. folk playas well as in religious rituals. Such examples can be utilized as comprehensive expressions of art in the contemporary art setting with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in integrated education. The element of performance art within folk plays can be emphasized through examining the components of literature. art. dance and music. while folk plays can be useful in teaching theatricals of performance nature. suggestive nature. and finally of occupational nature. Additionally. the performance art aspect of religious rituals can give meanings and values to the Korean traditional heritage through demonstrating the emotional nature of human minds as well as the traditional attitudes towards the simple matters of life and death. These acts also offer familiarity to the public. solicit public interest and are of everyday life: therefore. such fundamental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expressions of performance arts easily. The emphasis on the performance art components within the general Korean heritage has three different branches of benefits. Firstly. it teaches creativity and traditional virtues. Secondly. it facilitates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ulture. Lastly. it exemplifies integrated education. Education of intangible culture heritage as mentioned above can enlighten the value and excellenc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establish the cultural character and pride to people living today. Teaching cultural heritage will equip people of today with values. and as well will function as preparation for a meaningful future. 본고는 전통문화유산에서 한국적 행위예술의 요소를 발견하고 이의 활용을 통해 오늘날 미술교육에서의 효용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 민족의 사고방식‘ 기질,정서 , 사상 등 정신적 산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민속극, 민속놀이 , 종교의례 속행위 등을 말할 수 있다 이 것들은 현대미술에서 종합 예술적 성격을 띠고 있는 행위예술의 방법으로 전통문화예술 교육과 통합교육 측 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민속극의 예술성을 문학,미술,무용,음악의 복합적 형태로 구분하여 종합예술로서 행위예술적 성격을 조명하고,민속놀이를 연희적 놀이, 제의적 놀이 , 생업과 관련된 놀이 등으로 구분하여 그 행위 요소를 통한 교육이 가능하다. 또 종교의례 속 행위에서 인간의 기복적 심리와 삶과 죽음에 대한 민족적 정서를 발견하고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에게 전통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를 교육하며, 이들이 지닌 행위의 자율성,대중성,공공성, 일상성 등 본질적 특성을 행위예술 표현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 효용을 말하면 첫째, 창의·인성교육으로서의 효용, 둘째, 문화시대 향유와 문화유산 전승으로서의 효용, 셋째, 통합교육 실천 등이 있다. 전통문화예술의 교육을 통해 가치와 우수성을 발견하고 문화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에게 문화 정체성과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다. 전통문화유산 교육은 과거의 문화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삶을 가치 있게 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능력을 갖춰 나가는데 중요한 것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지역문화역량 강화 방안

        정병흠(Jeong Byung Heu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본고는 마을주민, 학교,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해 각 지역마다 보유하고 있는 전통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역량 강화 방안과 지도방법의 예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미술교사와 미술교육의 문화역량 강화 방안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5 미술과 개정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로 미술문화 정체성, 문화적 감수성, 공동체 의식 함양 등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고는 첫 번째로 교사 및 마을주민, 학생 대상의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기초교육, 활용교육, 가치교육을 중심으로 문화적 감수성과 미술문화 정체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로 폭넓은 체험, 토론, 실습 등을 중심으로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으로 전통문화교육을 하고 이를 통해 문화역량을 강화토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마을의 문화시설에 대한 이해 및 학교축제를 통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을의 전통문화유산은 좁게는 그 마을, 넓게는 한 민족의 문화이자 역사이며 문화정체성을 기를 수 있는 학습요소이다. 이는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해 전통문화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 함양에 효과적이다. 전통문화유산교육을 활성화함으로써 마을 구성원들이 마을을 보다 깊이 알아가고, 자신이 삶을 이루고 있는 환경과 그 뿌리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며 애호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그렇기에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전통문화유산교육은 미술교사의 역할 및 문화역량 강화에 효과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ways to strengthen the cultural competency and examples of the instruction method that correspond to the stream of times using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of each town and through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at village residents, school, and students make together. It also aims to enhance the role of art teachers and the art education competency.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local cultural competency, firstly, it analyzed various perspectives on cultural competency and Local Culture Promotion Ac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beginning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ursuing direction, method, and relevance, it suggested ways of teaching the traditional cultual heritage of the village that can be used both in and outside school, such as the field study and school curriculum. Art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as one of core competencies of art education that is revised in 2015, proposed the art culture identity, cultural sensitiv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s subordinate elements. Accordingly, in this study, firstly, it aimed at teachers, villagers, and students to develop the cultural sensitivity and art culture identity focusing on basic education, application education, and value education for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Secondly, through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tivities linked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that focus on a wide range of experiences, discussions, and practices, it gave education abou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trengthened the cultural competency.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of the village is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village narrowly and the people broadly. It is also an element of learning that can build up the identity. Through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t can cultivate a community spirit as well that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y activating the education about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village members can get to know the village more deeply and can have a feeling of self-esteem and affection for the environment they live and its roots. The education about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can be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 educational power and to strengthen the cultural competency.

      • KCI등재

        스마트폰 앱(App)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으로서의 미술교육 사례 연구

        정병흠(Jeong, Byung Heu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본고는 미술교육에서 스마트 러닝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App)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제작 능력, 수업 참여도, 만족도 등의 긍정적 결과를 확인하여 학교현장 교육에서 스마트 러닝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교육적 효용을 논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 활용 수업을 실시한 후 참여도, 흥미도, 만족도 등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는 최근의 미술교육에서 스마트폰 앱은 교육용 앱 뿐만 아니라 일반 앱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표현교육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효용을 네 가지로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기기를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여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수업 내용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둘째,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시각문화 환경에 자연스럽게 노출시켜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창조 과정을 경험하게 한다. 셋째, 표현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여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학습 효과를 높여준다. 이를 통해 미술교과 내용 전반에 걸쳐 학습자 생활에서의 활용 방법과 필요성을 일깨워 주고 교과에 대한 인식 전환의 기회가 된다. 마지막으로 앱 활용 과정에서의 자기주도 학습을 통해 다양하고 장의적인 탐구와 시도, 수정의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문제해결력이 향상 되며 확산적이고 유연한 사고능력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alms to identify how art education as a part of smart learning using smart. phone apps readily accessible to students has an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rests in learning. their ability to produce. voluntary participation in activities in class. satisfaction with learning and so on. and to suggest the ways to expand smart learning in educational practice.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these. a poll of 204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rates of participation. interests. satisfaction and so on after using the smart. phone apps to the class. In art education which recently emphasizes education on a visual culture. not only general apps but also educational apps in Smartphones enable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in a variety of ways. and thereby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re improved. Art education using the smart. phone apps is effective in four different areas. First. by utilizing the equipment familiar with students in class.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re aroused. their motivation on learning is increased. and that lead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Second. the leaners are natural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around them and experience the creative process of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round them and voluntary involvement in it. Third. positive attitude on expressive activities improves interests in art. self-confidence and learning effects. This helps learners to find out art education necessary and useful in their lives and change the way they understand things. Finally. the self-directed learning while students use smart phone app allows them to repeat the diverse and creative exploration and attempt.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raise the divergent and flexible thinking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