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부동산 등기명의를 갖춘 소유자의 점유시효취득 가부 -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6다224596 판결 -

        정병호1 ( Byoung-ho Jung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1

        대상판결은 자기소유 부동산도 시효취득할 수 있다는 법리가 적어도 부동산 등기명의를 갖춘 소유자의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음을 종래 취득시효 제도의 취지인 사회질서 안정, 증명곤란의 구제의 관점에서 분명히 한 데 의의가 있다. 다만 위 법리가 등기명의를 갖추었는지 불문하고 현행 민법상 소유자와 관련해서는 운위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민법상 대항력 없는 매수인과 종래 판례이론상 명의신탁자와 같은 내부적 소유자와 관련해서도 불필요한 것임을 분명히 하지 않은 점이 아쉽다. 판례상 정반대의 법리가 공존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후자와 관련한 일단의 판결례에서 그 판단 근거로 제시된 위 법리를 명시적으로 폐기하기를 기대한다. 종국적으로는 판례이론상 소유권의 관계적 분열이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상판결은 소유자의 점유취득시효 주장에 대해 그가 등기명의를 갖추었다는 이유로 배척하지 않음으로써, 등기명의를 갖춘 무권리자의 점유시효취득 가능성을 열어두었다는 데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0Da89814 deals with the case as follows. The defendant put the real estate of his debtor under provisional attachment. After that the plaintiff purchased the estate from the debtor and registered it. Against the compulsory execution of the defendant the plaintiff raised the third party`s action for an objection on the ground of the completion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so that he acquired the personal ownership of the real estate originally and therefore the compulsory execution by defendant based on the attachment is invalid. The issue is that the possessor can acquire his own property by acquisitive prescription, what is widely accepted. The Supreme Court rejected the plaintiff`s claim based on the prevailing view for the reason that in the case of valid registration of ownership there is no need for owner to claim acquisitive prescripti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acceptable. The decision makes clear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stabilizing the social order and relieving the difficulty of proving which is the purpose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system, the rule approved by the prevailing opinion can not be applied at least to the real owner with valid registration. However, the Supreme Court could have better clarified that the rule can not be applied to the owner regardless of its registration and is not necessary for the purchaser under the old Civil Code and the nominal truster befor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In order to overcome the phenomenon of coexistence of opposing rules in the precedents, we expect the Supreme Court to explicitly discard the rule applied to latter case. Ultimately, the relational division of the ownership should be discarded. Also, the meaning of the decisi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opens to the registered non-owner the way to acquiring the ownership by possession over 20 years, because it does not reject the possessor`s clai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for the reason of his registered ownership.

      • KCI등재
      • KCI등재

        중간생략등기청구권과 중간생략등기의 효력에 관한 일고찰

        정병호(Jung, Byoung-Ho) 한국재산법학회 2014 재산법연구 Vol.31 No.1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의 성립에 관해 현재 학설은 대체로 관계당사자 전원 합의를 요건으로 하여 이를 긍정하고 판례도 이와 같다. 다수설과 판례는 당사자 사이에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있어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중간자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이전등기청구권은 소멸하지 않고 따라서 최종매수인은 중간자를 대위하여 최초매도인을 상대로 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고 본다. 다수설과 판례의 최대 약점은 최종매수인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중간생략등기청구권과 중간자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그리고 최종매수인의 중간자에 대한 등기청구권이 조화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청구권 법리상 최종매수인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등기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최초매도인의 의무부담의사가 존재하여야 한다. 관계 당사자의 중간생략등기의 합의에서 최초매도인의 최종매수인에 대한 이전등기의무를 부담한다는 의사를 발견할 수 있는지가 문제이다. 따라서 이는 의사표시 내지 계약의 해석 문제이다. 그러나 실무상 거론되는 중간생략등기의 합의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런 의사를 도출할 수 없다고 본다. 오히려 초기 판례가 언급하듯이 '이행에 편의를 봐주겠다'는 정도의 의미, 즉 "중간등기를 생략하여도 당사자 간에 이의가 없겠고 또 그 등기의 효력이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겠다는 의미"라고 새기는 것이 당사자의 의사에 부합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있더라도 최종매수인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등기청구권은 부인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본다면 보통의 경우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의 認否 문제는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의 관계규정을 효력규정인가 단속규정인가 하는 문제와 무관하게 된다. 또한 다수설ㆍ판례처럼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은 당사자 전원의 합의가 있어야만 이를 허용한다고 하면서도, 중간생략등기는 당사자의 합의를 불문하고 효력을 인정한다는 부조화가 생기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중간생략등기의 효력에 대해 판례는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상 관계규정을 단속규정이라고 보고, 당사자 간 대가관계, 보상관계라는 원인관계가 유효하게 성립되고 이행된 이상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없더라도 유효라고 보고, 현재 학설도 대체로 이에 동조하고 있다. 판례는 그 이유를 적시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나 중간생략등기가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한다고 한 것도 있다. 유효설을 취하는 견해도 대부분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제시하지 못했다. 무권리자의 처분에의 동의설은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을 뒷받침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이미 이루어진 중간생략등기의 유효성을 뒷받침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고 본다. 즉 최초매도인과 중간자 그리고 중간자와 최종매수인 간에 채권행위가 있고 무권리자인 중간자와 최종매수인 사이에 처분행위가 있더라도 권리자인 최초매도인이 이 처분을 승인하면 최종매수인이 적법하게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초매도인과 중간자 사이의 원인관계에 하자가 없는 한, 을의 처분에 대한 갑의 동의에 기초하여 갑에서 직접 병으로의 이전등기는 유효하다 할 것이다. A sells a parcel of his real estate to B, B sells it without entry in the land register to C. In the case arise two questions. Can C request from A, to be registered in the land register? Is the entry is valid when C is entered immediately after A in the land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dominant view, and the supreme court C may then require A to be registered in the land register, if all parties agree on such registration. But in normal cases of resale of real estate without intermediate registration which is often done by transfer of documents for registration, C don't have claim to A for direct registration, because A didn't want to obligate himself in spite of his agreement on the direct registration without intermediate registration. A thought at most that he will not mind if C will be by resale immediately after A registered. Regarding the second question the vast literature and the jurisprudence is of the opinion that the registration of C immediately after A is valid even without the parties' agreement if only obligations between parties are fulfilled. The result deserves approval. But the reason lies not in the agreement of all parties on the shortcut registration, but in the consent of A (according to § 185 para 1 BGB), with which non-authorized B's disposal of the real estate to C takes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로마법상 특유재산소권(actio de peculio) Ⅱ : 효과 1 ― 특유재산 가액 산정 ―

        정병호 ( Byoung-ho Jung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서울법학 Vol.31 No.4

        먼저 특유재산 가액 산정 기준시점에 관해 프로쿨루스 학파는 판결시설을 취했다. 특유재산에 산입되는 재산 항목 가운데 가외인의 노예에 대한 채무는 원칙적으로 산입되지 않으나, 주인이 특유재산소송의 원고에게 그 채권을 양도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산입되었다. 노예의 공유자 중 1인이 소구된 경우 특유재산 가액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소구된 피고가 설정한 것뿐만 아니라 소구되지 않은 공유자로부터 얻은 특유재산도 함께 산정되었다. 솔가권자의 노예·가자에 대한 채권은 가액에서 우선 공제되었다. 노예가 부속노예들을 가지는 경우 부속노예들이 정노예의 주인에게 부담하는 채무가 정노예의 특유재산에서 공제되지 않았으나, 정노예가 그 주인에게 부담하는 채무는 부속노예들의 특유재산에서 공제되었다. 부속노예들이 정노예에게 부담하는 채무는 그들의 특유재산으로부터 공제되나, 정노예가 부속노예들에게 부담하는 채무는 부속노예들의 특유재산을 증가시켰다. 노예가 주인의 피후견인, 피보좌인, 재산관리의 본인에게 부담하는 채무도 그들의 악의가 없는 한 공제되었다. 노예의 공유자 중 1인이 피소된 경우 노예가 피고 아닌 공유자에게 부담하는 채무도 공제되었다. 솔가권자의 채권에 대한 다른 구제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공제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매수인과 매도인 사이, 용익권자와 소유자와 기타 공유자가 아닌 자 사이 그리고 주인과 선의의 매수인 사이에서는 누구도 노예가 다른 자에게 부담하는 채무를 공제해서는 안되었다. 솔가권자의 노예나 가자에 대한 채권을 공제할 권리는 특유재산소송의 원고가 후견소권, 혼인지참재산반환소권 등 우선특권을 가지는 경우에도 관철되었다. 공제되는 채권의 유형도 계약상 채권이든 계산 후 잔여채권이든 가리지 않았고, 사무관리, 불법행위 채권도 공제할 수 있었다. 다만 불법행위채권의 경우에는 민사벌은 공제되지 않았다. 노예가 주인 생전에 사망한 후 주인이 1년 내에 여러 상속인들을 남긴 경우, 특유재산소권도 공제권도 분할되었다. 특유재산소권의 고시와 방식서에 따르면 솔가권자의 악의(dolus malus)에 의해 특유재산이 감소된 경우에도 유책판결(condemnatio)에 있어 이를 감안하였다.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related to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defendant's peculium. In the matter of determining the valuation time the Proculian school choose the time of judgement. Among the property items included in a peculium obligations of the one outside of the family to the slave were generally not included. However, if the master was ready to transfer those rights to the plaintiff in a lawsuit to the extent of peculium(actio de peculio), they were considered included. When one of the slave's co-owners was sued, not only the peculium the defendant has given, but also the peculium obtained from the co-owner who was not sued was included in the calculation. This was because the defendant could claim reimbursement by a actio pro socio or a actio communi dividundo if they had paid more than their share of the obligation. When determining the valuation of the peculium, the rights of the father or master over the son (child) or the slave were deducted first, as it was assumed that the power holder, pater familias had sued first. If a slave had sub-slaves(slaves of a slave), the obligation that sub-slaves bore to the master was not deducted from the peculium of the master, but the obligation that the master bore to sub-slaves was deducted from the peculium of the sub-slaves. The obligation that sub-slaves bore to the master was deducted from peculium, but the obligation that the master bore to sub-slaves increased their peculium. Obligations that slaves incurred to the owner's guardian, curator were also deducted unless there was malice on their part. When one of the slave's co-owners was sued, not only the obligation that the slave owed to the defendant but also the obligation owed to the other co-owner was deducted. If there were other remedies for the right of the power holder, the deduction was not allowed. However, between buyer and seller, creditor and debtor, and between owner and bona fide buyer, no one could deduct the obligation that the slave owed to another. The right to deduct the claim of the father or the master against the son or the slave was recognized even when the plaintiff of the actio de peculio had privileged rights such as the action of guardianship(actio tutelae) or the action to return matrimonial property(actio rei uxoriae). The type of deducted obligation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contractual obligations or residual obligations after calculation, and claims for unlawful acts could also be deducted. However, in the case of claims for unlawful acts, civil penalties were not deducted besides the amount of damages. If a slave died during the owner's lifetime and the owner left multiple heirs within one year, the actio de peculio and deduction right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edict and the formula of the action, if the peculium decreased due to the malice (dolus malus) of the father or the master, it was taken into account in the condemnation.

      • KCI등재

        기업들의 디지털전환(DX) 역량 수준에 따른 빅데이터 활용 차이 연구

        정병호(Byoung-Ho Jung),주형근(Hyung-Kun Joo)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4 e-비즈니스 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기업 변수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에 중요 변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역량을 수준별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어떤 디지털 전환 변수가 중요한지 분석할 것이다. 다수의 기업은 현재 디지털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을 채택하거나 디지털 전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이론적 배경으로 디지털 전환, 기업의 변화관리, 빅데이터 기반의사결정을 기반으로 정리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중 회귀 분석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업 행동으로서 기업전략, 조직문화, 사내 환경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집단변수로는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역량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전환의 역량 수준에 따라 집단별 빅데이터 활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 분석에서는 기업전략, 조직문화, 조직 분위기등은 빅데이터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집단별 회귀 분석에서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요한 변수들도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기업전략이론을 통한 경영정보시스템 연구 업데이트를 제시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디지털 전환의 수준을 고려한 기업전략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조직문화, 사내 분위기를 변화시켜야 한다.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important variables promote the use of big data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companies. It will also analyze which important variables of digital transformation are for each group.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digital transformation, change management, and big data-based decision-making. Research Methods: The model of this study focuses on causal relationships and analyz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The research method used cluste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se of big data depending on the level of capability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regression analysis, corporate strategy,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atmospher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 of big data. In the group-specific regression analysis, important variabl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were also different. Research Conclusi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to updat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through corporate strategy theory. Practical implications require corporate invest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 KCI등재

        로마법상 특유재산소권(actio de peculio) Ⅲ: 효과 2 ― 소송상 특수문제 ―

        정병호 ( Byoung-ho Jung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서울법학 Vol.32 No.1

        소송상 문제로는 주인이 특유재산소송에서 유책판결 받은 경우에는 이 판결 채무는 후속 특유재산소송에서 공제되나(Ulp. 29 ad ed. D. 15, 1, 9, 8), 반대로 선행 특유재산소송이 아직 계속 중이고 후행 특유재산소송 판결이 나오는 경우, 선행소송이 후행소송의 유책판결에 있어서 결코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Gai. 9 ad ed. provinc. D. 15, 1, 10). 이미 특유재산소송의 피고로서 노예에 대한 채권을 공제한 자가 다른 채권자에 의해 특유재산소송을 당한 경우 다시 같은 채권을 공제할 수 있는지에 관해, 네라티우스, 네르바, 율리아누스는 주인이 이것을 특유재산에서 가져간 경우에는 다시 공제해서는 안 되나, 특유재산을 원상태로 둔 경우에는, 공제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Ulp. 29 ad ed. D. 15, 1, 11, 3). 이 견해에 따르면 특유재산 가액 산정 문제에 있어서 솔가권자가 노예나 가자에 대한 채권을 다른 채권자들에 앞서 추급하는 것으로 정당화된 공제권은 솔가권자가 실제 채권의 만족을 받기까지는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권리인 셈이다. 특유재산소권의 채권자들은 유책판결을 얻어낸 순서대로 우선권을 가졌다. 그런데 강제집행상 특권이 인정된 혼인지참재산소권과 후견소권과 같은 경우에는 다른 채권자의 소권보다 집행상 우선권이 인정되었다(Paul. 4 quaest. D. 15, 1, 52, 1; Ulp. 33 ad ed. D. 24, 3, 22, 13). 한번 특유재산소권으로 소구하였으나 특유재산의 부족으로 잔여채무를 갖는 자는 향후 특유재산이 증가된 경우 채무 잔액에 관해 소구할 수 있다(Ulp. 29 ad ed. D. 15, 1, 30, 4; Ulp. 2 disp. D. 15, 1, 32pr.; Paul. 4 ad Plaut. D. 15, 1, 47, 3). 그리고 특유재산소송에서 원고의 채권액보다 특유재산 가액이 적은 경우, 특유재산이 장래 증가하는 경우 추가로 변제할 것이라는 담보제공을 원고가 요구할 수 없다는 것이 통설이었다(Paul. 4 ad Plaut. D. 15, 1, 47, 2). 특유재산소송으로 인해 노예의 주인에 대한 채무가 소진되지는 않는다. 특유재산소송의 계속 후에도 노예의 자연채무는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이를 소멸시키는 변제나 이를 담보하기 위한 보증도 가능하다(Pap. 9 quaest. D. 15, 1, 50, 2). 정노예 명목으로 주인을 상대로 특유재산소권을 행사한 채권자는 부속노예 명목으로는 특유재산소권을 행사할 수 없으나, 반대의 경우에는 가능하였다(Ulp. 29 ad ed. h.t. 19pr.). In terms of lawsuit issues, if the owner received a judgment of defeat in a actio de peculio, this judgment obligation could be deducted in subsequent lawsuits extant to peculium. On the contrary, if the secondary lawsuit was still ongoing, and the judgment of the secondary lawsuit came out, the primary lawsuit should never be considered in the judgment of the secondary lawsuit. Regarding whether the person who had already deducted the claim against the slave as the defendant in the lawsuit could deduct the same claim again if sued by another creditor in a subsequent lawsuit, Neratius, Nerva, and Ulpian held the position that if the owner took it away from the peculium, it should not be deducted again, but if the peculium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t should be deducted. According to this view, the right to deduct the claim against the slave or the son in determining the valuation of peculium was justified as the continuous right until the actual satisfaction of the claim. The plaintiffs of the actions extant to the peculium had priority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y obtained the judgment of condemnation. In cases where the action for the recovery of the dowry and the action of guardianship, to which the privilege was granted at the compulsory execution, they were given priority over other creditors' claims in execution. If someone had sued by the actio de peculio but had remaining obligations due to the lack of peculium, he could pursue the obligation balance if the peculium increased in the future. And if the valuation of peculium was less than the plaintiff's obligation amount, the plaintiff could not demand additional assurance to cover the remaining debt when the peculium increased in the future. The obligation of the slave to his master was not extinguished by the exercise of the actio de peculio. Even after pendency of the lawsuit extant to the peculium, the natural obligation of the slave remained, so it was possible to extinguish it by paying or provide a guarantee to secure it. After exercising the actio de peculio against the owner for the obligation of a slave, the actio de peculio for the obligation of the sub-slave was not to exercise, but the opposite was possible.

      • KCI등재

        요물계약 개념의 유래와 현행법상 요물계약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정병호(Jung, Byoung Ho) 한국법사학회 2016 法史學硏究 Vol.53 No.-

        우리 민법은 전형계약 가운데 과거 구민법 아래서 로마법의 전통에 따라 요물계약이던 것을 모두 낙성계약으로 전환시켰다. 최근 외국의 입법동향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경향에 반해 다수설과 판례는 대물변제와 계약금계약을 요물계약으로 본다. 요물계약설에서는 계약을 채권관계를 발생시키는 합의에 한정하지 않고, 널리 법률관계의 발생, 변경, 소멸이라는 효과를 가져 오는 당사자의 합의로 이해한다. 여기에는 채권계약 이외에도 물권계약, 준물권계약, 가족법상 계약, 해제권유보약정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요물계약 개념의 시초인 로마 고전법에 따르면 계약은 채권관계를 발생시키는 합의에 한정되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요물계약설에 대해서는, 우선 요물계약으로 구성해야 할 법정책적인 필요가 있는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로마법 상 요물계약을 둔 정책적 이유에 대한 탐구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무이자소비대차, 사용대차, 무상임치는 대체로 가까운 사이에서 성립한다. 이런 관계에서는 情誼에 의해 쉽게 금전이나 물건을 빌려주거나 맡아주기로 약속할 수 있는데, 이런 약속에 기초하여 약속의 이행을 청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으로 추측된다. 대물변제와 계약금계약(또는 약정)의 경우에 요물계약이라는 구성이 불가피한지도 의문이다. 그러나 대물변제를 계약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그와 관련한 법률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면, 굳이 채권발생의 한 원인이라는 전통적인 계약 개념을 벗어나 채무변제라는 법률효과에 대한 합의까지 계약의 개념에 포함시키고, 계약의 현대적 경향에 거슬려 요물계약 및 그 예약이라는 복잡한 구성을 하여야 하는지 의문이다. 그리고 계약금계약(또는 약정)을 낙성계약이 아니라, 요물계약으로 구성하면 해약 가능 여부가 계약금을 지급하기로 한 자의 자의에 의존하게 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된다. 요컨대 낙성계약이 원칙이 된 현행법에서 요물계약이란 개념을 전통적인 맥락과 거리가 있는 사안에 적용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계약의 본질이 합의인 이상 전통적인 채권계약의 의미 이외에 물권계약, 해제권유보약정, 채무변경계약 등 당사자의 합의에 의해 법률관계가 형성되는 경우에 계약이란 용어를 넓게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나 이처럼 채권계약 이외의 계약에 대해서까지 전통적으로 채권계약의 한 유형이었던 요물계약과 결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KCI우수등재

        판례평석(判例評釋) : 물권적 청구권이 채권자대위권의 피보전권리가 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07. 5. 10.선고 2006다82700, 82717 판결 [판례공보 2007. 6. 15.(276), 857]-

        정병호 ( Byoung Ho Jung ) 법조협회 2008 法曹 Vol.57 No.10

        물권적 청구권은 채권자대위권의 피보전권리가 될 수 있다는 통설과 대상판결의 추상적 법률론은 재고를 요한다. 우선 물권적 청구권이 채권자대위권의 피보전권리로서 문제될 만한 사안 자체가 극히 적다. 대상판결의 사안 이외에는 저당권자가 소위 저당권의 효력으로서의 방해시정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해 저당권설정자의 방해배제청구권을 대위 행사하는 경우 정도를 생각할 수 있을 뿐이다. 그 경우조차도 물권적 청구권을 청구권의 상대방인 채무자에 대해서 직접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다른 구제수단이 있는 경우에도 채권자대위권의 행사를 허용할 것인가가 문제이다. 채권자대위권의 보충성 문제는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 임대인의 방해배제청구권을 대위 행사하는 경우,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있는데도 등기청구권을 대위 행사하는 경우에도 문제된다. 직접적이고 원칙적인 구제수단이 있는데도 굳이 추가로 채권자대위권이라는 우회로를 인정함으로써, 대위 행사로 인한 비용상환 문제 등 생략했어도 될 법률문제를 생산해 내는 것 바람직하지 못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