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마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정병춘,안영섭,정미남,이준설,오양호 韓國作物學會 2002 한국작물학회지 Vol.47 No.S

        The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is one of the important summer upland crops in Korea and has been used as human food, industrial yaw material and vegetable. Sweetpotato has been consumed for human foods such as boiled, roasted, fried or salad etc. It should be developed for higher quality as a snack or health food, primarily through improving the eating and marketing qualities as well as nutritional value. Its quality after cooking or processing is a complex one combining the aroma, taste, texture and fiber content. The other important qualities for consumers are root shape, size, skin color, flesh color, insect and disease resistance, nutritional components and safety from phytoalexins(toxic stress metabolites) etc. Korean people generally prefer to red skin color, round or elliptic shape and dry texture, yellow flesh color of sweetpotato which is high in starch content including vitamins and nutrients. The almost factors of quality components of sweetpotato are genetically controlled by breeder, but postharvest handlings and marketing management for making high quality goods should be done thoroughly according to th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of sweetpotato from the moment of harvest until shipping them to the market by farmers and the other users. This paper describes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quality evaluations and researches in sweetpotato roots in Korea.

      • KCI등재

        국내 육성 고구마 품종의 교잡화합 및 불화합성

        정병춘,안영섭,민경수,정미남,이준설,오양호,국용인 한국육종학회 2002 한국육종학회지 Vol.34 No.3

        Korean sweetpotato, Ipomoea batatas, varieties were examined for the cross-compatibility and -incompatibility through inter-crosses among them to obtain the fundamental genetic informations for enhancing the heterosis breeding efficiency. The pollen germi

      • 毅齎 許白鍊 先生의 哲學思想과 茶生活 精神

        丁秉春 계명대학교 차문화연구소 2010 계명대학교 차문화연구소 학술심포지엄 Vol.1 No.-

        의재 허백련(1891-1977) 의 87년(만 85년 2 개월)의 생애는 그림을 그리고 춘설차를 가꾸고 다도를 보급하며, 농업고등기술학교를 창설운영하고,단군을 현양(顯揚)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는 1938년 47 세 때 광주에 정착했으며 네 가지 일들이 그 후반생 40년을 산 광주에서 이루어 졌다. 최후의 남화의 대가로서 그림을 그렸고 연진회를 창립,호남일대에 독특한 예술의 기풍을 심었다. 그것은 모두 어질게(仁)사는,그리고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하는 (弘益人間) 삶이었다(李興雨, 1998). 이러한 삶의 바탕에는 대학의 도와 중용의 도가 깔려있었다. 하늘로부터 받은 천성 즉 명덕(明德)을 밝혀 지키는데 차의 덕을 이용하였으며 능력계발을 위한 정신집중에도 차를 안내자로 삼았던 것이다. 또 매사를 추진함에 있어서 거짓과 편견이 없고 겸손하며 지극히 근면 성실한 자세야말로 중용의 중화와 성을 따르는 대인의 길이요 지도자의 킬로 믿고 실천하고자 하였다. 하늘의 도에 어긋나는 불선과 무능,게으름과 나약함은 마음과 정신의 오염과 육체의 과욕에 의한 결과로 보고 부패를 막기 위해 소금역할을 하는 수선다도생활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차를 마시는데 있어서는 어떠한 절차보다는 때와 장소, 그리고 다도를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자유스럽게 마시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만 수련과 수양을 위한 다 생활에서는 철저하게 생각과 마음을 관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차를 마시며 명상으로 속기를 씻어내고 정신을 집중하여 거문고소리를 그리려했고 자선의 마음과 정신을 그리려했으며 차의 향기처럼 아름다운 삶을 살고자 했다. 그가 남긴 교훈과 업적 그리고 못다 이룬 그의 소망은 후손들과 제자들 그리고 다인들이 계승하고 또 가꾸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毅齋 許百鍊 先生의 茶生活과 哲學思想

        丁秉春(Jeong Byeongchon),許達哉(Huh Daljae) 한국차학회 2005 한국차학회지 Vol.11 No.3

        According to the historical documents, every Korean Confucians and Buddhists have been handing down traditional tea art philosophy as follows : to achieve one's ideological goal or will, one must follow one's natural character(明德, 性) that received from Heaven and keep up its originality(明明德, 道) with strong determination and act in meditation while drinking tea for the purification of mind and body. The tea art philosophy of Uijae Huh Baeklyeon(毅齋 許百鍊) may similarly be summed up while he was practicing the essential values (honesty and diligence) in life with sincerity(至誠). The purified in order not to be tainted with human desire. Thus, the mind can be strengthened and purified through meditation while drinking a cup of tea. And with the attitude to work patiently, diligently and honestly, the very essence for anybody who wants to live a more truly human life. Whenever absentmindedness brings about laziness, drinking a cup of tea, the mind and will to be sincere is strengthened through meditation to carry out things to the end. He painted with a discipline mind in order to express his spirits and ideas on the scroll, made from Chinese paper(畵宣紙紙), after drinking tea deep in meditation. Uijae managed himself through such a tea drinking life and he made efforts to develop his potential abilities and had achieved his goals. His other ideological goals in life were devoted for the welfare of humankind(弘益人間思想), practiced the three kinds of love(三愛精神) [loving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human beings(愛天, 愛土, 愛家)] and unified the mind and body and struggled to reach the highest enlightenment. Through his tea drinking life as a part of spiritual training, he exerted efforts to disseminate the way of tea so that the people may develop both mental and physical dignity as an exemplary and notable citizens. Furthermore, he ran a tea farm with tea factory and produced black or green tea, sold them in all over the country, and he invested the profits in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Thus, Uijae was not only an oriental painter but a patriot, a philosopher, and an educator. Importantly, he was a tea artist who revived the tradition of tea culture in Korea.

      • KCI등재

        차나무 영양계품종의 육성연한 단축방안

        정병춘(Byeong-Choon Jeong),송연상(Yeon-Sang Song),문윤호(Youn-Ho Moon),한선경(Seon-Gyeong Han),방진기(Jin-Ki Bang) 한국차학회 2006 한국차학회지 Vol.12 No.3

        The big problem of tea tree cultivation in Korea is that almost all tea tree gardens have been making with tea tree seeds gathered from the native land or artificial tea tree gardens. The second problem is that those seedling gardens are located in mountain slopes. These situations cause lower yield and make it difficult to mechanize tea farming, which in turn raises production cost and consumer price. In the case of seedling tea tree fields made with true seeds, over 80% of total tea tree gardens, are different in sprouting time and growth type among individuals and as a result, yield decreases and the quality of products is not unifor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clonal cultivars with disaster-resistant, high quality and high yielding features. The tea products made from the leaves of these tea cultivars must fit to koreans 'taste, and must be expanded to tea tree garden in plain areas. Another important thing is to improve safer material by adopting the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practice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lower production and processing costs for a lower consumer price, and to promote high quality. The other important things for popularization of tea consumption at home and export to overseas markets by organizing and enlarging of farmers or factories for tea products.

      • KCI등재후보

        역사를 통해서 본 한국 차 산업 발전 저해요인과 극복방안

        정병춘(Byeong-Choon Jeong),문윤호(Youn-Ho Moon),송연상(Yeon-Sang Song),한선경(Seon-Kyeong Han),방진기(Jin-Ki Bang) 한국차학회 2007 한국차학회지 Vol.13 No.3

        조선 개국부터 1945년까지의 한국 차 문화는 침체상태로 경과되었다. 억불숭유정책으로 인한 불교탄압이 차밭면적과 차 생산량 그리고 차 공급량 감소를 초래하여 서민들은 부모 제사상에 올릴 차도 구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도한 차세징수 등은 결국 서민들의 차 생산과 차 소비생활을 못하게 억압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구한말의 조정이나 왕실에서는 많은 차를 필요로 하면서도 차 국내생산에 보다 더 적극적 대처를 하지 못하였으며 외국인들의 많은 차 산업화 권유에도 소극적이었다. 찬란했던 신라와 고려시대의 차 문화가 불교와 같이 억압받으면서 시들어지고 말았다. 왕실이나 조정에 차 문화나 산업의 중요성을 주장할만한 지도자가 없었다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아사자가 속출하는 춘궁기, 보릿고개 등 가난으로 차 마실 여유가 없었던 것도 중요한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특히 1906년에 권업모범장이 만들어지면서 많은 작물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는데도 차에 관한 연구가 빠진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일본인들이 자국에서 차를 수입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식량부족시대로 먹거리 작물이 기호작물보다 중요하였던 까닭이 더 유력한 원인이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해방 후의 여러 가지 차 관련 기록들을 통해 우리가 반성하고 받아드려야 할 점은 첫째, 저질홍차 사건과 같은 일이 다시 발생되게 해서는 아니 되며 둘째, 커피와 술의 소비증가추세를 차 소비확대로 억제시켜야한다는 점이다. 전통차가 있는 나라에서 차류 판매액의 66%가 커피이며 전통 차는 13여%에 불과하다(2000, 식품산업연구원). 또 술 판매량도 계속 늘고 있어서 세계인들로부터 적색신호를 받고 있다. 한국 차의 정신을 생활화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는 많은 차인들은 엘리트 선진국민이 될 수 있는 자격조건에 차와 술, 차와 커피의 소비비율을 각각 1대1로 지킬 것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셋째, 차 문화 부활과 차 산업발전을 위한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은 철저한 분석검토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지원되어야 하며 넷째, 정부에서는 차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차 연구기관의 연구역량강화를 위해 적극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해방 후와 1962년 후 차 산업화 촉진 또는 커피수입 억제를 위해 여러 가지 차 관련 정부의 정책이 집행되어 효과를 보기도 하였으나 농업의 특성과 일의 원칙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업적위주의 일 추진에서 불량 홍차 사건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깊이 반성해야 하며 커피수입 완화라는 후속조치는 우리 국민을 커피 애호가로 만들고 당초 목적과 달리 오히려 전통차를 멀리하게 한 매우 부끄러운 조치로 다시는 유사한 사례가 없도록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차인 1세대들의 업적에 대한 자료를 수집 종합 정리하여 후세들이 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보존해야 할 것 등이다. 최근 들어 야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배경으로 한국 차 산업 발전을 위해 추진해야할 가장 중요한 일은 녹차재고 증가요인을 명확히 분석하여 시급히 해결하는 일과 안전성 확보방안을 모색하여 단계적으로 철저하게 실천하여 소비자들에게 시급히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다. 또 고생산비 원인을 개선하고 차 소비자 가격을 낮추어야하며 국내외 소비자들의 기호성에 맞는 품질의 차를 개발하여 국내 대중화와 수출의 길을 모색 추진하여야 한다. 국내 Flourished during the Silla and Goryeo dynasty, the tradition of Korea’s tea culture has been maintained although through difficult times. There were unfortunate historical events that significantly hindered or undermined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 such as the Joseon Dynasty’s policy of oppressing Buddhism, excessive tea tax collection, ignorance of the Royal Court with regards to the tea industry, indifference about tea research by the Korean government after gaining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colonization, the introduction of inferior black tea, easing of coffee import regulations, delay in the scientific study of tea (starting in 1896 in Japan, Korea in 1992), various meteorological disasters, pressure to import tea, and increase of the green tea stockpile due to the increase of fermented tea. Korea’s tea culture is lagging behind because of such turbulent history and is currently threatened by Japanese and Chinese culture. Korean tea lovers are making every effort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Korea’s own tea culture. In particular, with media reports that agrichemicals were found in green tea, the public’s distrust has grown and green tea consumption has been greatly decreased. Tea stores are returning goods on display and tea farmers are increasingly giving up production. It is impossible to advance the tea industry without the public’s trust in the safety of tea. And without development of the tea industry, the tea culture of Korea cannot really grow either. We cannot talk about the spirit of Korean tea with Chinese or Japanese tea prepared on the table in front of us. Now, every tea man should try to complete his own duties in his field in order to keep such case from occurring. I, hereby, tries to present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 industry by pointing out the historical problems and solutions with the tea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