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터와 관용 -신앙과 사랑 사이의 긴장-

        정병식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9 No.-

        루터10년 프로젝트가 2008년부터 독일에서 진행 중에 있다. ‘종교개혁과 관용’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 연중 주제이다. 이 글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의 연중테마인 ‘종교개혁과 관용’을 루터에게만 제한했다. 루터의 불관용적 태도는 교황, 이슬람, 농민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입장에서 볼 수 있으나, 여기서는 농민, 이슬람 그리고 유대교에 대한 루터의 입장만을 다룰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관용이라는 현시대적 요청 앞에서 불관용적 태도를 지적한 루터비판에 무조건 동조 내지는 무조건적인 변호에 있는 것이 아니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관용은 근대의 산물이며, 종교개혁 시대에는 아직 발아하지 못했다. 루터의 행동은 신학적 행동이었으며, 루터의 입장 역시 신학적 입장이었음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루터의 입장을 그의 저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농민전쟁, 이슬람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상호 긴장을 이루지만, 믿음을 중시한 나머지 자신의 신학적 판단을 따라가는 확고부동한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10 Year Luther Project has been ongoing in Germany since 2008. During the ongoing 10 Year Luther Project,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Tolerance” is the theme for 2013. This writing was limited only to Luther during the ongoing annual 10 Year Luther Project. Luther’s intolerable attitude may be seen from the point of the pope, Islam, peasants and the Jews; here the writing will deal only with Luther’s stance on the peasants, Islam and Judais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just to blindly agree or defend the criticism of Luther’s intolerant attitude in light of the demands of the tolerant current times. In light of modern times tolerance is the fruit of modernity, It was not able to germinate during the Protestant Reformation. Luther’s action was a theological one, thereby Luther’s stance is also that of a theological one. The purpose is to draw that out. In this thesis Luther’s stance was considered from the point of his writings. Although there is a mutual conflict in the Peasants’ Rebellion, Islam and his faith and love for the Jews, a firm attitude was confirmed in his emphasis on faith which follows the rest of his theological decisions.

      • KCI등재후보

        한국강제병합과 한국성결교회의 시작

        정병식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5 No.-

        In light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3.1 Movement, this thesis will debate the historical process and the issues regard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use of the words, the Japanese union with Korea is not appropriate. Union denotes a peaceful agreement on the part of two different types of government to form a new type of government. But the forceful actions on the pa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was based on the use of false docum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militaristic force. In terms of a union the word force is more applicable. This thesis dealt with the forceful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e procedure and the cunningly crafted illegal actions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birth of the Oriental Missions Society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came in 1907, at a time of national crisis. As the victor of the Russo-Japanese War in 1904, the Japanese forcefully emphasized the Ulsa Treaty and openly stated its desire for colonization. The patriotic resistance spread like wildfire throughout Korea. In 1907 a national financial repatriation movement 82 신학과 선교 제54집developed. In June of the same year, Ko Chong sent a Korean emissary to the Hague and the Japanese responded by removing him from power, followed by Soon Chong's ascension to the throne. In the midst of the Korean king being removed from power,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once again began to sow life through the gospel. Barely three years later the Japanese forcibly annexed Korea. The depressed spirit due to the binding of the nation was being revitalized through the evangelical movement. In 1908 with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t the forefront, a great revival broke out, with Seoul at the center, leading into the winter of 1910 and the 1911 one million people movement.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hrough faith spread the gospel to the people of this country which had her land taken away to hope for a new nation. If there is a great contribution made by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o the Korean society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annexation in the early 1900s, it would be the moral reforms of the Korean society through the holiness movements and revivals. 이 논문은 3.1운동 백주년을 맞아 한일병합조약의 역사적 과정과문제를 살피고, 같은 시대에 움튼 성결교회의 태동을 논했다. 용어적으로볼 때, 한일합방 혹은 한일합병 등은 적절한 용어가 아니다. 합방 혹은합병은 서로 다른 두 체제가 평화적으로 합의하여 새 국가를 만든다는뜻이다. 그러나 1910년도에 이루어진 일제의 강제조치는 일제 군경의위력에 의한 허위 문건으로 성사되었다. 병합에는 강제라는 단어가 결합해 강제병합이라고 해야 옳다. 이 논문은 한일강제병합의 시대적 배경과절차 및 병합조약이 철저히 일제에 의해 치밀하게 불법적으로 이루어진것임을 다루었다. 1907년에 세워진 성결교회의 동양선교회복음전도관은 국가적 난세에 태동했다.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1905년 을사조약을강요했고, 식민지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의병의 저항이 전국에서불같이 번져나갔다. 1907년에는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었다. 같은 해6월 고종은 헤이그 밀사를 파견했다가 일본 통감부에 의해 강제 퇴위를당했다. 그리고 순종이 즉위했다. 나라의 왕이 강제로 쫓겨나는 국난의절정에서 한국성결교회는 복음으로 다시 생명을 심어 나가기 시작했다. 그 후 불과 3년 만에 일본은 한국을 강제병합시켰다. 국운 쇠락의 침체된기운이 활발한 복음전도운동을 통해 되살아나고 있었다. 1908년 성결교회 주도의 대부흥이 서울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1910년 겨울과 1911년백만인구령운동이 전개되었다. 성결교회는 신앙을 통해 새 나라를 희망하도록 나라를 빼앗긴 이 민족에게 복음을 전하고 그리스도의 사랑과성결을 전하는 전도활동에 주력했다. 1900년대 초기 한일강제병합 시기에 성결교회가 한국사회에 끼친 커다란 공헌이 있다면 성결운동과 부흥운동을 통한 한국사회의 도덕적 갱신이다.

      • KCI등재

        마르틴 루터와 성령: 1520년대를 중심으로

        정병식 한국교회사학회 2016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3 No.-

        이 논문은 루터의 성령이해를 다루었다. 루터는 고대교회의 삼위일체 이 해를 계승하고 있고, 삼위의 관계나 본질에 대한 다른 견해를 갖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성령의 활동에 대한 이해는 그에게 매우 중요했다. 왜냐하 면 종교개혁 진영 내부에서 개혁의 정당성을 성령의 직접적인 지시나 내적 명령에 두는 사례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 주된 논의의 유발자는 칼슈 타트와 토마스 뮌처 그리고 소위 츠비카우 예언자들이었다. 이들은 행동의 근거를 성령의 직접적인 역사와 내적 지시에 두며, 개혁의 방향을 주관적 으로 선회하려고 했다. 평신도들에게 성령의 소유를 촉구하며, 성령의 지 시를 받는 자신들만이 참된 하나님의 종이라고 주장했다. 이들로 인하여 루터는 성령의 역사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숙고했으며, 성서를 토대로 상세히 반박했다. 루터에게는 내적인 깨달음보다 객관적인 하나님의 말씀 이 더 중요했다. 그는 성령의 역사를 말씀보다 앞세우지 않았다. 성령의 역 사에 대한 루터의 사유는 대체로 1520년대 초기와 중반에 열광주의자들과 의 대립 속에서 계속 형성되며, 1520년대 후반에 집중적으로 발간된 고백, 대교리문답서, 소교리문답서 그리고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에 표명되어 있다. This thesis dealt with Luther'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Luther carri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from the old church, and has no other view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r the essence. However an understanding of the activity concerning the Holy Spirit was very important to him. Within the Protestant Reformation circle there were instances concerning the right of the Reformation of the Holy Spirit's direct orders and internal commands. The initiators of those arguments were Andreas Bodenstein von Karlstadt, Thomas Müntzer and the Zwickau prophets. They placed the evidence of action as the Holy Spirit's direct work and internal order, and tried to course the direction of the Reformation subjectively. They emphasized that they were the only true servants of God who received orders from the Holy Spirit and encouraged the possession of the Holy Spirit to the laity. Due to their actions Luther, once again deeply pondere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with Scripture as his basis repudiated their arguments. For Luther the objective Word of God was more important than internal enlightenment. He did not put the work of theHoly Spirit ahead of the Word. Luther's thoughts concerning the work of the Spirit was continually formed in the early and mid 1520s in his disputes with the Schwärmer,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1520s is expressed with the publication of Confessions, the Longer Catechism, the Shorter Catechism, and the Augsburger Konfession.

      • KCI등재

        마르틴 루터와 존 웨슬리의 신학적 접점 연구 - 칭의와 성화를 중심으로 -

        정병식 한국교회사학회 2018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9 No.-

        이 글은 웨슬리에게서 나타나는 루터 신학의 흔적을 원자료를 중심으로 추적한 연구이다. 그동안 루터와 웨슬리는 칭의와 성화에 상반된 강조를 했다고 서술해왔다. 그 결과 루터를 칭의의 신학자요, 웨슬리를 성화의 신학자라고 칭하고, 이 둘 사이에 커다란 신학적 괴리를 만들었다. 심지어 루터는 이신칭의를 발견한 공은 있으나, 성화에 대한 강조가 없다고 평가절 하하는 반면, 성화를 강조한 웨슬리를 종교개혁의 완성자로 과대평가하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루터와 웨슬리는 다름이 아니라 같음의 카테 고리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웨슬리가 말하는 사회적 성화에 대한 단초는 루터의 『선행에 관하여』(1520), 『그리스도인의 자유』(1520) 등 여러 글에서 충분히 발견된다. 성화에 대한 루터의 언급도 『교리문답서』(1529)에 충분히 개진되어 있다. 웨슬리에게서 발견되는 칭의와 성화에 관한 신학적 출처는 그 단초가 종교개혁, 특히 마르틴 루터의 신학에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루터와 웨슬리 사이에 매개물을 찾고, 웨슬리 신학에 등장하는 루터신학적 접점을 찾는데 있다. 접점이란 만나면서 살짝 스치고 다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루터와 웨슬리의 신학적 스펙트럼이 넓고, 제한된 지면은 모든 것을 다루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칭의와 성화라는 주제로 제한했다. 사실 루터의 칭의론은, 웨슬리 도 이점에서는 마찬가지이지만, 독립된 영역이 아니다. 그것은 죄, 인간, 은총 등 기독교 신학의 핵심 영역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소논문에서는 또 다른 신학적 영역으로의 확장을 자제하고 칭의와 성화의 이해만을 다루었다. 루터와 웨슬리는 칭의와 성화에 대해 같은 틀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서로 다른 결과에 이르렀다. 루터는 칭의와 성화를 서로 다른 개념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반면 웨슬리에게는 순간적 요소와 과정적 요소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그렇지만 칭의와 성화를 하나님의 행위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둘 모두에게 공통된 사항이다. 논문의 의의는 칭의와 성화에 대한 루터와 웨슬리 신학을 이해하는데 루터와 연관된 통전적인 시각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original writings appearing in Wesley concerning the remains of Luther's theology. Up to now the writings have pointed to the different emphasi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Luther and Wesley. As a result, a theological gap was created by labeling Luther as a theologian of justification and Wesley as a theologian of sanctification. Even to the point of saying that although Luther contributed in discovering justification but due to his lack of emphasis on sanctification he is given lesser credit; on the other hand Wesley, the one who emphasized sanctification is over-credited and seen as the one who perfected the Protestant Reformation. However, Luther and Wesley need to be studied in a similar and not in a different context and category. The basis for Wesley's social sanctification is abundantly found in Luther's Concerning Good Works(1520) and The Freedom of the Christian(1520). Concerning Luther's reference to sanctification is abundantly seen throughout his Catechism(1529). Wesley's theological references to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drawn from the Protestant Reformation, particularly in Luther's theology.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over the connection between Luther and Wesley, and also to find the encroaching point in Wesley's theology based on Luther's theology. The encroaching point denotes a slight meeting and then returning to its point of origin. However, both Luther and Wesley's theological spectrums are wide and there is a limit in trying to deal with all the aspects. As a result, the theme has been limited to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fact in Luther's justification, as in Wesley's, it is not an independent domain. It is closely related with sin, man, grace and the focal areas of Christian theology. In this short thesis it refrains from expanding to another theological domain and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lthough Luther and Wesley have similar frameworks concerning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hey drew different results. Luther does not understand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being different concepts. On the other hand, for Wesle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stant and gradual elements. However the common ground is found in the fact that both understand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works of God. The point of this thesis is found in understanding of Luther and Wesley's theology concerning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nd putting forth a comprehensive outl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