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형성되는 교사-학생 관계가 학생들의 도움요청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홍식(HongSikCho),정병근(ByoungKeunJu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의 교사-학생 관계가 학생들의 도움요청 행동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에 재학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교사-학생 관계의 설문지와 도움요청 행동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4.0 program을 가지고 기술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학생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신뢰감요인은 인식의 정도가 높았으나, 친밀감요인은 인식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도움요청 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또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회피적 도움요청은 인식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편의적 도움요청과 필수적 도움요청요인은 그렇게 높게 인식하지 않았다. 셋째, 체육수업 속에서 형성되는 교사-학생 관계의 하위요인 중 개방성, 친밀감, 신뢰감요인은 학생들의 도움요청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분적으로 성실성요인은 도움요청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ch influence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s would have on the students' help-seeking behavior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that purpose, a survey was taken among 49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ith a questionnaire about teacher-student interactions and another about help-seeking behavi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Ver. 14.0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overall perception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was low with high perception of the reliability factor and low perception of the intimacy factor. Secondly, their overall perception of help-seeking behavior was also low. While their perception of avoidance of help-seeking was high, that of convenient and necessary help-seeking was not very high. Third, openness, intimacy and reliability of the sub-factor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formed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students' help-seeking behavior. But the sincerity factor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help-seeking behavior.

      • KCI등재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도움요청 행동과의 관계

        조홍식(HongSikCho),정병근(ByoungKeunJung)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도움요청 행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도움요청 행동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에 재학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으로 450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가지고 일원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성적과 성취도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 효능감 요인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신감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생들의 성적과 성취도에 따른 도움요청 행동은 하위요인(도구적, 실행적, 회피적 도움요청 행동) 모두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도움요청 행동(도구적, 실행적 도움요청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회피적 도움요청 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help-seeking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 how much influenc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would have on their help-seeking behavior. For those purposes, 450 student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the popul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Gathered data were put to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PASW Ver 18.0 statistics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th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tudents’ grades and achieveme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fidenc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factors(instrumental, executive, and avoidance help-seeking behavior) of help-see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ir grades and achievements. Third,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instrumental and executive help-seeking behavior and negative(-) impacts on their avoidance of help-seeking behavior.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도움요청에 관한 연구

        이종철(JongChulLee),조홍식(HongSikCho),정병근(ByoungKeunJung)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체육수업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도움요청을 안 하는 학생들과 도움요청을 하는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을 통해, 누구에게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도움을 요청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상을 규명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도움요청을 안 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손해 가능성을 인지하고도, 도움요청을 망설이거나 회피하는 나 홀로 학습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또한 체육수업 안에서 자유스러움 속의 편안함을 즐기며, 교사와의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하고, 수업의 간섭과 통제로부터 벗어나고 있었다. 이처럼 도움요청을 안 하는 학생들은 자기만의 반복적지속적인 선호 경향성으로 어떤 도움과 관련된 행동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앞으로의 태도에도 무(無)변화의 계속성을 주장하였다. 둘째, 도움을 요청하는 학생들은 상황에 따라 편안한 친구와 부담스러운 선생님에게 번갈아 도움을 요청하고 있었으며, 순회지도의 틈새시간을 활용하였다. 학생들이 도움을 요청하는 이유는 교사에게 인정을 받고 점수의 매개와 기능성취에 대한 진보의 연계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적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도움요청을 통해 교사와 친밀감을 유지하면서, 다른 학생들의 차가운 시선에 의한 시샘과 질투를 경험하였지만, 도움행동은 기능의 성취 및 학습, 그 이후의 파장되는 행동에 대한 변화와 도약이라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students react and behave about the help-seeking, based on the students' experience and awareness, showing how students' behavior of help-seeking realiz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irst, students who did not request for assistance try to do something themselves, inconvenience themselves to build strong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kept their distance. Although the students had their own repeat and continuous tendency in class, it would not be discovered any action which related to assistance in the class and also they assert that they would not change their attitude regarding the physical education in future. Second, in case of students who called on to teachers' help, they were outstanding to teachers so that they could use it as potential strategy that could be link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completion and a good grade. Moreover, depending on circumstance, although they could request their friend's aids, to understand clearly, they did to the teachers. And it shows the synergy effect which was a change and a jump in the after con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