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NS 빅데이터를 활용한 철도 관광 이용객들의 반응 조사

        정명재(Myoung-Jae Jung),노학래(Hag-Lae Rho),박민식(Min-Sic Park)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본 연구는 소셜 매트릭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철도를 사용하여 이동 및 관광하는 사용자들의 니즈(needs)를 파악하고 무엇을 연관지어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3년 7월 1일부터 1년간의 빅데이터를 통하여 철도와 관광에 관하여 사용자들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는지 그리고 부족했던 점, 바라는 점은 무엇인지, 연관 지어 생각하는 것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있는 여객열차와 관광열차에 대한 승객들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철도관광객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직,간접적인 설문조사와 같은 방법과 달리 사람들의 블로그 및 트위터와 같은 소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다음소프트의 소셜매트릭스(Social Metr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하여 얻은 철도 및 관광에 관한 이미지와 연관된 결과들을 철도 관광의 기초적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o present the result by using a social matrix program in relation to what uses the rail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user to tourist and needs (needs) by analyzing whether a study is considered important. Thus, through a year of big data from July 1, 2013 this study and that thing that lacked any image users about the railroad and tourism, what hope is that, the ones that think conjunction What are th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know the thinking of the passengers of the tourist train and passenger train existing. In this study, direct, unlike the same way as the investigation indirect in order to examine the idea of tourists who railway, social matrix of software following that is based on social data, such as Twitter and blogs of people (Social Metrics) program. This is w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the railway tourist the results associated with the image and tourist train obtained through the data.

      •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중심으로 -

        정명재(Jung, Myung J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수준을 살펴보고,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 보수교육을 수강하는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장, 관리책임자, 제공인력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사회서비스 종사자는 주로 30~50대 중년층 여성이 종사하고 있으며, 대학학원 이상, 국가 민간 자격증을 모두 소지한 고급인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4.01로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인식보다 전문적 가치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최종학력이 대학원, 민간자격증 소지, 제공기관장의 전문성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이 대학교, 자격증 미소지, 관리책임자의 전문성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3.48로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직무 외적만족 보다 직무 내적만족이 더 낮게 나타났다. 한편, 50대, 최종학력 고졸 이하, 제공기관의 장의 직무만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 최종학력 대학교, 관리 책임자의 직무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내에서는 보상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고, 성취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대체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운영기간은 위생요인인 직무 외적만족과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 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그 하위요소는 직무만족과 직무 내적 외적 만족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적 지식과 기술인식이 직무만족과 그 하위요소인 동기 위생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perceptions of expertise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workers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them . In this study , we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including service providers , management directors , and heads who are educated for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s . Totally 225 documents were used as the analysis materials . According to the survey , mostly 30 to 50 middle - aged women are engaged in social service and highly educated people with a postgraduate degree or both national and private certificates regarding social welfare field currently work for social service rather than the others . The results show that the social service workers perceptions of expertise score 4.01 on a 5 point scale and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is higher than those of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 On the other hand , perceptions of the people who have post graduate’s degree , private certificate , and head position are the highest while those of the people who have bachelor’s degree , no certificate , and director position is the lowest . Overall job satisfaction scores 3.48 which is found to be at similar level compared to prior study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in its sub - components , intrinsic job satisfaction is lower than extrinsic one . On the other hand , those in their 50 s , high school grade at the most , and head position show the highest satisfaction , while those in their 20 s, bachelor’s degree , and director position reveal the lowest one . The studies reveal that the demographic factors of social service workers generally do not affect job satisfaction , but the operational period was associated with extrinsic job satisfaction negatively . By the way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xpertise and its sub - components 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 Also ,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had a greater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its sub - components ,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 KCI등재

        위암환자에서의 위절제술 후 빈혈

        정명재 ( Myung Jae Jung ),김형일 ( Hyoung Il Kim ),조형원 ( Hyoung Won Cho ),윤호영 ( Ho Young Yoon ),김충배 ( Choong Bai Kim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7 No.2

        목적: 위암 환자에 있어서 위절제술 후 빈혈은 흔한 만성 합병증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수술전, 수술중, 수술후 혈액학적 지표의 변화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학적 지표를 포함하여 위 절제술 후 빈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2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 혈액학적 지표, 혈액내 철분 수치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술 후 빈혈의 진단까지의 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전 빈혈 환자는 99명이었고 그 중 24명은 철 결핍성 빈혈이었다. Folate 와 cobalamine 결핍 환자는 없었다. 수술 직후 회복기를 관찰하였을 때 수술 방법에 따른 의미있는 혈액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장기 추적 관찰시 위절제술후 빈혈에 관련된 세가지 위험 인자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결론: 위절제술 후 빈혈에 관여하는 위험 인자로는 수술전 철결핍성 빈혈, 수술후 7일째 낮은 헤모글로빈 수치, 수술 방법의 차이 등이 있었다. 특히, 수술전 철 결핍성 빈혈이 진단된 환자가 위절제술후 빈혈 환자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해 수술전 철결핍성 빈혈의 진단과 치료가 위절제술 후 빈혈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Purpose: Post-gastrectomy anemia is a common long-term complication after gastric surger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preoperative, perioperative and postoperative hematological changes has not been well studied. We analyzed factors that cause post-gastrectomy anemia including hematological chang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27 patients who underwent a gastrectomy were analyzed. Hematological and iron profile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post-operative day (POD) 4, POD7, and during outpatient follow-up. Risk factors for the occurrence of anemia were evaluated and identified using Kaplan-Meier and Cox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uring the preoperative phase, 99 patients were anemic and 24 of the patients had iron deficiency. No folate or cobalamin deficiency was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ecovery phase. During the long-term outpatient follow-up phase, we monitored occurrence of post-gastrectomy anemia and identified three risk factors, including presence of preoperative iron deficiency anemia, low hemoglobin level on POD7 and the type of surgery (p-value 0.001, 0.002, and 0.001). Conclusions: We showed that patients with preoperative iron deficiency anemia accounted for nearly half of the post-gastrectomy anemia population. Further study on the utility of preoperative treatment of anemia before the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quality of life in gastric cancer survivors.

      • KCI등재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명재 ( Jung Myungja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4

        사회서비스는 바우처를 이용한 수요자 지원방식으로 정부와 이용자 가운데 제공조직을 통해 전달되는 휴먼서비스라는 전달체계의 특징상 서비스 제공조직이나 제공인력에 따라 서비스의 범위와 내용 등의 차이를 유발한다. 여기에 사회변화에 따른 사회서비스 수요의 확대와 전달현장의 변화는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이 이전과는 다른 차원으로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고 제공인력과 이용자 간의 심리적 차원을 넘어 사회서비스의 구조적·제도적 요인에 의해 확대·재생산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행위자의 총체적 결과물인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은 어떠한 과정으로 발생되며 갈등의 예방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에서 출발하여 대표적인 사회서비스 정책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 전달과정의 주요 행위자인 제공인력과 이용자, 그리고 제공기관과 양성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행태를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중심현상인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은 사회서비스 이용환경의 다변화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종사자의 인식과 교육훈련 수준을 원인으로 직무갈등과 관계갈등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사회서비스의 본질적, 제도적,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심화되고 있었다. 갈등의 중재를 위해서는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만족도 관리가 필요한데 그렇지 못할 경우 전달현장의 갈등은 회피, 전환, 확대되어 결국 사회서비스 만족과 일자리 질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결국 사회서비스 전달현장의 갈등은 사회서비스의 기본 원리인 경쟁의 작동을 어렵게 하고 충분한 공급을 저해시켜 사회서비스 품질 저하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의 경감과 예방을 위하여 정부는 종사자 전문성 강화, 정보의 비대칭성 해소와 함께 서비스 단가 합리화 등 제도개선의 역할이 촉구되며, 제공조직에게는 품질 모니터링 강화, 서비스 윤리와 의사소통 교육 강화, 전문가로서의 인식 확대 노력이 요구되고 이용자에게도 서비스 인식개선 및 이용태도에 대한 학습강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cause of the conflict in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ite, and what is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method of the conflict?’. In order to find answers to questions,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Service providers and users who are the main actors of the delivery site. In addition, the behavior of providers and training institutions was also review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nd focusing on the health care service of mothers and newborns. As a result of the study, ‘conflict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 delivery’ appears as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s caused by the diversification of the service environment, the lack of awareness and education with training level of workers and users. Since then, it spreads according to the essential, institution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causing conflict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 delivery. In order to prevent and resolve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and to manage service quality such as satisfaction management. If not, the conflict at the delivery site was avoided, transformed and expanded. it led to impairing social service satisfaction and job quality. Also the conflict in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ite made difficult to operate the competitive principle of social service, and hindered the supply of sufficient social service, ultimately it led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such conflicts, the government is urged to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system, such as strengthening worker’s expertise, resolving information asymmetries, and rationalizing service prices. Service providers are required to strengthen quality monitoring, strengthen service ethic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nd expand awareness as experts. Service users also need to improve service awareness and strengthen learning about usage attitudes.

      • 비 연속 패스 도입 대상 연구 : 외국인 전용 철도 관광상품 중심

        정명재(Myoung-Jae Jung),노학래(Hag-Lae Rho)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5

        최근 대한민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수는 해가 지날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국인 관광객이 찾는 관광지 역시 다양해지고 있으며, 외국인 전용 철도 관광 상품들의 실적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러나 외국인 관광객이 주로 방문하는 관광지는 여전히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그리고 경기도가 포함된 수도권에 약 70%가 집중되고 있으며 수도권 외의 지역으로는 30%정도에 그치고 있어, 외국인 관광객의 다양한 지역 방문을 위하여 지역별 관광자원 활성화와 외국인 전용 철도 패스의 변화가 요구된다. 현재 외국인 전용 철도 관광 상품들은 연속 패스 한 종류로 제한되어 있어, 관광 패턴의 구성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다양한 비 연속 패스 사례 및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관광행태를 분석하여 지역 관광 패턴과 외국인 목적 관광지의 다양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 연속 패스의 도입을 위하여 패스에 적합한 상품과 이용대상에 대하여 제안하도록 한다. Republic of Korea to find last year that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increased passes. In addition, foreign tourists also find diverse attractions and tours for foreigners railway earnings trend also seems to increase. But mostly foreign tourists visiting the attractions are still in Seoul and Incheon, and Gyeonggi-do area that includes about 70% is concentrated in the capital and other areas it is a mere 30% of foreign tourists to visit various parts of the region rail Passes for foreigners and tourist resources of activation is required to change .Rail tours are now foreigners are limited to one kind of a continuous path, the construction of tourist patterns is limited. In this study, a variety of flexi path of international cold cases and analyze the behavior of foreign tourists tourist areas tourist patterns and can lead to the diversification of foreign tourist destination , so that the right product and the use of flexi paths with respect to the target to b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MODIS와 MI에 의한 에어로졸 광학두께 비교

        김은규,이규태,정명재,Kim, Eun-kyu,Lee, Kyu-Tae,Jung, Myeong-Jae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15{\sim}55^{\circ}E$, $90{\sim}150^{\circ}N$) 영역에 대하여 극궤도 위성 Terra와 Aqua에 탑재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 (MODIS) 센서와 우리나라 정지궤도 위성인 통신해양기상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에 탑재된 Meteorological Imager (MI) 센서에 의한 에어로졸 광학두께(AOT) 산출 결과와 지상의 Aerosol Robotic Network (AERONET) 관측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MODIS와 MI에 의한 에어로졸 광학두께는 해양에서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나 구름 가장자리와 육지에서는 두 센서의 에어로졸 광학두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 이유로서 MODIS는 가시 채널과 적외 채널을 혼용하는 반면 MI는 오직 가시채널 만 사용하기 때문에 구름 가장자리의 옅은 구름을 에어로졸로 인식할 수 있고 육지에서는 지표면 특성에 따라 MODIS와 MI에 의한 에어로졸 광학두께 산출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MI 에어로졸 광학두께는 구름 가장자리와 지표면 특성의 영향을 주는 지표면 반사도의 정확성 개선을 통해 에어로졸 광학두께 산출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aerosol optical thickness data retrieved by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 (MODIS) of Terra & Aqua and Meteorological Imager (MI) of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 data of Aerosol Robotic Network (AERONET) in Northeast Asia. As the result, the aerosol optical thickness retrieved by MODIS and MI were well agreed at ocean region but quite different at cloud edge and barren surface. The reason was that MODIS aerosol optical thickness was retrieved using the visible and infrared channels but MI was retrieved with the visible channel only. Consequentially, the thin cloud be misinterpreted as aerosol by MI and the difference between MODIS and MI aerosol optical thicknesses could be occurred with Normal Distribution Vegetation Index (NDVI) and land surface property. Therefore, the accuracies of clear/cloud region and surface reflectivity ar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aerosol optical thickness algorithm by MI.

      • KCI등재

        외상 센터에서의 외상 진료 시스템 도입에 따른 변화: 단일 외상 센터에서의 초기 경험

        김형원 ( Hyung Won Kim ),홍태화 ( Tae Hwa Hong ),이승환 ( Seung Hwan Lee ),정명재 ( Myung Jae Jung ),이재길 ( Jae Gil Lee ) 대한외상학회 2015 大韓外傷學會誌 Vol.28 No.4

        Purpose: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ow the trauma care system is applied on the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Methods: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a pre-trauma system group and a post-trauma system group according to the time when we began to apply the trauma care system in our institution. We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jury severity score, initial response time to the trauma patients, number of preventable deaths, and clinical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numbers of patients in the pre-trauma system group and the post-trauma system group were 188 and 257, respectively. No differences in the patient’s median ages, trauma scores (ISS, RTS, TRISS) and proportions of severe trauma patients (ISS>15)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were increased in the post-trauma system group. The time interval from trauma CP activation to emergency surgery or angio-embolization, and the patient’s time spent in emergency room were shortened in the posttrauma system group. However, the lengths of the ICU stay and the hospital stay, and the number of in-hospital mortalities were not improved in the post-trauma system group. In severe trauma patients (ISS>15),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admitted patients, and the time interval from trauma CP activation to performing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 was not shortened in the post-trauma system group.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trauma care system has shortened the time between the initial response and patient management. However, this improvement was not enough to result in better clinical outcomes. More trauma physicians,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and a well-organized trauma management process will be needed if the maximum efficacy of the trauma system is to be achieved. [ J Trauma Inj 2015; 28: 241-247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