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신입간호사의 근무기간에 따른 이직의도차이의 영향요인

        유문숙,정망래,김경자,이영진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 period for new nurses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longitudinal survey design was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garding CC (Clinical competence), MNC (Missed Nursing Care), WE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was administered twice (at 2 months and 5 months of employment) to 98 new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Results: The regression model with each of the differences for MNC, W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against differences of turnover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1.98, p<.001). This model explained 26% of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Adj R2=.26). Especially, differences in WE (β=-.43, p<.001), and differences in MNC (β=.18 p=.044)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decreased between the first 2 months and 5 months and this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WE and MN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effective adaptation programs with sufficient periods of time for newly graduated nurse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간호사의 근무기간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종단적 조사연구로 상급종합병원 1곳에 근무하는 신입간호사 9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임상수행능력, 간호업무누락정도,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 수준을 2회(2개월, 5개월)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분석 결과, 2개월과 5개월 시점의 신입간호사 이직의도 차이에 대하여 현 부서 만족도, 간호업무누락의 시점별 차이, 직무열의의 시점별 차이를 투입한 모형의 설명력은 약 26%로 나타났다(F=11.98, p<.001). 특히 각 시점별 신입간호사의 이직의도 차이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것은 직무열의의 차이(β=-.43, p<.001), 간호업무누락의 차이(β=.18 p=.044)로 나타났다. 결론: 신입간호사의 입사 후 2개월 및 5개월 시점에서 이직의도의 차이는 직무열의 및 간호업무누락의 차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신입간호사에게 충분한 기간을 두고 효과적인 적응프로그램과 같은 사회적,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