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청소년 기관 절개술의 원인과 임상 경과

        서정민 ( Jung Min Suh ),이정현 ( Jung Hyun Lee ),정만기 ( Man Ki Chung ),한신 ( Han Sin Jeong ),손영익 ( Young Ik Son ),안강모 ( Kang Mo Ahn ),이상일 ( Sang Ii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2 No.2

        목적: 기관 절개술은 소아의 호흡기 관리에서 기도 유지에 도움을 주어 생명을 구하는 술기이지만 이에 따른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아청소년 기관 절개술의 임상 양상과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1995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기관 절개술을 시행한 18세 미만인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성별, 기관 절개술을 시행한 나이, 응급 수술 여부, 원인, 기관 절개술 전 경구 기관 내 삽관 기간, 캐뉼라 발관 여부, 캐뉼라 발관까지 걸린기간, 전체 입원 기간, 기관 절개술 후 입원 기간, 기관 절개술의 합병증 그리고 퇴원, 전원, 사망한 환자 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성문하 협착으로 기관 절개술을 받은 환자가 가장 많았다(29명, 19%). 소아청소년 기관 절개술이 시행된 중간 나이는 1.3세 (범위, 22일-17.8세)였으며 73명(47.7%)이 1세 미만이었다. 1세 미만에서는 호흡기 질환이, 1세 이상에서는 신경근육 질환이 유의하게 많았다. (P=0.013) 가장 흔한 합병증은 기도 부위 혹은 기도 누공의 육아조직 형성 (56명, 36.6%)이었다. 성공적으로 캐뉼라 발관을 한 환자는 61명(39.9%)이었으며 캐뉼라 발관까지 걸린 중앙 기간은 141일 (범위, 141 1-2,529일)이었다. 사망한 환자는 16명 (10.5%)이었으나, 기관 절개술과 직접적 관련되어 사망한 환자는 1명(0.7%)이었다. 결론: 소아청소년 기관 절개술은 비교적 안전하였다. 신경근육 질환 환자들이 호흡기 질환 환자에 비해서 기관 절개술을 시행할 때의 나이가 많았고, 캐뉼라 발관이 잘 되지 않았으며 재원 기간이 길었다. Purpose: Tracheostomy is used to aid airway management in perdiatric respiratory ca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causes and outcomes of pediatric tracheostomy.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53 patients, less than 18 years of age, who underwent tracheostomy between January 1995 and July 2010. Age at tracheostomy, indications, durations, complications and mortality were evaluated. Results: Subglottic stenosis (19%) was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tracheostomy. The median age at tracheostomy was 1.3 years (range, 22 days to 17.8 years). Seventy-three (47.7%) tracheostomies were performed in children under 1 year of age. Respiratory diseases were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patients under 1 year of age, while neuromuscular disease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older than 1 year ( P=0.013). Stoma or tracheal granuloma formation (36.6%)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pediatric tracheostomy. Decannulation was accomplished in 61 (39.9%) patients with median cannulation time of 141 days (range, 1 to 2,529 days). Overall mortality rate was 10.5% (n=16), but only one patient (0.7%) died from tracheostomy-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subglottic stenosis and neuromuscular disease, are the main cause of pediatric tracheostomy. Although complications, like stoma or tracheal granuloma formation occur, tracheostomy in children is a safe way to aid airway management.

      • 전문가시스템을 활용한 Class5수준의 IETM 개발제안

        최원범(Won-Beom Choi),정만기(Man-Ki Jung),이동우(Dong-Woo Lee)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IETM is a digital technical support system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t ease through interactive multi-media technology. Currently maintenance the specific weapon system from the army the staff for and the staff for a parts supply, width is using widely from the end-user of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supply and use unit. With development of IT techniques joins in recently and about IETM flurries of development of the form which progresses Class5 level IETM development forms from the present paper because the demand to come being high proposes.

      • 인공지능 응용/전문가시스템 : 전문가시스템을 활용한 Class5수준의 IETM 개발제안

        최원범 ( Won Beom Choi ),정만기 ( Man Ki Jung ),이동우 ( Dong Woo Lee )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

        IETM is a digital technical support system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t ease through interactive multi-media technology. Currently maintenance the specific weapon system from the army the staff for and the staff for a parts supply, width is using widely from the end-user of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supply and use unit. With development of IT techniques joins in recently and about IETM flurries of development of the form which progresses Class5 level IETM development forms from the present paper because the demand to come being high proposes.

      • KCI등재

        일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예비 연구

        이현수,윤보현,오은주,시영화,김경민,하란,김문두,만기,손은락,자영,Lee, Hyun-Soo,Yoon, Bo-Hyun,Oh, Eun-Joo,Sea, Young-Hwa,Kim, Kyung-Min,Jung, Haran,Kim, Moon-Doo,Baek, Man-Ki,Son, Eun-Rak,Jung, Ja-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5 정신신체의학 Vol.2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계청 근무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예비연구이다. 방 법 일 지방통계청에 근무하는 직원 133명을 통계조사업무를 담당하는지에 따라서 통계조사군(n=109), 조사지원군(n=24)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자가보고식 설문지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척도 단축형(Short form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SF), 스트레스 대처 방식 척도(Stress Coping Strategy, SCS)를 활용하였다. 결 과 KOSS-SF의 총점은 연령, 성별, 교육 수준, 결혼 상태와 관련이 없었으며 통계조사군과 조사지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부영역으로는 직무자율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의 4개 영역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KOSS-SF와 SCS와의 관계에서는 KOSS-SF의 총점과 문제 중심 대처, 사회 지지 대처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통계조사를 담당하는 통계청 근무자들은 조사지원을 하는 직원들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를 더 받았으며, 남녀 모두 공통적으로 관계갈등 영역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더 받았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에서는 문제 중심 대처와 사회 지지 대처를 사용하는 경우에 직무스트레스를 덜 느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among workers in a regional statistics office. Methods : A total of 133 workers in regional statistics offi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rvey group(n=109) and support group(n=24) depending on relation to statistical survey task.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Short Form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SF) and Stress Coping Strategy(SCS) to investigat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Results : The proportion of the 133 participants in the sample was 59(44.4%) of men, 74(55.6%) of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KOSS-SF scores in relation to age, sex,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while the KOSS-SF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ard to the subscales of KOSS-SF, the two 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 system. In addition, the total score of KOSS-SF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of SCS.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workers of survey group had more job stress compared to those who works in support group in regional statistical office. In addition, in comparison with workers of support group, both men and women of survey group get stressed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interpersonal conflicts. Our results suggest that us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lowers job stress.

      • 수박종자 살균을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시스템

        주상연 ( Sang-yeon Joo ),김현승 ( Hyun-seung Kim ),정만기 ( Man-ki Jung ),송석균 ( Seok-kyun Song ),박미리 ( Mi-ri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최근 이상고온, 친환경재배 면적 확대 등으로 종자전염성 식물 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도 수박, 오이 등과 같은 박과 작물에 과실 썩음병(Bacterial Fruit Blotch, BFB)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 (Acidovorax citrulli)은 주로 수박에서 세계적으로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는 심각한 병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방법으로는 건열처리를 하여 종자를 소독하고 있으나,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최근 플라즈마 기술이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플라즈마는 제4의 물질상태로 이온, 전자, 라디칼 및 에너지를 가지는 가스입자의 물리적 충돌 및 강력한 활성에 의한 화학 반응이며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메커니즘으로 살균효과에 효과적인 물질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웨이브 플라즈마 기술을 적용하여 수박종자 소독용 플라즈마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플라즈마 발생기는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발생장치로서 최대 200W까지 출력할 수 있고, 처리 용량은 챔버당 약 1 liter 수준의 종자 살균이 가능하며, 공정가스로는 Ar과 02를 주입하고 플라즈마가 처리되는 석영관 내부에 종자를 넣어 일정이상 진공상태가 되면 회전모터를 작동시켜 종자가 골고루 처리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다. 플라즈마 종자소독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 A. citrulli를 인공적으로 감염시킨 감염수 박종자를 준비하여 종자 200개를 기준으로 조건별(30W 10, 15분; 60W 5, 10, 15분; 90W 5, 10, 15분; 120W 5분)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종자의 살균 여부를 PCR기법으로 확인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세균이 사멸됨을 확인하였다. 향후 대량으로 살균처리가 가능한 최적 공정을 구축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