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 비교

        정동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3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Policies of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양성과정과 중등학교 교사 양성과정의 일반교육 예비교사와 특수교육 예비교사 179명을 대상으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전공학교과정간, 전공교육분야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교사들은 현행 고등교육 정책을 형평성, 적절성, 효율성, 시급성으로 순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중등학교 예비교사들보다, 특수교육 교사들이 일반교육 교사들보다 대체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의 형평성, 적절성, 효율성, 시급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들은 전공학교과정과 전공교육분야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를 나타내지만, 대체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을 형평성이 높은 정책이나 그렇게 시급하지 않은 정책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주제어> 고등교육, 장애학생 고등교육, 대학입학특별전형, 장애학생차별금지, 특수교육정책, 특수교육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학생의 전환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방법 탐색

        정동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bjective and method of career education for tran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question are that what is the desirable objective and effective method of career education for tran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olve research ques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objective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to choose career suitable for one's aptitude and needs reasonably and to prepare it appropriately so that it ultimately helps students to enjoy one's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with keeping a job after graduating the school. Second, the method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to set up and carry the career plan suitable for each student's aptitude and needs deliberately, intentional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applying proper resources. Therefore, career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mandatory curriculum for successful transition after graduating schools.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의 학교 졸업 이후 성인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진로교육의 목표와 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성인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바람직한 진로교육의 목표는 무엇이며,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교육 목표는 자신의 적성과 요구에 적합한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적절히 준비하여 궁극적으로 학교 졸업 이후에 직업을 유지하면서 만족한 삶의 질을 향유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교육 방법은 개별 학생의 적성과 요구에 적합한 진로계획을 적절한 자원을 활용하여 계획적, 의도적,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은 학교 졸업 이후 성인생활에 성공적으로 전환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애인과 평생교육 관계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간 협력체제 구축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정동영,정동일,정인숙 한국성인교육학회 200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establishment direction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emand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ir families, and the persons related with lifelong education agencies through interviews. With this methods, this study revealed as following : First, establishment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be built in a direction that prevents the duplication or the omission of the support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establishment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be built in a direction that collaborate relevantly centering around horizontal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gencies in the communities. That i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have to bear each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policies. Third, establishment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to be built in a direction that each agency share with information, resources, and funds to provide not a temporary, a single-shot, and a short-term support but a continuous, a long-term, and a lasting support o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establishment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ach lifelong education agency has to reform their management system and awareness of related persons.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강화를 위한 평생교육기관간 협력체제의 구축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애인, 장애인 가족,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 72명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장애인 평생교육기관간 협력체제는 장애인에 대한 지원의 중복이나 누락을 방지하고 확대하는 방향을 토대로 구축하되,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중앙행정부처 등 정책결정 수준별로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며, 장애인 평생교육기관들이 상호 정보․자원․재정 및 책임을 공유하는 전략을 통해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런 장애인 평생교육기관간 협력체제의 구축을 위해서는 기관간 협력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기관의 운영구조를 기관간 협력을 도모하는 체제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운영체제를 개편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에서 글자판별과 단어재인의 역할 분석

        정동영,유성균,김석진,이재욱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in early childhood’s reading comprehens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letter identification,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mong the ages of early childhood?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reading comprehension,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Third, the effect of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in early childhood was selected as a research question. Among the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Korea, total of 299 children, ages 5 to 103, 6 to 6, and 104 to 7 years old, were tested for letter identification,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analyzed by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tter identification,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significant in early childhoo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reading comprehension,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in childhood. Third, although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of early childhood, word recognition has a greater effect than letter identification. Therefore, in order to induc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nhancement of word recognition ability through spelling knowledge and of letter identification through phonetic character discrimination, phonological awareness. 본 연구는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에서 글자판별과 단어재인의 역할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초기 아동기의 연령 간에 글자판별, 단어재인, 읽기이해능력의 차이가 어떠한가? 둘째,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와 글자판별 및 단어재인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에 대한 글자판별과 단어재인의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여 전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아동 중 만 5세 아동 103명, 만 6세 아동 92명과 7세 아동 104명 총 299명을 대상으로 글자판별, 단어재인, 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고, 일원 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계수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초기 아동기의 연령 간 글자판별, 단어재인, 읽기이해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글자판별, 단어재인, 읽기이해 모두 초기 아동기에 유의한 발달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 글자판별 및 단어재인과 유의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에 대해 글자판별과 단어재인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글자판별보다 단어재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읽기이해능력의 지속적인 발달을 유도하기 위해 초기 아동기의 아동들에게 자소판별, 통문자판별을 통한 글자판별과 음운인식, 철자지식을 통한 단어재인 능력을 강화하는 지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 및 전략 탐색

        정동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과 전략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장애아동의 과학교육이 어떤 방향과 전략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한 결과, 장애학생의 과학교육은 그들을 미래의 시민으로서 생활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문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장애학생들의 과학학습에 참여를 보장하는 학습기회 제공, 텍스트에 접근을 제공하는 적절한 수정, 부족한 문해능력을 지원하는 과학과 문해를 통합하는 전략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과학교육은 이들을 미래의 시민으로서 생활하도록 하기 위하여 과학적 문해를 강조하는 방향에서 학습기회의 제공, 텍스트의 수정, 과학과 문해의 통합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반교육 교사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 지각 특징

        정동영,김성락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his study was ‘Survey for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on 109 general education teachers of element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of inclusive class management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respect diversity were at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Second, 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urban than rural rath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has a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class were at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hird, beliefs of respect for diversity and working area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their perceptions about differentiat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inclusive class management i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class and working areas 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일반교육 교사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 특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초등학교의 일반교육 교사 109명을 표집해 ‘차별화 교수 지각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교육 교사의 개인 특성에서 교사자격과 교육경력보다 통합학급 운영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다양성 존중 신념이 강할수록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특성에서 학교규모와 학급규모 및 특수학급 유무보다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일반교육 교사들이 농·산·어촌의 교사들보다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이 더 높고, 학급에 특수교육 학생이 있는 경우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교육 교사의 다양성 존중 신념과 근무지역이 이들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에 대한 지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교육 교사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 지각은 통합학급 운영경력이라는 개인 특성 및 근무 지역과 학급의 특수교육 학생 수라는 환경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 장애학생의 음악교육 목표와 방향 탐색

        정동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교육이 어떤 목표와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음악의 특성을 통해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교육의 목적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와 음악교육의 본질을 통해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학생의 음악교육은 음악적 기능을 가르치기보다 심미적 음악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음악의 미적 특성과 가치를 경험하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학생의 음악교육은 직접적인 음악 체험을 통해 가능한 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음악교육은 미적 경험을 통해 자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직접적인 음악 체험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능한 많이 제공하되, 개별 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그 내용과 방법을 적절히 조정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과 일반교육 교과용 도서 개발 현황의 형평성 분석

        정동영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교과용 도서 개발 현황을 통하여 특수학교 교과용 도서의 개발과 관련된 형평성의 문제를 알아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와 일반교육 교과용 도서의 개발 내용 및 지원과 관련된 형평성의 문제와 해결책을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선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는 일반교육 교과용 도서보다 그 종수와 책의 수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교과별로 3책의 교과서만 개발되고 교과서를 보조하는 교과용 도서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아 교육의 형평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의 개발비 또한 일반교육 교과용 도서의 개발비보다 적어 장애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부피가 3배나 되는 교과서를 관리해야 하며, 매년 동일한 교과서로 공부해야 하고, 교사용 지도서도 책별로 개발되지 않는 등 교육의 형평성을 보장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의 개발 기반이 되는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 수준을 최소한 5단계 이상으로 개정하고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의 개발비를 인상하여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를 개발하면 교육의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