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 성취 영역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및 질적 지표에 의거한 분석

        정다이(Dai Jeong),최은경(Eunkyung Choi),김민서(Minseo Kim),손승현(Seunghyun So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 성취 영역에 해당하는 읽기, 쓰기, 수학 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동향과 CEC 질적 평가지표를 독립변인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선행연구 중 학습장애 관련 동향 및 메타분석을 실시한 39편의 연구를 통하여 독립변인 분류 기준을 고찰하였으며, 선정된 기준에 따라 201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32편의 논문을 연구의 동향, 효과크기, 질적 지표 순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는 10년간 꾸준히 게재되고 있으며 대상자 및 중재 환경에 대한 정보가 누락된 연구가 있었다. 실험설계는 AB설계가 13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모든 연구에 유지 및 일반화가 포함되어 있었다. 독립변인 중 가장 많이 활용된 변인은 ‘(초)인지전략 중재’였다. 둘째, 중재효과크기는 중재 전체효과(Tau-U=.868), 유지 전체효과(Tau-U=.876), 종속변인별 효과(Tau-U=.730∼.966), 독립변인별 효과(Tau-U=.822∼1.000)에서 모두 효과성을 나타냈다. 셋째, CEC 질적 지표에 대한 충족률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77.3%) 중재자 항목(59.4%)과 중재충실도 항목(57.3%)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충족률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identified trends of single subject research for reading, writing and math interventions, which correspond to the areas of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CEC quality indicators as the focus of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es, 39 studies conducted on trends and meta-analysis related to learning disabilities examined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32 studi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10-19 were analyzed in order of trends, size of effects and quality indicators of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ere was a study that has been published steadily for 10 years and missing information on subjects and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Th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B design with 13, and all studies included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phase. The most frequently used variable among independent variables was (meta) cognitive strategy. Second, the size of the effects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overall effect of intervention(Tau-U=.868), the overall effect of maintenance(Tau-U=.876), the effects of each dependent variable(Tau-U=.730∼.966), and the effe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Tau-U=.822∼1.000). Third, The overall fulfill rate for the CEC quality indicators was high(77.3%), but was relatively low in the categories of Intervention agent(59.4%) and Implementation fidelity(57.3%). Based on this,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