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시티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정다운,안종욱,박수정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redefines the concept and meaning of the existing data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mart city, and proposes a framework for smart city data governance.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bout issues related to the data opening, sharing, and utiliza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steps of smart city data governance were defined by referring to the smart city-related legal system and guidelines. Based on the previously analyzed results, the smart city data governance framework was taken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citi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smart city data governance framework was applied and verified for the “data hub platform” and the “parking congestion prediction service” system developed by the innovative growth engine business promoted by national R&D. Using this model, the potential for the use of smart city data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e enhanced. Furthermore, it will be used as basic for various studies related to smart city data governance. 본 연구는 기존의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스마트시티 관점에서 재정립 하고, 스마트시티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의 개방, 공유, 활용 관련 이슈들을 중심으로 국내외 선행 사례들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스마트시티 관련 법제도 및 지침 등을 참고하여 스마트시티 데이터 거버넌스의 관리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후 앞서 분석한 결과들을 토대로 스마트시티 특성과 우리나라의 환경적 특징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국가 R&D로 추진되고 있는 혁신성장동력사업에서 개발한 ‘데이터 허브 플랫폼’과 ‘주차 혼잡도 예측 서비스’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4차 산업혁명에서의 스마트시티 데이터에 대한 활용 잠재력을 제고시키며, 나아가 스마트시티 데이터 거버넌스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기업의 서번트 리더십, 팔로워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역할갈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다운,최명철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9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2 No.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independent ·critic followership and job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conflict in the Chinese cultural context. In this study, relationships of between the constructs are tested using survey result from 403 employees working in company in Zhejiang & Shanghai.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s that servant leadership has positive impact on independent ·critic followership and job satisfaction, Also independent·critic follow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Lastly, Hierarchical moder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partial support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This study’s implications are Chinese company should develop servant leadership and independent·critic followership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ased on performance. Moreover, the study suggests for chinese company to minimize role conflict by systematization of job etc. 본 논문에서는 관계 지향적 문화를 가진 중국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 독립적·비판적 팔로워십과 구성원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독립적·비판적 팔로워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의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절강성, 상하이의 기업에종사하는 직장인 403명으로부터 설문을 통해 검증되었다. 구조방정식과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 중국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과 독립적·비판적 팔로워십과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독립적·비판적 팔로워십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역할갈등이 독립적·비판적 팔로워십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중국기업에게조직 효과성 확보를 위한 구성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서번트 리더십의 필요성과 구성원의독립적·비판적 사고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또한 구성원들의 역할갈등을 최소화시킬 수있도록 직무체계화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위식도 역류에 대한 후두인두부에서 산도 검사의 의의

        정다운,김소희,김은영,문경래,Jeong, Da Woon,Kim, So Hee,Kim, Eun Young,Moon, Kyung 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5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8 No.2

        목 적: 병적 위식도 역류 환자에서 후두인두부 산도를 검사하여 후두인두부 역류와 호흡기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2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잦은 구토 등 위식도 역류가 의심되는 증상이 있거나 만성 재발성 호흡기 증상이 있어 24시간 후두인두부와 식도에서 산도 검사를 실시한 39명 중 병적 위식도 역류를 보인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적 위식도 역류의 기준은 95백분위수 이상 역류 지표를 병적 역 류로 정의하였고, 후두부 인두 산 역류의 기준은 식도에서 pH 4 이하로 떨어짐과 동시에 후두부 인두에서 pH가 4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1. 산도 검사를 실시한 39명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는 7명 중 6명(86.%), 호흡기 증상이 없는 32명 중 23명(72%)에서 병적 위식도 역류를 보였다. 2. 호흡기 증상으로는 반복되는 폐렴 2명, 크룹 1명, 후두연화증 1명, 천식 2명 등이었다. 3.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병적 역류군에서 후두인두부와 식도의 역류 지표를 비교하면 5분 이상 지속된 역류의 횟수 제외한 역류 지수, 총 역류 횟수, 최 장 역류 시간 등에서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4.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병적 역류군에서 후두인두부와 식도의 모든 역류 지표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식도에서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병적 역류군과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병적 역류군의 역류지표를 비교하면 총 역류 횟수를 제외한 역류 지수, 최장 역류 시간, 5분 이상 지속된 역류의 횟수에서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6. 후두부 인두에서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병적 역류군과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병적 역류군의 역류 지표를 비교하면 모든 항목에서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결 론: 병적 위식도 역류 환자에서 호흡기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후두인두부의 산도 검사 결과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으므로 만성 호흡기 질환에서 후두인두부 역류와의 상관관계의 규명에 후두인두부 산도 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pH monitoring at two levels, hypopharynx and esophagus in gastroesophageal reflux. Methods: 29 patients with pathological gastroesophageal reflux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roup I had recurrent respiratory symptoms and Group II had not recurrent respiratory symptoms. The ambulatory pH monitoring was performed at the hypopharynx and the esophagus simultaneously with two channel catheter for 18~24 hr. The pathological reflux was defined when the percent of time that pH was below 4.0 exceeding the 95th percentile of normal value. Hypopharyngeal reflux was defined as the pharyngeal pH drops below 4. Results: 39 patients were performed pH monitoring at the level of hypopharynx and esophagus for 24 hours. Among 7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symptom, 6 patients (85.7%) have pathological esophageal reflux. Among 32 patients without chronic respiratory symptom, 23 patients (71.8%) have pathological esophageal reflux. Thus 29 out of 39 patients (74%) have pathological esophageal reflux. In the Group I, all parameters except the longest episo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ypopharyngeal and esophageal pH monitoring. None of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I and II in the pharyngeal pH monitoring. Conclusion: Regardless of presence of respiratory symptoms, the pH monitoring at the pharyngeal level in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esophageal pH monitoring. Therefore we may reconsider the usefulness of hypopharyngeal pH monitoring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symptom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