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감자의 수침조건에 따른 전분의 호화 특성

        정난희,김경애,전은례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0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6 No.5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potato starches which were prepared by steeping at 10 ${\pm}$ 1$^{\circ}C$ or 25 ${\pm}$ 1$^{\circ}C$ for 11 days were investigated. The pasting and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s measured by rapid visco-analyzer (RVA) were increased, but the peak and trough viscosities of potato starch were decreased by steeping. The onset temperature, peak temperature, conclusion temperature, and enthalpy of gelatinization were increased by steeping as measured by DSC. The contents of hot-water-soluble carbohydrate and amylose in potato starch were decreased by steep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Current status in the management of uterine corpus cancer in Korea

        정난희,이종민,이선경 대한부인종양학회 2010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21 No.3

        Uterine corpus cancer has increased in prevalence in Korean women over the last decade. Recently, elegant studies have been reported from many institutes. To improve treatment strategies, a review of our own data is warranted. This work will discuss the risks and prognostic factors for uterine corpus cancer, and the radiologic evaluation,prediction of lymph node metastasis, systematic lymphadenectomy, minimally invasive surgery, ovarian-saving surgery, fertility-sparing treatment, and adjuvant treatment in women with uterine cancer.

      • KCI등재

        중학생의 간식구매행동, 식품과 영양표시의 이해도 - 나주지역 일부학생들을 대상으로 -

        정난희,김양주,전은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snack purchasing behaviors and labeling of foods and nutri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424 students who are boys and girls of middle school in Naju.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program. According to the survey, snack purchase plac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p<.05), and all of the boys and girls responded at a high rate that it’s convenience store. Snack eating frequenc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p<.05). Boys responded that they ate 1~2 times per a week the most, and girls responded that they ate 1~2 times per a month the most. As for snack purchasing behaviors, depending on gender, that of boys was 2.76 in average and that of girls was 2.87, lower than middle. The reason why students didn’t check up food labeling, depending on gender and all of the boys and girls responded 'Expiration date' was first confirmed. As for the understanding of food expression, depending on snack expenses, the reason why food expression contents were h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nack expenses(p<.05). As for the understanding of food expression, depending on snack purchase attitude, th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nack purchase attitude(p<.001), and the lower the snack purchase attitude was, the less the students checked up snack expression. The reason why students checked up nutrition labeling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snack expense and snack purchase attitude(p<.001). ‘Weight management’ was the highest. The recognition in the necessity of nutrition expression(p<.001) and the necessity of food/ nutrition education and publicity(p<.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중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항, 중학생의 간식 구매행동과 섭취횟수, 간식 구매태도, 식품과 영양표시의 이해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청소년들이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데 도움을 주고,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식생활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간식 구입장소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남⋅여 모두 편의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간식비는 남⋅여 모두 2,000원 이하가 가장 많았다. 간식 섭취횟수는 김밥이 남⋅여학생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5), 남학생은 일주일에 1~2회 먹는다가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한달에 1~2회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은 일주일에 1~2회 섭취하는 간식으로 음료와 면, 과자, 빵, 김밥 순으로 조사되었고 여학생은 과자, 음료, 면, 빵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간식 구매태도는 남학생 평균 2.76, 여학생 평균 2.87로 나타나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성별에 따른 식품표시 확인 여부는 남⋅여 모두 확인하지 않는다가 높았고, 식품표시 확인 항목 중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유통기한이었다. 성별에 따른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도 유통기한이 가장 많았으며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습관적인 구매가 많았고 식품표시 내용이 어려운 이유는 글씨가 작고, 표시방법이 다양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식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는 간식비의 차이에 상관없이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으며, 식품표시 내용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간식비의 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간식비가 적은 집단에서 글씨가 작고, 표시방법이 다양해서가 높게 나타났다.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간식 구매태도 점수가 낮을수록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영양표시 확인 시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1), 남⋅여학생 모두 열량이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이 열량을 더 많이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체중관리를 위해서, 건강관리를 위해서 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체중관리를 위해서는 여학생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간식비에 따라 영양표시를 읽어 본 경험(p<.01),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간식비의 정도에 관계없이 모두 필요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비가 적을수록 필요하다가 높았다.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가장 높아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p<.001)과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p<.01) 또한 세 집단에서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양표시 인식 여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간식 구매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알고 있다가 높았고, 영양표시를 읽어본 경험도 간식 구매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읽어본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세 집단 모두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간식 구매태도 ...

      • KCI등재후보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Distress Surrounding COVID-19

        정난희,박효은,조항 한국상담학회 2021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Vol.1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distress within the context of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s (COVID-19).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09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JAMOVI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nearly 20%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ing sever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due to COVID-19. Further,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at all levels. The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of the students who get support for their living expen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making money through part-time jobs. The depression level of students attending face-to-face clas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The grade and housing type were not significant aspects. Based on these results, a discussion was then presented. This study thereby provided foundational data for identifying the psychological impacts of COVID-19 on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