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성기 백제 송풍관 연구

        한지선(Han Ji Sun),김태우(Kim Tae Woo),정낙현(Jeong Nak Hyeon),곽병문(Kwak Byeong Moon),이은우(Lee Eun Woo) 중부고고학회 2016 고고학 Vol.15 No.3

        본고는 최근 제철유적 발굴 조사의 증가에 따라 백제 제철유적에서 출토된 곡관형 송풍관 분석을 통해 당시 제철기술의 단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송풍관이란 송풍장치(풀무)와 제련로·단야로 등의 가마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로 노 내에 바람을 불어 넣어 고온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질의 토제품으로 직경의 크기에 따라 소·중·대·특대형으로 나누어지며, 중구경 이상에서는 다시 곡관형과 직관형으로 나뉘는데 가마에 직접 삽입되는 관은 곡관형 송풍관이다. 곡관형 송풍관은 대개 120-140°의 각을 보이며 노 내로 들어가는 선단부와 노 바깥의 후단부로 나뉜다. 형식은 선단부의 형태와 후단부의 제작기법 흔적에 의해 구분되는데, 선단부는 내만형(A), 직립형(B), 외반형(C)으로 백제 송풍관은 내만형과 직립형이 확인된다. 후단부의 경우 제작기법과 관련된 것으로 후단부에 실이나 짚과 같은 재료를 말아 놓은 원형의 틀 위에서 제작한 흔적이다. 틀 흔적이 잔존한 경우는 내면, 바닥, 외면 중 어디에 틀을 대어 성형하였는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송풍관의 태토분석결과 별도의 내화토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토기 태토와 동일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유물의 제작흔적 검토를 통해 실제 실험으로 제작기법을 복원하였는데 특히 곡관형 송풍관의 곡관부 성형은 일체 성형과 분할 성형으로 나뉠 수 있지만 분할 성형이 제작하기에 용이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송풍관의 거치방식은 노 내벽의 용융면의 흔적과 노 보수흔적이 다수인 부위 관찰 등을 통해 찾을 수 있으며, 사용 온도는 진천 석장리 유적에서 송풍관 선단부가 잔존한 경우가 많고, 그것을 재현한 실험의 결과를 통해 볼 때 1,200~1,400℃ 전후한 온도 대에 조업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고온에 오랜 시간 노출될 경우 녹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온도대와 함께 조업시간대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This paper tried to study the iron production technology of Baekje Dynasty using the tuyere excavated from Baekje iron archeological site while the number of successful excavation of iron archeological site is increasing recently. The tuyere is used to create high temperature in the kilns, such as smelting furnace or smithery hearth that produces ironware, by blowing the wind into them and it is classified into large-diameter, medium-diameter, and small-diameter tuyere. The large-diameter tuyere is again classified into bent pipe and straight pipe and it is the bent pipe that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furnace. The bent pipe typically has 120-140°angle and it is divided into fore-end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furnace and rear-end part outside the furnace. Their types are divided into two kinds such as non-frame type (I) and frame type (II)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rear-end part. The frame type is subdivided again depending on which part, among the inner side, floor, and outer side, the frame was placed on for molding. Because the small-diameter types were excavated only in small quantity, they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forms connected from the fore-end part to rear-end part but we expect that we can get more detailed information when the number of data increases in the future. As the result of tuyere clay analysis, the fire clay elements were not detected and we could reconfirm that the tuyere clay was the same clay as general earthenware clay. This study also restore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tuyere through actual experiment by examining the production trace of the relic. The molding of the bent pipe part of the large-diameter bent pipe type tuyere can be divided into integrated molding and split molding but in general, the split molding was identified to be easier technique for productio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uyere could be identified by the trace of the melting side at the furnace wall and it could be also identifi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the iron production work is very much likely to have conducted at around 1,200~1,300℃ temperature if the fore-end part was not melted as indicated by the relics of Seokjang-ri, Jincheon. The tuyere is found not only in Baekje area but also in Silla and Gaya areas where many similar cases of using rear-end part frames are identified. This study will proceed with the comparative research on iron production technologies in Three Kingdoms period by expanding the research material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