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의 아곤과 인성교육

        정낙림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nt of self- introduction writing that college students can utilize in real employment situations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based on competence that knowledge or function learned in society can be exerted in society. For this purpose, self-introduction of college students was evaluated by the experts on the basis of suitability of the purpose of employment, by individual tendency, individual ability, job understan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20% of the top and bottom scores were selected, and key words were extracted and visualized in ‘Word Clou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pecific job group, company name, and brand have been revealed in the self-introduction document of the top level, and experience and career have been specifically suggested.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words related to human relationships, words with future - oriented images, and words with extroverted characteristics were high. On the other hand, the low-level self-introduction letter has a wide range of occupational fields and the incidence of words with intrinsic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s high.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negative words such as ‘anxiety, difficulty, and frustration’were relatively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professionalism through the use of various vocabulary related to the occupation as the contents of writing the self introduction letter, to expose the person's tendency effectively using the word that gives a positive image, to use proper noun, specific designation, Presenting them in the form of storytelling, presenting them in the direction of future rather than the past. The job introduction self-introduction training presented by the main office has the same exploratory characteristics as research and analysis of companies and core language analysis using word cloud, as compared to previous self-introduction conducted by individual activities. It is also in line with the goals pursued by the Competency- Based Education in terms of learning that is available in real employment situations.

      • KCI등재

        일본의 초기 니체 수용사: 1890~1910년까지

        정낙림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4 No.-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To examine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is meaningful for us because it was exactly Japan where Nietzsche’s Philosophy was first introduced and Nietzsche’s texts were translated.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Korea and China was mostly influenced by Japan. Thus, research into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Korea and China will be able to gain objectivity through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Another reason why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has meaning to us is because we will be able to see how Nietzsche’s Philosophy had been reinterpreted in Japan in accordance with its culture, history and social conditions. Through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the Oriental understanding of Nietzsche’s Philosophy.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is nearly half a century ahead of Korea. This study introduces the Recep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n Japan from approximately 1890 to 1910. The intellectuals of that time we should pay attention to are Takayama Rinjiro[Chogyu], Anesaki Masaharu[Chofu], and Mori Ogai. ‘The aesthetic life debate’ triggered by Takayama Rinjiro is mainly based on Nietzsche’s Philosophy. 이 논문은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의 니체수용사가 우리에게 의미를 가지는 것은, 무엇보다도 동양에서 최초로 니체철학이 소개되고 니체의 저서들이 번역된 곳이 일본이고, 한국과 중국의 니체 수용은 일본을 거쳐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니체 수용사에 대한 연구는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니체 수용사가 우리에게 의미를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검토함으로써 우리는 일본이 어떻게 자신의 문화와 역사, 사회적 조건에 맞게니체를 재해석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본의 니체 수용사를 통해, 니체철학에 대한 동양적 이해 방식의 의의와 그 동시에 문제점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니체 수용사는 한국보다 반 세기 가까이 앞서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략 1890년에서부터 1910년까지의 일본에서의 니체 수용사를 소개한다. 이 시기에 우리가 주목해야할 지식인은 다카야마 린지로[쵸큐], 아네사키 마사하라[쵸후], 모리 오가이이다. 1900년초 다카야마 린지로가 촉발하고 당시 일본 지식인들의 화두였던 ‘미적 생활’ 논쟁은 일본의 니체 철학 수용과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주제이다.

      • KCI등재

        예술과 생리학

        정낙림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Nietzsche’s and Dewey's philosophy of art in terms of physiology. The idea that it is impossible to define art prevails these days. The slogans 'Everything is art' and 'Everyone is an artist' are not unfamiliar. In Warhol's 'Brillo Box', A. Danto affirms that the definition of traditional art such as imitation theory, expression theory, formalism, etc. cannot explain 'Brillo Box' as art, and he declares ' the end of art'. Danto's declaration of the end of art broke the modern boundaries of art and gave legitimacy for various artistic experiments. However, the biggest problem raised by artistic pluralism is that if everything can be art, it cannot provide a clear criterion for which art is better or superior. Here, F. Nietzsche's "Physiology of Art" and J. Dewey's "Art as Experience" attract our attention. Nietzsche finds the beginning of art in physiology, especially the Affect of intoxication. Dewey is also looking for its origins in the physical rhythm of humans facing nature. Both Nietzsche and Dewey start art from physiological conditions, but do not give up the qualitative difference in art. 본 연구의 목적은 니체와 듀이의 예술철학을 생리학의 관점에서 비교하는 것이다. 오늘날 예술을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모든 것이 예술이고’, ‘모든 사람은 예술가’라는 구호가 낯설지 않다. 미학자 단토(A. Danto)는 워홀의 ‘브릴로 상자’에서 모방론, 표현론, 형식론 등의 그 어떤 전통적 예술의 정의도 ‘브릴로 상자’를 예술로 설명할 수 없다고 단언하고, ‘예술의 종말’(The End of Art)을 선언한다. 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은 예술에 대한 근대적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예술적 실험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했다. 그런데 예술 다원주의에 제기되는 가장 큰 문제는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다면, 어떤 예술이 더 좋은 혹은 탁월한 예술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니체(F. Nietzsche)의 ‘예술생리학’(Physiology of Art)과 듀이(J. Dewey)의 ‘경험으로서 예술’(Art as Experience)이 우리의 주목을 끈다. 니체는 예술의 출발을 생리학, 특히 도취의 정동(Affect)에서 찾는다. 듀이 역시 예술을 자연을 마주한 인간의 신체적 리듬에서 그 기원을 찾고 있다. 니체와 듀이는 모두 예술의 출발이 생리적 조건에서 시작하지만, 예술의 질적 차이를 포기하지 않는다.

      • KCI등재

        매체와 감각의 재편 – 벤야민을 중심으로

        정낙림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6 No.-

        매체이론가 매클루언에 따르면 매체는 ‘인간의 확장’이다. 매클루언의 이 주장은 매체 가 가진 힘을 간결하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모든 매체 철학의 전제가 된다. 발터 벤야민은 매클루언에 앞서 매체와 감각의 재편에 대해 언급한다. 물론 그의 관심은 매체 자체에 있 기보다는 기술적 복제의 도입으로 예술과 예술작품의 정의와 역할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 이다. 본 논문은 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1939)을 중심으로 벤야민의 주장을 매체철학의 관점 에서 상론한다. 먼저 우리는 매체와 감각의 재편, 매체와 세계관의 변화를 매클루언의 매체이론을 통해 확인한다. 둘째, 우리는 벤야민의 매체에 대한 사유를, 특히 영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되, 영화와 연극의 기술적 차이를 통해 드러낸다. 셋째, 벤야민의 매체와 감각의 재편 그리고 매체와 인식방법의 차이를 그림과 영화의 예시를 통해 살펴본다. 넷째, 벤야민의 매체와 사회변혁의 문제를 영화의 사회적 기능을 통해 고찰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벤야민 의 매체철학이 가진 한계를 살펴볼 것이다. According to media theorist McLuhan, the medium is ‘extension of man’. This argument of McLuhan not only concisely expresses the power of media, but also becomes the premise of all media philosophies. Before McLuhan, Walter Benjamin mentions the media and reshaping of human sense. Of course, his interest is not in the media itself, but in tracking changes in the definition and role of art and works of art with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cal copying. This thesis discusses Benjamin’s argu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philosophy, focusing on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1939). First, we confirm through McLuhan’s theory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theoretical model for the media and reshaping of human sense, and changes in media and worldview. Second, it examines Benjamin’s thoughts on media, especially film, but reveals the technological difference between film and theater. Third, we examine Benjamin’s arguments for the media, reshaping of human sense, and differences in recognition methods through examples of paintings and films. Fourth, Benjamin’s statement of the media and problems of social change will be considered through the social function of film. Finally, we will examine the limitations of Benjamin's media philosophy.

      • KCI등재

        니체의 ‘예술의 종말’과 ‘미래예술'

        정낙림 한국니체학회 2017 니체연구 Vol.32 No.-

        Der vorliegende Beitrag zielt darauf ab, Nietzsches These vom ‘Ende der Kunst’ und von der ‘Kunst der Zukunft’ zu erörtern. In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der Kunst ist die These vom ‘Ende der Kunst’ bei Hegel und Danto wohlbekannt. Für Hegel stellt sich im Schönen der Kunst der absolute Geist dar, wobei er sich in sinnlicher Form ansieht. Die Religion, in der sich der absolute Geist als Vorstellung vergegenwärtigt, übernimmt jedoch auch die geschichtsbildende Rolle der Kunst. Infolgedessen ist für Hegel die Aufgabe der Darstellung des Absoluten als Gehalt aller Künste am Ende erreicht. In der Gegenwart repräsentiert Danto die Debatte über das ‘Ende der Kunst’. In Dantos Ende der Kunst steht Andy Warhols Ausstellung von ‘Brillo Boxes’ im Mittelpunkt. Danto macht klar, dass es seit diesen Brillo Boxes unmöglich geworden sei, Kunstwerke wie bisher aufgrund traditioneller Bestimmungen von Nicht-Kunstwerken zu unterscheiden. Auch in der Philosophie Nietzsches spielt das ‘Ende der Kunst’ eine wichtige Rolle. In seiner Frühphase hängt das Thema mit dem Untergang der Tragödie zusammen. Für Nietzsche ging die Tragödie durch den ästhetischen Sokratismus zugrunde. In seiner späten Phase ist das Thema eng mit der Physiologie der Kunst und der ‘Kunst der Zukunft’ verknüpft. Nach der Physiologie der Kunst ist die Kunst eine Folge unser Physiologie. Nietzsche richtet sein Augenmerk besonders auf den ‘Rausch’, der ein wesentliches Symptom des Willens zur Macht und die Voraussetzung des Schaffens ist. Die Physiologie der Kunst bedeutet, dass jeder Mensch Künstler ist, sofern er schaffend ist und alles Kunst ist, sofern der Mensch seine Welt bildet. Die Physiologe der Kunst wirkt sich auf die Geburt gegenwärtiger Kunst aus. 본 논문은 니체의 ‘예술의 종말론’과 ‘미래예술’ 선언이 함의하는 의미를 묻는것을 목표로 한다. 예술철학사에 다양한 ‘예술의 종말론’이 등장했지만, 가장 주목받은 것은 헤겔과 단토의 주장이다. 헤겔에 따르면 예술은 절대정신을 감각적 직관 형식으로 파악한다. 그런데 종교가 절대정신을 내면적으로 표상하기 시작할 때, 예술은 더 이상 절대정신을 직관하는 매체로서 기능을 상실한다. 단토는 워홀의 ‘브릴로 상자’를 기점으로 외관에 관한 한 예술작품과 예술작품이 아닌 것의 기준이 무의미하다고 선언한다. 헤겔의 예술의 종말이 근대의 산물이라면, 단토의 예술의 종말은 탈현대 다원주의의 결과물이다. 두 사람의 예술의 종말선언이 함축하는 의미에는 차이가 있지만, 두 선언은 예술의 기능과 정의가역사철학의 산물이라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이른바 예술에 관한 네러티브는 시작과 끝이 있다는 것이다. 니체 역시 예술의 종말에 대한 심층적 사유를 전개한다. 초기의 예술의 종말선언은 주로 그리스 비극의 탄생과 완성 그리고 소크라테스적 이성주의에 의한비극의 종말을 통해 드러난다. 그러나 니체의 예술의 종말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사유는 그의 ‘예술생리학’을 통해서 등장한다. 예술생리학은 예술의 시작을생리학에서 찾고 있으며, 예술의 평가 역시 생리학에 의존한다. 모든 존재는 자기확장에 대한 열망, 즉 힘에의 의지의 지배를 받는다. 예술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받는 정동은 ‘도취’이다. 도취는 힘에의 의지에 대한 직접적 징후를 드러낸다. 예술이 성립하려면 도취는 선결조건이며, 도취에서 인간은 ‘자기를 조형하는 예술가’가 된다. 예술생리학의 관점에서 예술의 종말은 바로 힘에의 의지의 병적인유형인 ‘데카당스’적 예술이 잘 보여준다. 삶의 조건과 대립하여 자신과 문화를병들게 하는 예술은 종말을 의욕하는 예술이다. 이점에서 니체의 예술의 종말론은 역사철학의 산물이 아니라, 가치의 문제이다.

      • KCI등재

        매체와 놀이 - 발터 벤야민의 매체철학을 중심으로 -

        정낙림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3 No.-

        Walter Benjamin was the first philosopher to seriously think about media and play. He argues that technological reproduction media will expand the play space (Spiel-Raum). His claim appears in the second edition of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In this book, Benjamin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chnology and the second technology. The first technology is the technology of the era when humans were governed by natural conditions, and refers to the way humans adapt and conform themselves to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uses a small amount of human input and reproduces nature through machinery. Photography and film are representative secondary technologies. In the second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is newly established. In this way, humans view nature not as an object of fear but as an object of pla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umans are liberated from the fear of nature in the second technological stage. This thesis aims to discuss Benjamin's theory of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play, focusing on film media,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econd technology. First, we look at the play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technology. Second, we examine the process of filming and ed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play. Third, in terms of appreciation, we approach the reorganization of the senses brought about by the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play. Finally, we review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Benjamin's theory of media and play.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매체와 놀이에 대해 본격적으로 고민한 최초의 철학자이다. 그는 기술복제 매체가 놀이공간(Spiel-Raum)을 확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의 제2 판에 등장한다. 그곳에서 벤야민은 제1 기술과 제2 기술의 차이를 설명한다. 제1 기술은 인간이 자연조건에 지배받던 시대의 기술로서, 인간이 자신을 자연에 순응하고 일치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제2 기술은 인간이 자신을 적게 투입하고 기계장치를 통해 자연을 재현하는 기술이다. 사진과 영화는 대표적인 제2 기술이다. 제2 기술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새롭게 정립된다. 즉 제2 기술에서 인간은 자연을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놀이의 대상으로 바라본다. 따라서 인간은 제2 기술 단계에서 자연의 공포에서 해방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벤야민의 매체와 놀이의 관계를 제2 기술의 대표적 사례인 영화 매체를 중심으로 상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제2 기술의 놀이적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영화의 촬영과 편집의 과정을 놀이의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셋째, 감상의 차원에서 영화가 초래한 감각의 재편을 놀이의 관점에서 접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매체와 놀이에 관한 벤야민 이론의 공과를 검토할 것이다.

      • KCI등재

        ‘예술의 종말’과 종말이후의 예술

        정낙림 한국니체학회 2016 니체연구 Vol.30 No.-

        Der vorliegende Beitrag zielt darauf ab, die These vom ‘Ende der Kunst’ bei Hegel, Nietzsche und Danto zu erörtern. Dabei lege ich mein Augenmerk besonders auf die Differenzen der These vom ‘Ende der Kunst’ bei Hegel, Nietzsche und Danto. Also werde ich nachweisen, dass es die Differenz der Stellung von der ‘Kunst nach dem Ende’ gibt. In der Geschichte der Ästhetik ist die These vom Ende der Kunst bei G.W.F. Hegel und Arthur C. Danto wohl bekannt. In der Kunst repräsentiert sich für Hegel der absolute Geist, wobei er sich in sinnlicher Form ansieht. Aber die Kunst gibt ihre geschichtsbildende Rolle an die Religion ab, in der sich der absolute Geist als Vorstellung repräsentiert. Für Hegel zeigt sich so die geschichtliche Entwicklung der Darstellung des Absoluten als Gehalt aller Künste am Ende. In der Philosophie Nietzsches spielt die These vom Ende der Kunst ebenfalls eine wichtige Rolle. In seinen frühen Phasen spricht Nietzsche das Thema in bezug auf den Untergang der Tragödie an. In seiner späten Philosophie geht es dabei wesentlich um ‘die Physiologie der Kunst’ und ‘die Kunst der Zukunft’. In der Gegenwart repräsentiert Arthur C. Danto die Debatte über das ‘Ende der Kunst’. Für Danto verkörpert sich ein Schlüsselereignis dafür in Andy Warhols Ausstellung von ‘Brillo Boxes’, denn hier werden Verpackungskartons als Kunst verklärt. Danto behauptet nun, die Kunstwerke aufgrund bisher herrschender, bestimmter Eigenschaften von Nicht-Kunstwerken zu unterscheiden, sei damit unmöglich geworden. 본 논문은 헤겔, 니체, 단토의 예술의 종말(das Ende der Kunst)을 비교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세 철학자는 근대, 현대 그리고 탈현대 예술철학 지형에 중심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세 철학자는 ‘예술의 종말’을 선언한다는 점에서 유사점도 있지만,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본 논문은 그들의예술의 종말론에서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를 찾는데 집중할 것이다. 헤겔에 있어서 예술의 종말은 절대정신의 전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헤겔에 따르면 예술은 절대정신을 감각적 직관형식으로 파악한다. 절대정신이 감각적 직관형식보다 더 보편적인 형식인 내면으로 표상될 때 예술은 진리의 인식매개체로서 역할을 다한다. 한편 니체에게 예술이 삶을 고양시키지 못하고 쇠잔하게 하고, 문화를 병들게 할 때 종말을 맞게 된다. 단토에서 예술의 종말은 팝아트의 등장과 함께 찾아온다. 그는 팝아트가 외관에 의해서 예술작품과 비예술작품을 구분하는 기준을 무의미하게 했고, 그와 더불어 전통 예술은 종말을 고한다고 말한다. 세 철학자의 예술의 종말론은 종말이후의 예술을 어떻게 정의할것인가와 종말이후의 예술의 지위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서 분명한 차이를드러낸다.

      • KCI등재

        진리의 허구성과 허구의 진정성 - 영화 ‘라쇼몬’과 니체의 관점주의

        정낙림 한국니체학회 2017 니체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라쇼몬>을 니체의 관점주의로 분석한 글이다. 니체에 따르면 인간은 오직 관점주의적으로만 인식할 수 있다. 그렇다고니체가 진리의 상대성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다. 니체가 관점주의를 통해 진정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관점은 해석의 산물이며, 해석은 철저히 힘에의 의지에의존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관점은 힘의 증대유무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영화 <라쇼몬>은 기억의 주관성과 상대성을 극단적으로 보여준다. 덤불 속에서 일어난 과거의 사건에 대해 주인공들이 전하는 내용은 모두 다르다. 아키라는 플래시백 기법으로 주인공들의 내러티브를 전한다. 본 논문은, 도둑, 무사 그리고 무사의 아내의 내러티브를 니체의 관점주의 입장에서 평가할 것이다. 우리는 특히 무사의 아내인 마사고의 내러티브에 주목한다. Der Aufsatz behandelt Akira Kurosawas Flim 'Rashomon' und Nietzsches Perspektivismus. Nach Nietzsche gibt es nur ein perspektivisches Erkennen. Aber Nietzsche befürwortet deshalb nicht den Relativismus. Der Perspektivismus bei Nietzsche besagt, dass eine Perspektive eine Konsequenz von Interpretation, die auf einem Willen zur Macht basiert, ist. Eine Perspektive kann danach beurteilt werden, ob sie den Willen zur Macht zu steigern oder zu schwächen vermag. Der Film ‘Rashomon’ zeigt die Subjektivität und Relativität des Gedächtnisses. Kurosawa teilt die Erzählungen der Personen jeweils in einer Rückblende (Flashback) mit, wobei die Aussagen der Beteiligten, die einen ungewöhnlichen Vorfall jeweils aus ihrer Perspektive erzählen, nicht miteinander vereinbar sind. Der Aufsatz erörtert die Erzählungen des Räubers, des Samurai und der Frau des Samurai im Licht des Perspektivismus bei Nietzsche. Dabei gilt mein besonderes Augenmerk der Erzählung Masagos, der Frau des Samuri.

      • KCI등재

        니체의 현대성 비판과 정치사상 - 평등 이념의 문화적 의미

        정낙림 한국니체학회 2011 니체연구 Vol.19 No.-

        니체는 현대(Moderne)가 몰락하는 가치, 허무주의적 가치를 신봉함으로써 생리학적 측면에서 자기모순에 빠져있다고 본다. 모든 살아있는 것은 힘에의 의지에 따라 자기 상승을 꿈꾼다. 그러나 현대는 인간들 사이의 위계와 거리를 계몽의 이름으로 제거한다. 평등권은 근대에 등장한 일체의 정치사상의 뿌리가 되었다. 근대에서 비롯된 평등은 이제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인간이 평등하다는 근대의 인간관은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니체에게 보편적 인간과 보편적 이성은 천민들의 집단적인 ‘힘에의 의지’가 고안해낸 우화이다. 니체가 평등의 가치를 신봉하는 근대인을 비판하는 핵심은 그들이 보편적 ‘평등권’을 모든 가치에 확대 적용하여, 가치들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를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모든 가치의 균등화는 바로 니힐리즘의 표식이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니체의 현대성 비판이 왜 평등 개념에 집중되는 지를 살펴보고 평등 이념이 초래한 문제는 무엇이고, 그것을 극복할 니체의 대안은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이것을 위해 첫째, 우리는 니체가 왜 당대인을 ‘최후의 인간’으로 지칭하고 그것이 평등 이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둘째, 평등이념의 기원을 계보학적으로 추적할 것이다. 셋째, 평등이념과 근대의 정치사상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넷째, 평등 이념과 그것의 산물인 근대문화를 극복하기 위한 니체의 대안을 ‘위대한 정치’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Der vorliegende Beitrag zielt darauf ab, Nietzsches Kritik an der Moderne und sein politisches Denken zu erörtern. Nietzsche beurteilt die Moderne als physiologischen Selbstwiderspruch, weil nach ihm in der Moderne Niedergangswerte, nihilistische Werte unter den heiligsten Namen die Herrschaft führen. Dabei ist die Gleichheit für Nietzsche der Zentralwert der Moderne. Aus der Idee der Gleihheit ergibt sich aber auch die beängstigende Konsequenz, dass jeder das Recht zu jedem Problem zu haben glaubt. Nietzsche sieht im Streben nach größtmöglicher Gleichheit den Niedergang des europäischen Menschen verwirklicht. Aus der Gleichheit vor dem Gesetz ziehen die Menschen den Schluss, dass auch ihr Verhalten und ihre Wertvorstellungen gleich sein sollen. Nietzsche bezeichnet diesen Menschen als den „letzten Menschen“, der dem Übermenschen entgegensteht. Der vorliegende Aufsatz gibt Antworten auf die Fragen: Erstens, warum Nietzsche den modernen Menschen als letzten Menschen bezeichnet. Zweitens,woher der Wert der Gleicheit kommt. Drittens, welcher Zusammenhang zwischen Gleichheit und moderner Politik besteht. Viertens, was Nietzsches Weg aus der Moderne ist.

      • KCI등재

        헤라클레이토스 단편 B52에 대한 한 연구 - 놀이 철학의 관점에서

        정낙림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단편 B52에 관한 한 연구이다. 헤라클레이토스사유의 전모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의 사유를 확인할 수 있는유일한 길은 여러 사람에 의해 자의적으로 선택되고, 가공된 흔적도 가끔씩보여 헤라클레이토스로부터 유래한 것인지도 의심스러운 단편을 해석하는 일이다. 철학사를 통해 헤라클레이토스를 이해하는 두 틀은 ‘변화’와 ‘로고스’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틀로 이해할 수 없는 단편들이 다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의 대표적인 경우가 B52이다. 철학사는 오랫동안 헤라클레이토스의 B52에 주목하지 않았다. 19세기 중반 이후 문헌학자를 중심으로 그것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다. B52에 대한 획기적 해석은 니체와 하이데거를 통해 이루어졌다. 니체는 B52를 통해 자신의 놀이철학의 선구를 발견했으며, 하이데거는 자신의존재론, 특히 ‘존재역운’과 관련하여 B52를 바라본다. 두 철학자의 획기적 해석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여전하다. 이 논문은 먼저 B52가 헤라클레이토스의 단편들에서 어떤 지위를 갖는 지를살펴보고, 그것이 가진 독자성을 드러낼 것이다. 둘째, 이 논문은 B52에 대한다양한 번역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것 중에서 어떤 것이 수용가능한 지 따져볼것이다. 셋째, 이 논문은 B52를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을 어원학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그것의 의미를 해석할 것이다. 넷째, 이 논문은 B52를 구성하는 단어들이 의미의 차원에서 어떻게 정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살핀다. In diesem Aufsatz geht es darum, Heraklits Fragment B52 zu erörtern. Heraklits Fragmente bzw. Worte sind wie eine Menge kleiner Inseln, zu deren Gemeinschaft Brücken und Fähren der Methode fehlen. Das Fragment B52 ist aber das dunkelste Wort unter den Worten Heraklits. B52 bietet verschiedene Möglichkeiten der Übersetzung, so dass es schon aus diesem Grund vieldeutig ist. Um die Bedeutung des Fragments B52 zu erörtern, werden zunächst einzelne Wörter des Fragments, wie aion, pais, pesseuo und basileie, untersucht. Die Wortuntersuchungen beginnen mit etymologischen und lexikalischen Hinweisen. Danach wird die Rezeptionsgeschichte der Worte beleuchtet. Dabei stellt sich die Frage nach möglichen verschiedenen Einflüssen auf die Heraklitischen Begriffe. Nach der Wortuntersuchung wird der Sinnzusammenhang der Worte von B52 thematisiert. Dabei spielt der Begriff ‘Spiel’ eine wesentliche Rolle. In B52 tauchen die Worte ‘pais’, ‘paizon’, ‘paidos’ auf, die das gesamte Fragment bestimmen. Diese Wörter stammen alle von derselben Wurzel ab, so dass sie sich mit der Bedeutung ‘spielen’ bzw. ‘Spiel’ verbinden. Daher ist B52 aus der Hinsicht auf ‘Spiel’ zu verste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