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입식품(輸入食品) 안전관리(安全管理) 정책(政策)의 현황(現況)과 개선방안(改善方案)

        정기혜 ( Kee-hye Ch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保健社會硏究 Vol.20 No.1

        WTO출범에 따라 `90년대 이후 수입식품의 양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새로운 뉴라운드에 의해 국제교역의 완전 자유화, 개방화에 따라 수입식품의 양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수입식품은 국내 생산식품과는 달리 수입전 생산단계, 수입검사단계, 국내 유통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 안전제고를 위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국가차원의 수입식품 관리 시책의 현황 파악과 향후 안전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재 우리 나라의 수입식품 관리는 일원화하는 세계적 추세에 반하여 1988년에 농림부, 식품의약품안전청, 그리고 해양수산부로 3원화 되어 있으며, 또한 정밀검사 비율은 높은 반면, 부적 합률은 낮은 검사체계상의 모순을 갖고 있다.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단계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수입전단계에서는 공장등록제, 국외 공인검사기관 확대, 수출국에 검사관 파견 등이며, 검사단계에서는 정밀검사비율 축소 및 부적합률 제고, 식품전용 보세장치장 운영, 전 검사단계의 전산화 등이다. 그리고 국내 유통단계에서는 냉장ㆍ냉동시스템 완비, 사후검사 강화, 수입업자 관리, 수입식품 사고에 대한 홍보 강화 등이며, 기타 조치로 범 부처간 특별위원회 설치, 사고식품에 대한 수거비상대책 마련, 수입식품 전산망의 유지보수, 관련 공무원의 전문화, 그리고 유전자재조합식품(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c) 등 최신제품에 대한 대응책 마련 등이 요구된다. In 2000, We met with a new era of liberization of world trade, and therefore the importation of foreign food has increased rapidly every ye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National-based policy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of imported foods and catch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mported food safety. The food was imported through three stages: During the first stage food was cultivated and produced in exporting countries. In second stage Food was inspected in imported countries and during the final stage was distributed at domestic market in imported countries. We have many problem with imported food safety during each stage now. There are many precise examinations(22%) and low rate of disqualification(0.4%) than other counties. There are a result of unqualified manpower, uncontrolled importer, and ununified management system on distributed imported food. Therefore, the national-based policy most proceed as follows: First of all, during the first stage inspector are dispatched the exporting countries to collect dates on exported food and countries. During the second stage, Inspection manual was revised for decreasing a precise examination rate and increasing the disqualified rate like other countries. Also professional program have developed manpower to increase their specialty. In the last stage, the cold-chain system is perfectly built, the inspection on distributed food is strengthened for increasing safety of imported food, and further step up publicity activities on imported food safety.

      • KCI등재

        우리나라 식품안전관리체계(食品安全管理體系)의 현황(現況)과 개선방안(改善方案)

        정기혜 ( Kee-hye Ch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保健社會硏究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급변하는 식품환경에 신속히,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현 우리나라 식품안전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현황을 참고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기존 문헌고찰과 개선방안 도출을 위하여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향후 식품분야 발전을 위한 대안 마련을 위하여 26명의 식품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국 22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식품안전업무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을 얻기 위해 외국의 식품안전관리체계에 관한 분석은 미국, 영국, 캐나다, 아일랜드, 덴마크 등을 대상으로 1990년대 이후 전환된 식품안전관리체계에 관해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원화, 지방분권화, 비전문화와 비과학화, 규제 완화로 규정되는 현 우리나라 식품안전관리체계의 개선방안으로 체계의 일원화, 중앙집권화, 전문화 및 과학화, 일부 규제강화 등이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을 전문가 조사결과에 의거하여 제안하였다.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research are as follows: ○ A variety of global changes―the increase in number of fatal diseases caused by spoiled foods, rapid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area with the launch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the change of food environment arising from the transition of international trade, the appearance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give rise to increasing concerns over food safety. ○ In the wake of such global trends, Korea, experiencing administrative duplications and inefficiencies in food management, faces the pressing needs of enhancing efficiency and achieving specialization in the area.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food administration in Korea. ○ Analyze foreign food administration. ○ Evaluate the ability of municipal offices in undertaking food administration and survey concerned public servants` recognition of food administration. ○ Survey recognition of consumers, specialists, and business regarding food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 Integration of food safety administration ― The structure of future food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maximizing the preparedness and reliability of food safety administration and to fulfill the need for integrating food safety administration agencies ○ Centralization of food safety administration ― Prevalent, deep-rooted administrative malpractices, including loose control, feeble administrative measures, should be extirpate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that have been transferred from metropolis administration to ward offices should be returned to promote transparency and appropriateness of food safety management. ○ Modernization food administration ― International trends in food safety administration urge us to take scientific path to food safety administration. If Korea fails to measure up to WTO`s new standards and norms that apply equally to both domestic and imported food products, then it also fails to enter the competitive arena of free and open global trade. ○ Specialization of food administration ― Additional human resources need to be supplied and deploy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manpower. Also, offices in charge of food administration should be specialized by creating more jobs in food administration sector and hiring new people who have a degree in food sanitation. ― Public officials in food administration sector should be given ample opportunities to have complementary, updated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수입식품(輸入食品)에 관한 소비자(消費者)와 판매업체(販賣業體)의 인식(認識) 및 관리(管理) 현황(現況)

        정기혜 ( Kee-hye Ch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保健社會硏究 Vol.18 No.1

        이 연구는 유통중인 수입식품의 안전성 제고를 위하여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와 판매업체의 인식과 정부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유통중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6개 대도시를 조사대상지역으로 하여 이곳에 소재한 대형 판매업체 40개소와 이 販賣業體에서 식품류를 구매한 消費者 1,2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대상 소비자의 96.7%가 수입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었고, 조사대상업체 중 백화점과 편의점의 100.0%, 대형 슈퍼마켓의 85.0%가 수입식품을 판매하고 있었다. 16개 식품류중 국내생산 식품에 비해 많이 구매 및 판매되는 수입식품류는 냉동육류, 커피와 커피크림류, 과일가공품류, 견과류, 주류, 과자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이 구매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제품의 流通期限이었으며, 監視 및 團束시 가장 빈도가 높은 위반사항도 유통기한 경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중인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입업체의 조직화, 輸入食品 流通 電算網 構築, 감시 및 단속 강화, 그리고 적정한 유통기한 표시 등이 선결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amount of imported food has increased every year since the WTO was launched, and it is spreading is quickly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buying and selling of imported foods and to develop plan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imported foods. The survey had a sample number of 1,209 consumers, 40 department stores, and was done in 6 large cities. Results showed that 1,154 of 1,209(96.7%) consumers have experienced buying imported foods, and that 100% of department stores, 100% of convenient stores and 85% of large supermarkets have sold all kinds of imported foods also. Imported foods were classified into 16 large groups; frozen meats, frozen fish, coffee and coffee creams, processed fruits, nuts, alcoholic drinks, confectionery, processed vegetables, milk products, meat products, seasonings, processed frozen products, raw fruits and vegetables, soft drinks, teas, and infant products. They are being sold more than domestic foods.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in improving the safety of imported foods in retailing; establishing the managing system for imported foods companies, establishing the network program for imported foods, proper labelling regarding the distribution period, and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ystem an imported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