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척전>에 형상화된 주변인물의 특징과 작가 의식

        정규식 ( Kusik Ch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4 No.-

        본고는 <최척전>에 등장하는 주변 인물들의 성격 규명을 통해 거기에 내재된 작가의 창작 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최척전>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주변인물의 성격과 연관되는 작가 의식을 본격적으로 고찰한논의는 없었다. 본고는 이점에 주목하여 포로 옥영과 연관되는 돈우, 그리고 유랑인 최척과 연관되는 여유문·주우·늙은 오랑캐·진위경 등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최척전>의 이면에는 임진왜란 때 포로로 끌려갔던 조선인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러한 포로들에 대한 조선의 다층적 시선이 절묘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또한 전란으로 고향과 조국을 떠나 동아시아를 유랑하던 민족의 아픈 경험이 내밀하게 형상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러한 고통스러운 현실을 가족과 가문, 그리고 민족에 대한 의식의 강화를 통해 극복하고자 한 작가의 인식이 투영되어 있음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최척전>은 전란 속에서 피어난 보편적 인간애나 따듯한 이웃이라는 동아시아적 가치보다는 가족과 가문, 그리고 민족에 대한 의식을 강화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전란을 극복하고자 하는 작가 의식이 반영된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nsciousness that the author of <Choi Cheok Jeon> had in creating that novel by investigating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ppeared in the novel.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d a variety of personalities that are found in characters of the novel such as Don Woo, who is associated with war prisoner Ok Young, and Yeo Yu-mun, Ju Woo, an old barbarian and Jin Win-gyeong all of whom Choi Cheok has some things to do with. The novel shows how much people of Joseon who became prisoners of the Joseon-Japan War, that is, Imjinwaeran lived a life full of ups and downs and how much diversely they were viewed by their mother nation. The work also represents in detail pains that were experienced by those who had to leave their home and mother nation and wander around the East Asia due to the war. Furthermore, the novel reflects its author’s intention to overcome and resolve the pains through strengthening the characters’awareness of their family, clan and nation. In conclusion, <Choi Cheok Jeon> reflects its’ author’s consciousness that consequences of the war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intensified awareness of family, clan and the nation, rather than humanity as is often developed during wars or East Asian values like neighborhood.

      • KCI등재

        <운영전>에 형상화된 안평대군의 인물 성격과 작품 세계

        정규식(Chung, ku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이 글은 안평대군의 인물 성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영전>의 작품 세계를 재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안평대군은 <운영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다. 안평대군의 인물 성격은 수성궁 이라는 공간적 영역과 궁녀들과의 관계라는 인간적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파악가능하다. 본고는 안평대군을 선과 악, 혹은 주동인물과 반동인물 같은 기존의 전형성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인간 본연의 ‘충동(衝動, Trieb)’을 자극하는 존재로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다. <운영전>에서 안평대군은 수성궁의 궁녀, 특히 운영이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어떤 것으로만 되어 가는 것에 저항하고 자기 스스로가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유희 충동을 발현하게 한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안평대군은 <운영전>의 서사적 흐름 속에서 작 품의 주제를 초점화하는 존재이다. 이를 기반으로 <운영전>을 해석하면, 소격서(昭格署) 완사(浣紗)에 대한 궁녀들의 유희 충동이 수성궁의 질서를 해체하여 안평대군이 몰락하게 되고, 이후 이는 사람들의 새로운 문화적 시공간으로서의 수성궁이 탄생하게 되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완사를 통해 추구한 그 들의 자유 지향적 충동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기존 질서의 해체 및 새로운 질서의 재편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un-yeongjeon> s work based on the new perspective on the personality character of the Anpyeong Dae-gun. Anpyeong Dae-gun is an important figure in understanding <un-yeongjeon>. The personality character of Anpyeong Dae-gun should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human sphe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omain of the Soseonggung and the maid of honors. In this regard, I have suggested that Anpyeong Dae-gun should be viewed as a stimulant of human nature, rather than being viewed as an existing typology such as good and evil, main characters and reactionary figures. In <un-yeongjeon>, Anpyeong Dae-gun resisted the maid of honor of Soseonggung, especially when the operation was only made to something other than herself. And it can be said that it manifested Spieltrieb which can be herself. In this regard, Anpyeong Dae-gun focuses on the theme of the work in the narrative flow of <un-yeongjeon>. Based on this point of Anpyeong Dae-gun, looking at <un-yeongjeon>, Spieltrieb of the maid of honors through the time and space of Wansa is a new culture of Suseonggung as a play space based on a new order It can be said that it has become a driving force to create the phenomenon. Therefore, their freedom-oriented trieb pursued through the warrants became the opportunity to bring about a new perception of human beings, the dismantling of existing order and the reorganization of new order.

      • KCI등재

        2단계 신경망과 계층적 프레임 탐색 방법을 이용한 MPEG 비디오 분할

        김주민(Joomin Kim),최영우(Yeongwoo Choi),정규식(Kusik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9 No.1·2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a hierarchical segmentation method that first segments the video data into units of shots by detecting cut and dissolve, and then decides types of camera operations or object movements in each shot. In our previous work[1], each picture group is divided into one of the three detailed categories, Shot(in case of scene change), Move(in case of camera operation or object movement) and Static(in case of almost no change between images), by analysing DC(Direct Current) component of I(Intra) frame. In this process, we have designed two-stage hierarchical neural network with inputs of various multiple features combined. Then, the system detects the accurate shot position, types of camera operations or object movements by searching P(Predicted), B(Bi-directional) frames of the current picture group selectively and hierarchically. Also, he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macro block types in P or B frames are used for the accurate detection of cut position, and another neural network with inputs of macro block types and motion vectors method can reduce the processing time by using only DC coefficients of I frames without decoding and by searching P, B frames selectively and hierarchically. The proposed method classified the picture groups in the accuracy of 93.9-100.0% and the cuts in the accuracy of 96.1-100.0% with three different together is used to detect dissolve, types of camera operations and object movements. The proposed types of video data. Also, it classified the types of camera movements or object movements in the accuracy of 90.13% and 89.28% with two different types of video data. 본 논문에서는 MPEG 비디오 데이타의 컷(cut)과 디졸브(dissolve)를 검출하여 샷(shot) 단위로 분할하고 각 샷의 카메라 동작 또는 객체 움직임의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정확한 샷의 위치와 카메라, 객체의 세분화된 동작을 구별하기 위한 전단계의 연구에서[1] 우선 MPEG 데이타의 I(Intra) 프레임의 DC(Direct Current) 계수를 분석하여 픽처 그룹을 Shot(장면이 바뀐 경우), Move(카메라 동작 또는 객체가 움직인 경우), Static(영상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으로 세분화하여 분류하였다. 이 과정에서 2단계 구조의 신경망을 구성하고 여러 종류의 특징을 서로 다른 해상도에서 추출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음 단계로 Shot 또는 Move로 분류된 픽처 그룹의 P(Predicted), B(Bidirectional) 프레임을 선별적, 계층적으로 탐색하여 컷의 정확한 발생 위치와 카메라 동작 또는 객체 움직임의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P, B 프레임의 매크로 블록의 종류별 분포를 통계적으로 이용하여 컷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며, P, B 프레임의 매크로 블록 종류와 움직임 벡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신경망을 구성하여 디졸브, 카메라 동작, 객체 움직임의 종류를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MPEG 데이타의 압축을 풀지 않은 상태에서 I 프레임의 DC 계수만을 사용하여 픽처 그룹을 분류하며, 분류된 픽처 그룹 내에서 일부의 P, B 프레임만을 계층적으로 선택하여 탐색함으로서 처리 시간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세 종류의 서로 다른 비디오 데이타를 사용한 실험에서 93.9-100.0%로 픽처 그룹을, 96.1-100.0%로 컷을 검출하였다. 또한 두 종류의 비디오 데이타를 사용한 실험에서 90.13% 및 89.28%의 정확성으로 카메라 동작 또는 객체 움직임을 분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