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취저감 향상을 위한 스크러버 세정수 처리 시스템 개발연구

        정구회(Gu-Hoi Chung),임문순(Moon-Soon Im),김연수(Youn-Soo Kim),김덕현(Duk-Hyun Kim) 한국청정기술학회 2017 청정기술 Vol.23 No.1

        스크러버는 적정한 처리효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정수를 지속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화학업종 대부분은 폐수처리시설이 없어 스크러버 세정수를 위탁 처리하고 있으며, 처리비용 때문에 자주 교체해 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악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거나 배출구 농도가 더 높아지는 역전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세정수를 자체 정화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과와 흡착 공정으로 구성된 세정수 처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세정수 처리 시스템은 화학업종 두 개 스크러버를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세정수 수질 상태와 악취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세정수 처리 시스템 적용 결과 50% 이상의 수질개선 효과와 20% 이상의 악취개선 효과를 확인 하였으며, 기존 운영대비 40%의 비용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었다. The scrubber wastewater should be replaced frequently to maintain efficiency. Most chemical companies consign scrubber wastewater, because there are no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So scrubber wastewater is not frequently replaced because of high treatment cost. For this reason, the most scrubber exhaust gas exceeds the odor emission limit or has a phenomenon that the odor intensity of exhaust gas becomes higher.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scrubber wastewater cleaning system consisting of filtr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The scrubber wastewater cleaning system was applied two chemical companies. We evaluated the water quality and odor reduction effect before and after system application. As a result, scrubber wastewater quality improved by 50% or more, odor reduction efficiency of scrubber exhaust gas improved by 20% or more. And the total operating costs of the scrubber could be reduced by 40% or more.

      • KCI등재

        Full-scale EFC (Electric Fume Collector)를 활용한 텐타공정 배출가스 정화 및 오일 회수

        황열순(Yeal Soon Hwang),박희재(Hee Jae Park),정구회(Gu Hoi Chung),김덕현(Duk Hyun Kim),나병기(Byung-Ki Na) 한국청정기술학회 2011 청정기술 Vol.17 No.3

        섬유 염색 산업은 공장 주변의 주민들이 악취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으며 반드시 해결해야할 대기오염 문제이며, 특히 텐타공정에서 발생하는 백연과 악취를 저감하여야 한다. 섬유 염색 산업의 주된 대기 오염물질은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유연제, 가소제, 발수제등을 사용하는 후처리 공정에서 주로 발생한다. 화학물질이 처리된 섬유를 텐타공정에서 건조하는 동안섬유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이 기화하여 대기로 배출된다. 백연은 주로 1 마이크론 미만의 작은 고상 혹은 액상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텐타공정에서 발생된 오염물질 분자들이, 이들 입자에 붙어서 상당히 먼 거리까지 이동하며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텐타공정의 악취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이러한 미세한 오일미스트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700CMM의 Full-scale EFC (Electric Fume Collector) 운전을 통하여, 악취 및 백연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으며 많은 양의 오일을 회수 할 수 있었다. The textile industry is suffered from air pollution problems which must be resolved. In particular, white smoke and odor after the tenter process require abatement. The major air pollution problem in the textile industry occurs during the finishing stages, where various chemicals are used for coating the fabrics. Lubricating oils, plasticizers, and water repellent chemicals are the fabric treatment chemicals. The coated fabrics are cured by heating in tenter facility. In this process, most of air pollutants emitted into the air. White smoke is basically made up of tiny solid or liquid particles of VOCs less than one micron in size. The oil mist can be carried over long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origin.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removing odor from tenter process is to get rid of tiny oil mist at the emitted gas. For this reason, the full-scale EFC (Electric Fume Collector) of 700 CMM was tested for removing odorous substances emitted from tenter faci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odor and white smoke can be eliminated effectively and quite large amounts of oil can be recovered.

      • KCI등재

        시화반월산업단지 활성탄 공동재생시스템 적용을 위한 활성탄 흡착탑 개선에 따른 환경적 효과분석

        최여진(Ye Jin Choi),이영우(Young Woo Rhee),정구회(Gu Hoi Chung),김덕현(Duk Hyun Kim),박승준(Seung Joon Park) 한국청정기술학회 2021 청정기술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시화반월산업단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일반형 활성탄흡착탑과 활성탄 공동재생시스템 적용을 위해 개발된 카트리지형 활성탄흡착탑으로 개선하여 얻게 되는 환경적 효과분석을 고찰하였다. 일반형 활성탄흡착탑 4개소와 카트리지형 활성탄흡착탑 2개소를 선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활성탄의 물성특성을 분석하고 환경오염물질의 저감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카트리지형 활성탄 흡착탑에 사용되는 활성탄은 요오드흡착력 800 mg g<SUP>-1</SUP> 이상의 양질의 활성탄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체주기내에서 양호한 수준으로 활성탄 흡착성능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경오염물질 저검효율 분석결과 카트리지형 활성탄 흡착탑의 경우 THC (Total Hydrocarbon), toluene 및 MEK (Methylethylketone) 성분의 처리효율이 각각 71%, 77% 및 80%로 좋은 처리효율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형 활성탄 흡착탑은 처리효율이 매우 낮아 배출오염 물질을 처리하는 방지시설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일반형 활성탄 흡착탑을 카트리지형 활성탄 흡착탑으로 개선하여 운영 시 배출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improving the general-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used at the Sihwa/Banwol Industrial Complex with use of a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for the application of an activated carbon co-regenerated system. Four general-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s and two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and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ated carbon used in the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s was high quality activated carbon with an iodine adsorption force of more than 800 mg/g and that a good adsorption performance was maintained within the replacement cycle. From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pollutant reduction effici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functioned properly as a prevention facility for handling emissions pollutants with a treatment efficiency of total hydrocarbons (THC), toluene, and methylethylketone (MEK) components of 71%, 77%, and 80%, respectively. The general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which was confirmed to use low-performance activated carbon, had a very low treatment efficiency and did not function properly as a prevention facility for dealing with emission pollutants.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pollutants during operations by changing from the general-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to a cartridge-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