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 중학교 비(非)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정광조,이대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14 통합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비(非)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따라 중학교 비(非)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00시 00교육지원청의 00중학교 전교생 478명을 대상으로 비(非)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장애이해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학년이자 여학생이면서 장애친구, 초등학교에서의 장애이해교육 경험, 초등학교에서의 통합학급 경험이 있고, 사회․경제적 지위, 학업적 자아개념, 도덕성, 또래로부터의 인기도,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은 비(非)장애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장애이해검사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앞으로 중학교에서의 장애이해교육은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도덕성 수준을 고려하고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환경을 개선하며 장애학생과 비(非)장애학생들이 서로 친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통합교육을 통한 새로운 장애이해교육 방안과 함께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ose variables related t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 dis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study purpose, we invented the test of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administrated it to 487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students'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was different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rade, gender, the existence of friends with disabilities, the experience of education ab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the experience of any inclusive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Second, students'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was influenced by their self-concepts on academy, morality, popularity from peers, and the perception of school culture. This study suggested that strong and continued programs, specially focused on moral edu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with peers with disabilities, are necessary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 KCI등재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쓰기 중재 연구에 대한 효과 분석 -R을 이용한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정광조,홍성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7 학습장애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riting instruc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and low achievement in Korea. We conducted a meta-analysis with R on writing instruction studies. We calculated SMD(Standardized Mean Difference) for 20 quantitative writing instruction studies. First, we identified a statistically large effect : total studies(SMD = 1.49), the studies on low achievement(SMD = 1.69), and studies on learning disabilities(SMD =1.10). Second, we found that cooperative learning(SMD = 2.69), CAI(SMD = 0.92) and total language learning method(SMD = 1.34)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arge effect. Finally, total studies, studies on low achievement, cooperative learning and CAI' heterogeneity was large, but studies on learning disability and total language learning' heterogeneity was small.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operative learning, CAI and total language method can be effective in promoting writing ability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or learning dis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쓰기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대상 쓰기 중재 양적연구 총 20편을 대상으로 R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대상 쓰기 연구의 표준화된 차이 점수인 SMD(Standardized Mean Difference)는 전체 연구(1.49), 학습부진(1.69) 그리고 학습장애(1.10)으로 큰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쓰기 중재 유형 별 SMD는 협동학습(2.69), 컴퓨터(0.92) 그리고 총체적 언어 프로그램(1.34)로 큰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연구, 학습 부진, 협동학습 그리고 컴퓨터(멀티미디어 포함)는 큰 크기의 이질성을 보인 반면, 학습장애와 총체적 언어 프로그램은 이질성이 아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대상 협동학습, 컴퓨터(멀티미디어 적용 포함) 그리고 총체적 언어 프로그램 쓰기 중재가 증거 기반의 실제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증거-기반 실제의 지표에 부합되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읽기 및 수학 직접교수 프로그램 연구의 효과: R을 이용한 메타 분석 및 메타 ANOVA 분석을 중심으로

        정광조,여승수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irect Instruction reading & math Programs that have been applied in Korea effect or not. To do this, we implemented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ANOVA with direct instruction reading and math studies which are related in standards for evidence-based practice in Korea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reading studies. Eleven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timated effect size for the group and the evidence based practice was 0.25 and 0.65, respectively. The effect size for the large DI was 1.40, which was interpreted as the large effect siz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Meta-analysis with ANOVA. This study concluded that Direct Instruction reading and math programs are evidenced based practice and we must develop Direct Instruction Reading and math Programs and apply these programs to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적용된 읽기 및 수학 직접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들의 효과를 R을 이용한 메타분석 및 메타 ANOVA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직접교수 읽기 및 수학 프로그램 연구의 평균 효과의 크기는 0.25로 작은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연구들 중에서 증거-기반의 실제인 연구들의 평균 효과의 크기가 0.64로 중간 정도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라지 DI’ 연구들만을 대상으로 평균 효과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 1.04로 큰 크기의 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 읽기 및 수학 직접교수 연구들의 중재 기간에 따른 조절변수효과분석을 위한 메타 ANOVA 결과, 중재 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의 직접교수 읽기 및 수학 프로그램이 증거-기반의 실제임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라지 DI’ 읽기 및 수학 프로그램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 및 효과를 분석하는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aren J. Warren의 에코페미니즘 소개

        정광조 大田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8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Vol.3 No.-

        기존 환경윤리와 철학에 대한 반발적 대안적 환경윤리가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소위 생태학적 페미니즘(Ecological feminism) 또는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이라 불리우는 여성적 관점의 환경윤리가 작금 인류가 겪고 있는 환경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 윤리로서 주창되고 있다. 에코페미니즘이란 오늘날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여성과 자연 모두가 그동안 역사적으로 남성의 지배대상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이 글은 여러 에코페미니스트들이 대표 자격에 해당하는 Warren이 발표한 페미니스트 생태학의 힘과 전망(The Power and the Promise of Ecological Feminism)이라는 논문을 요약 정리함으로써 에코페미니즘의 윤곽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쓰인다.

      • KCI등재후보

        국내 통합교육의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중재반응모형 가능성 탐색- 통합학급에서의 교육과정적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

        정광조,김동일 한국통합교육학회 2014 통합교육연구 Vol.9 No.1

        The problems of inclusive education are that there is a lack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and in an absence of cooper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s teacher in Korea. It is because of general education educators’lack of interest in the study and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Therefore,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and at-risk students aren’t able to receive appropriate education in regular classrooms.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 needs to study the application of RTI in USA and looks a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RTI in Korea as the alternative of inclusive education. In USA, RTI was developed to unite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co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mplement CBM and evidenced-based intervention at general classrooms in general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RTI to be institutionalized as a part of law of special education and for Korea to support the study and practice of RTI. With RTI, Korea can develop inclusive education for all students. 국내 통합교육의 문제점은 일반교육에서의 통합학급에서의 교육과정적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의 부족,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의 부재 그리고 통합학급의 일반교사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증거-기반 중재 부족으로 인해 일반학교의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효과적이고 적합한 교육을 제공받기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중재반응모형(RTI : Response to Intervention)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 국내에 중재반응모형을 적용하여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연계,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협력 진행 그리고 교육과정중심측정과 과학적 증거-기반의 중재를 제공하여 모든 학생에게 효과적이고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중재반응모형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하나의 교육개혁의 방안으로 일반학교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와 현장을 지원하여 국내 통합교육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의 제도화와 통합학급에서의 모든 학생에 대한 책무성 공유와 강화를 통해 모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일반 중학교에서의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의 효과와 개선 사항- 비장애 중학생 대상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

        정광조,김동일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plor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of recognition and inclusive through the exposure of general education middle school student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Eight general educatio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year long program in which they played wheelchair basketball with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who had physical disabilities.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in a focus group to determine whether their attitude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been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and their opinion, attitude about inclusive education in their middle school from two years ago or no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reported that participating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program had no effect on their attitudes toward those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 students did report that they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diversity in the community by being exposed to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s part of the focus group session, the students were also asked about other aspects of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with classmates with disabilities.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liked being in classes with others with disabilities. They felt accepting of their classmate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of the teachers who came in the classroom to assist them. Further,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 school’s Good Friend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lassmates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addition, the students commented that the school’s one hour a year lecture about disabilities had no impact on their attitudes. As a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ers conclude that changes in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mpact students’ attitudes toward and understanding of those with disabilities. Middle schools must implement programs that effectively educate studen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the legal rights of those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 for acceptance of them. Additionally, a study of the attitudes of general education middle school teachers toward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eeded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and implement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일반 중학교에서 휠체어 장애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의 효과 및 개선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시 교육청에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통합교육중점학교를 실시한 00중학교 3학년 남학생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휠체어 농구 게임을 활용한 장애체험활동은 일반 중학생들의 장애인식개선에 큰 효과가 없었지만 다양성 인식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통합교육에 대해서 찬성을 하였으며 협력교수에 대해서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 학생들에게는 좋은 친구 활동이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식개선교육은 일회성 행사보다는 수업 시간을 통한 장애 관련 정보제공이나 장애인권교육 및 봉사활동을 통한 체험 및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이들의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위 친구들의 반응, 즉 좋은 친구 활동이 필요하다. 앞으로 통합교육중점학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관리자 및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 연구를 실시하여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의 효과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