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LID시설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 저감효율평가를 위한 SWMM모델의 적용

        정광욱,정종석,박진성,현경학,Jung, Kwang-Wook,Jung, Jong-Suk,Park, Jin-Sung,Hyun, Kyoung-Ha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7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8 No.4

        최근 도시의 확대와 팽창에 따라 불투수층 증가에 따른 물순환의 건전성 약화, 녹지 등 생태계의 파괴 등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LID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인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를 대상으로 SWMM 모텔을 구축하여 LID시설 적용 전후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 저감효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6년 강우를 대상으로 모의한 결과 배수구역 기준 12.2%, 집수구역 기준 62.0%의 유출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OD오염부하 저감효과 평가 결과 배수구역기준 15.5%, 집수구역 기준 74.9%, TP의 경우 배수구역기준 9.2%, 집수구역 기준 71.4%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아산탕정 지구 내에 설치된 4가지 시설물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효율은 식생수로가 가장 높고 측구형 침투시설이 가장 낮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하지만 이는 시설물의 개소수, 체적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실제 시설물의 효율을 비교를 위해서는 시설물의 공극률을 고려한 체적을 산정하여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집수면적당 시설물의 공극률을 고려한 체적(V/A)이 낮은 침투도랑 및 측구형 침투시설이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SWMM 모델의 LID모듈을 이용하여 물순환 및 오염부하 저감효과를 검토한 결과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의 검토를 통해 효과적인 LID시설을 설계하는데 활용 기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Urbanization can be remarkable affected flood, pollutant loading, ecological system, and green infrastructure by distortion of hydrologic cycle. In order to mitigate these problems in urban, Low Impact Development(LID)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and applied in the world. SWMM model was calibrated with sets of field monitoring data and applied for calculation of runoff and pollutant loading in Asan-tangjung LID city under 2016 rainfall. Runoff reduction of watershed and catchment basins were showed efficiency 12.2% and 62.0%, respectively. Reduction of COD and TP loading also high efficiency in catchment basins were evaluated 74.9 and 71.4%.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effectively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 by comparing watershed runoff and pollutant reduction by designs of sort of LID technique, LID volume and location.

      • KCI등재
      • 유전자재조합 식물로부터 토양미생물로의 유전자 전이에 대한 고찰

        정광욱 慶熙大學校 食糧資源開發硏究所 2010 硏究論文集 Vol.29 No.-

        현재까지 유전자재조합 식물로부터 토양미생물로의 유전자 수평 전이가 가능했다는 연구결과들은 최적화된 실험실 조건에서 얻어진 것들이였다 즉,실험실 배양조건에 순치된 미생물을 유전자 수용제로 사용했거나, 상동성 조합 또는 복제기점 등을 사용하는 등 유전자 전이를 최적화한 조건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들로서,현실적인 환경과는 거리가 있는 조건에서의 실험결과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실험실 조건과는 달리, 야외 포장조건에서는 유전자재조합 식물로부터 토양미생물로의 유전자 수평 전이가 검출된 사례가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가 얻어진 젓은 실제로 유전자 전이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유전자 전이가 발생은 했지만 검출하지 못할 정도로 그 전이율이 극히 낮았거나 (ERMA, 2006), 기존의 미생물 배양방법 등으로 검출할 수 없는 미생물에 식물 유전자가 도입되었을 수 있는 등 여리가지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즉, 유전자재조합 식물로부터 토양미생물로의 유전자 전이에 관한 실험실에서의 연구 결과 일부 및 설제 야외 포장에서의 연구결과가 서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때문에, 유전자재조합 식물이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들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젓이다. 토양 미생물상은 유전자재조합 석물 및 유전자재조합 하지 않은 식물 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거나 [Dunfield 및 Gennida(200 1), Smalla 등(200 1)], 관찰된 유의적 차이가 일시적 현상이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Dunfield 및 Germida(2003), Wu 등(2004)]. 반면, 더 많은 연구자들은 유전자재조합 식물을 재배하더라도 토양 미생물상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했다[Cψamfi(2oo2), Schmalenberg뼈2(02), Schmalenbεrger(2oo3),Shen, Kim등(2008),Demanechε등(2008),Stefani등(2009),Kim 등(2010a), Kim 등(2010b)]. 이와 더불어, 유전자재조합 보다는 환경적 요인 및 식물의 종류가 토양미생물의 특징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들이 있었으며 (Widmεr, 2007), 지난 10년간 각국에서의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상업종 유전자 재조합 식물 재배가 환경에 위해하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었다는 고찰도 보고된 바 있다(Sanvido 등, 2007). 이상과 같은 점들을 모두 고려하면, 유전자재조합 식물로부터 토양미생물로의 유전자 수평 전이는 형질전환 조건이 최적화된 실험실 조건에서 확인된 사례가 있지만 야외 포장에서는 검출된 사례가 없었으며, 안전성 평가된 후 상업화 되어 재배중인 유전자재조합 식물로 인해 토양 미생물상에 부정적 영향이 실제로 발생했다고 주장할 수 있는 과학적 혹은 경험적 발견은 없었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한편, 유전자재조합 식물 위해평가 측면에서 볼 때, 유전자 수평 전이 가능성은 다른 특성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유전자재조합 식물에 도입된 재조합 유전자가 항생제 내성과 관련되거나, 독성 또는 알레르기성을 가지거나, 주변생물에 대한 우위성을 부여하는 등 안전성과 관련된 특성을 가지거나, 환경 중 선택압이 존재한다면, 유전자 수평 전이가 위해평가를 위한 위험요소 설정에서 비교적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간척담수호 저층퇴적물의 오염물질 용출특성

        정광욱,윤춘경,이인호,이승일,강수만,함종화,Jung, Kwang Wook,Yoon, Chun Gyeong,Lee, In Ho,Lee, Seung Il,Kang, Su Man,Ham, Jong Hwa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6 No.1

        Sediment pollutants have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source for the eutrophication of estuarine reservoi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ollutants released from bottom sediment to water column were investigated.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each two station from Namyang and Sukmoon estuarine reservoirs in August 2013. The fractionation result of sediment phosphorus indicated that Adsorbed-P ($36.7{\pm}8.84%$) and Nonapatite-P ($29.3{\pm}12.50%$) are the two dominant phosphorus groups in the sediments. For sediment release test, eight sets of acrylic chamber (0.3 m $diameter{\times}1m$ high, with 0.15 m sediment depth) were used with aerobic and anaerobic environment. Under anaerobic conditions, rates of $NH_4-N$ release from the sediments were highly variable, with final concentrations of $NH_4-N$ in the overlying water varying from between about 0.69~1.04 in Namyang and 2.58~4.23 mg/L in Sukmoon reservoir. The $NH_4-N$ release was active at the upstream around the confluence of tributary compared to downstream near the embankment. The $PO_4-P$ release was more obvious than $NH_4-N$ in anaerobic condition. The final $PO_4-P$ concentrations were approximately from two-fold to eight-fold higher than initial concentration. In terms of reservoir water quality management, not only tributary pollutants but also sediment nutrient loading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water quality contribution.

      • KCI등재

        화옹호 유입하천의 수질현황 및 수질항목간의 상관관계

        정광욱,윤춘경,장재호,전지홍,Jung Kwang-Wook,Yoon Chun-Gyeong,Jang Jae-Ho,Jeon Ji-Hong 한국농공학회 2006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8 No.1

        Most projects of tideland reclamation with dike construction produce estuarine reservoirs, which may result in water quality problems due to blocking of natural flow of stream water to the sea. External loadings to the reservoirs through tributaries are major concerns in a concerned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water quality of a reservoir is greatly influenced by watershed drainage, and accurate estimation of pollutant is indispensable for in the reservoir management. Concentrations of the microorganisms in stream water and conventional parameters were monitored in the 13 water quality monitoring sites located in a rural watershed of Hwaong estuarine reservoir. The indicator of microorganisms showed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regression equations with $R^2\geq0.70$ may be used fur estimating one from other microorganisms.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obtained in this study may be used to infer one unknown pollutant concentrations from the measured pollutant loadings. This methodology could be applied to other areas where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tudy area. High concentrations of nitrogen was observed in water quality monitoring sites affected by urban land uses and numbers of livestock in wet day as well as dry day, due to the influent of diffuse sources.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실시간 고정밀 위치추정을 위한 파티클필터와 확장칼만필터 융합 위치추정 알고리즘 개발

        정광욱,유지환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5 No.6

        In this paper, we fused an extended Kalman filter and a particle filter to accurately locate autonomous vehicles in real time. While previous researchers have widely used extended Kalman filtering for GPS-based localization of dynamic systems, these solutions have suffered from GPS shadows. Meanwhile, since particle filters do not contain any GPS information, the computational delay from the large number of particles limits the localization precision. We propose a complementary method that compensates the problem of each standalone method: we use the output from the particle filter as a sensed position input to the extended Kalman filter after motion prediction and considering the computational time delay. The combined method is free of GPS shadows and localization errors from the computational delay. We tested this method with an autonomous vehicle system at KOREATECH and showe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with an extended Kalman filter and the particle-filter-only localiza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