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명연수의 원융심성과 귀결점 - 정토의 심성과 관련해서 -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연수(延壽, 904-975)는 법안종의 개창자인 법안문익(885-958)과 법안의 제자 천태덕소(天台德韶, 890-971)의 법을 이은 삼대조사다. 연수는 명주의 설두산(雪竇山)에서 전법하여 점차 주목받기 시작하여 새로 건립한 항주의 영은산(靈隱山)에 제1대 주지를 맡았고, 다음에 전당의 영명도량에서 제2대 주지를 담임하였으며, 문하의 제자도 대단히 많아서 2천명에 달하였다. 연수가 일생에 저작한 수많은 작품 가운데 그의 대표적인 진작(眞作)으로 일컬어지는 현존하는 저서는 『종경록(宗鏡錄)』 100권,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 3권 또는 6권, 『유심결(唯心訣)』 1권, 『주심부(注心賦)』 4권, 『관심현추(觀心玄樞)』 1권, 『정혜상자가(定慧相資歌)』,『신서안양부(神棲安養賦)』, 『수보살계법병서(受菩薩戒法幷序)』 등이다. 이러한 저작 가운데 그는 선종의 계통으로는 남종이다. 그는 주체적인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는 문자에 의존하지 언교 밖에 별도로 전하여 곧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 견성하고 성불하는 선종의 종지를 논술함과 동시에 기타 여러 종파의 심성이론(心性理論)과 수행방법을 상세하게 인용하여 양자의 원융을 입증하여 선교의 통합과 이사(理事)의 쌍수(雙修)를 달성하였다. 연수는 선법이론의 핵심으로 “이심위종(以心爲宗)”을 표방한다. 이것은 바로 마음으로써 존귀함을 삼고, 본체를 삼으며, 지혜의 작용을 삼은 것이다. 그 의미는 대승불교의 자성이 청정한 여래장청정심의 불성을 받들어 존중하여 표준으로 삼아 법계의 만물과 인류사회 및 중생의 번뇌와 생사와 해탈의 문제를 논구하고 결단한다. 선종의 심성으로써 중심을 삼아 대소승의 교법과 제종의 교의를 종합하여 귀결한 것이다. 연수는 수당시기에 성립한 종파 중에서 오직 화엄의 교리와 선종의 종지를 중시하여 일치한다고 간주하였다. 그는 화엄에서 말하는 하나의 진실인 진여의 마음 즉 법성의 법계연기와 이사원융(理事圓融)과 진망(眞妄)이 교철(交徹)하는 이론을 인용해서 불성이 세계의 본체이기에 번뇌와 보리, 해탈한 피안과 세속의 차안, 중생과 부처가 서로 용납하고 섭수하여 상즉불이(相卽不二)한 것임을 천명한다. 그는 또한 이러한 인증을 통해서 그의 이사쌍수(理事雙修)와 선교가 회통한 선과 염불의 쌍수를 삼은 이론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미 그렇게 이(理)와 사(事)가 서로 원융무애하다면 스스로 마음의 본성을 깨닫고 여러 가지 교법을 수지하는 것도 당연히 수행에 장애가 없기에 마음을 밝히고 본성을 봄으로써 종지를 삼은 선과 정토 기타 교문의 모든 종지도 응당 회통된다고 여겼다. 연수가 중시한 “명심(明心)”의 개념은 바로 명심(明心)과 더불어 견성(見性), 명종(明宗), 달성(達性)이다. 이는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 모두 자성인 불성의 여래장자성청정심(如來藏自性淸淨心)을 체득하여 깨달으면 부처가 자기 마음에 있다고 간주하였다. 그는 선승들은 이행(理行)을 수지해야할 뿐만 아니라 또한 갖가지 사행(事行)도 수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동시에 화엄종의 원융한 돈교사상(頓敎思想)을 발휘하여 일단 진여자성(眞如自性)을 깨닫는 것이 곧바로 마음을 깨달아 일체를 초탈한 조사를 이루고 일념에 부처를 이루는 ‘명심견성 일념성불(明心見性 一念成佛)’이라고 간주하였다. 그러나 연수는 또한 현실성에 착안하여 유심정토(唯心淨土)의 법성정토(法性淨土)에 도달함에도 역시 육도만행과 정토수행을 수지해서 깊고 얕은 계위를 경험하여 체득한다고 여겼다. 이것은 과거의 선종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던 그만의 독특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귀결이다. Yanshou(904-975) was born into a family of Wang in Qiantang. He inherited the dharma lineage of Tiantai Deshao(890-971), the disciple of Wenyi who was the founder of Fayan Sect. Yanshou first spread dharma at Xyedou Shan, Ming Zhou and gradually became well-known. In 960, Qian Hongchu, the king of Wuyue State, appointed Yanshou to take the first abbocy of the newly-built monastery at Lingyin Shan, Hang zhou. Next year, the king also appointed him as the second abbot of the great monastery at Yongming Qiantang. His disciples once exceeded 2,000. He has written many books including the 100-fascicled Zonggyeongrok(宗鏡錄), the 3-fascicled Manseondonggwijib(萬善同歸集), the one-fascicled Yuximgyol(唯心訣), the 4-fascicled Zhuximbu(註心賦), and the one-fascicled Guanxim hyeonchu(觀心玄樞). In these books, on one hand he described systematically the essence of Seon Sect, i.e. “to transmit mind with mind and not to attach to words,” “to point directly at man’s mind and to see the mind-nature to become Buddha”; on the other hand, he took reference from other Buddhist sects to discuss the mind-nature theory and practice techniques in details. He suggested to integrate the two in order to link Seon and teachings as well as to practise principle and phenomenon at the same time. The theory of Yanshou's seon techniques claims “to regard mind as the principal,” i.e. to consider mind as “the superior,” “the substance,” and “the wisdom.” In other words, he exalted the Buddha-nature theory of Mahāyāna Buddhism as the standard to observe and explain everything of the world, the human society, the defilements, the birth-death and liberation problems of sentient beings; he took the mind-nature theory of Seon Sect as the center to comment the teachings of Mahāyāna and Hīnayāna Buddhism and the doctrine of different schools. According to Yanshou, among the Buddhist sects established in Sui and Tang Dynasties, only the doctrine of Huayan School accords most with Seon Sect. Through the reference to Huayan School's theories of suchness(the tathāgata mind, the dharma nature), dependent origination of dharma realm, perfect integration of noumenon and phenomena, and “the inter-penetration of the true and the delusive,” he described that the Buddha nature is the reality of the world; that it is inter-being and inter-penetration between mental defilements and enlightenment, the other shore of liberation and the this shore of mundane, the sentient beings and the Buddha, etc. He also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mutual practice of noumenon and phenomena,” and “integration of Seon and doctrine” through this kind of inference. Since the noumenon and phenomena are perfectly integrated, the self realization of mind-nature and the practice of various teachings should go hand in hand with no obstruction; the Seon Sect whose objectives are “to transmit the mind” and “to see the nature” should also harmonize with other schools of teachings. Yanshou is the first one to point out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the mind.” According to him, “understanding the mind” means the same as “seeing the nature,” “understanding the objective,” and “realizing the nature.” They all mean the realization of self nature (Buddha nature, Tathāgata-garbha, self-nature pure mind) and the understanding of Buddha’s existing in one's mind. He claimed that a seon monk should practise not only “the noumena deeds” but also “the phenomena deeds.” Meanwhile, he expounded the Huayan School’s spontaneous teaching of “perfect integration.” He claims that once one realizes the Tathāgata self-nature, one is enlightened and liberated immediately, i.e. “realizing the mind to become Buddha,” “becoming Buddha at one thought.” However, Yanshou also emphasized the real life of Only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the truth in the heart of the world’s cleanest and opined that one should practise the six pāramitās and Perform a clean world and experience the different stages of realization. This has never been mentioned by the Seon masters before him.

      • KCI등재

        永明延壽의 禪戒一致에 대한 考察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5 No.-

        永明延壽(904-975)는 중세 중국의 조직적인 불교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宗鏡錄 과 같은 그의 기념비적인 작품과 萬善同歸集 또는 心賦注 등은 모두 동아시아 불교에 대한 각각의 영향을 미쳤다. 연수에 대한 연구는 자서전이나 종교적인 사상이나 禪淨一致를 자신의 연구에 게시되어 있지만, 이는 연수의 계율분야의 개혁에 연구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의 시도는 연수의 禪戒一致에 대한 논제를 고찰하여 성취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延壽의 태도는 전통적인 계율을 고수하려는 자와 부정하는 급진적인 禪僧들과 비교하면 조화적인 입장이 발견된다. 그는 보수적인 정신과 생각을 가진 Sīla의 주체들을 비판하였지만, 그는 모두 전통적인 처방을 포기하거나 주장하지 않았다. 그는 계율을 禪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계율에 새로운 정신을 불어넣었다. 즉, 대승보살이 지향하는 내용인 一心이나 絶待眞心에 禪과 戒律을 결합시켰다. 그래서 불교의 모든 교육과 가치의 기초이고, 나아가 학문의 시작에서 마지막에 이르기까지 一心이 작동한다. 따라서 마음이 깨어 있지 않으면 규칙의 준수는 의미가 없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연수가 고안한 그 생각과 행동이 하나로 수렴되었고, 그의 이러한 견해는 새로운 조직으로 작동시켜서 전통적이고 종교적인 교훈을 변형시켰다. 이것은 延壽가 후세에 남긴 공헌이고, 禪戒一致의 특성이다. YangmingYenshou(904-975) was one of the systematical Buddhist thinkers in medieval China. His monumental works like Jonggyeongrok(宗鏡錄), Manseondonggwijip(萬善同歸集) or Simbuju(心賦注) all have their respective influences on East Asian Buddhism. Although some recent scholarship have been published on his biography or bibliography, religious thought or his convergence of Dhyāna and Pure land doctrines, yet no publication on this thought and reformation of Buddhist discipline have been noted. The attempt of this paper is to fulfill this gap, i.e. to study his disciplinary thought. This study finds that Yenshou's attitude towards traditional Buddhist disciplines was moderate when compared with the radical Dhyāna monks. Although he has criticized conservative spirit and ideas, rules and masters of the Buddhist Sīla, he did not, however, advocated the abandonment of traditional prescriptions altogether. He quoted from Mahayana scriptures and the dialogues of Dhyāna masters to reinterpret the Bodhisattva Disciplines, thus injects new spirit into the old rules, making the rules more harmonious with Dhyāna doctrine. What he had inject into the Discipline was the Dhyāna ontology, i.e. the One Mind(一心) or Absolute Mind(絶待眞心). In his interpretation, the Mind is the foundation of all the Buddhist institutions and values, the disciplines therefore, should begin from and end at it. If the Mind is not awake, the observance of rules along becomes meaningless. By doing so, Yenshou had transformed traditional religious precepts from behave into a new system of thought in which the idea and actions converged into one. This is the contrib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Yenshou's thought on DhyānaSīla-Unity.

      • KCI등재

        念佛에 내재한 禪的要因에 대한 一考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08 정토학연구 Vol.11 No.-

        불교의 수행은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종교적 믿음에 의한 정토수행이며, 다른 하나는 自力的 禪修行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은 특이성과 동질성, 그리고 일치성을 갖는다. 특이성이란 염불은 아미타불의 本願力과 자비에 의존하여 왕생하여 不退轉에 이르러 성불하는 것이고, 선은 현세에서 자력으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완성하여 성불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토와 선의 동질성이란 그 수행방법은 달라도 목적이나 과정에 있어서도 상보적인 입장에 있다. 그래서 정토와 선 은 궁극적으로 일치성을 갖는다. 이러한 정토와 선의 관계는 중국의 여러 선사와 한국의 고려와 조선대의 선사들에 의해서 입증되고 있다. 몇 명의 선사를 제외하고, 특히 중국의 永明延壽와 조선의 西山休靜에 의해서 입증되고 있다. 또한 圭峰宗密은 염불의 실천면에서 四種念佛로 정리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염불의 실천에 내재한 선적요인은 수행과정에서 상보적이며 궁극적으로 일치성을 갖는다고 하겠다. The Buddhist practice is divided into two general categories. One is the faith in the Pure Land practice, and the other the meditation practice with self-effort. These two different ways have their own peculiarity yet share identical and corresponding features between the two.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former is to gain enlightenment by relying on Amitabha's vow and compassion. That of the latter is that Zen practice helps to accomplish its goal, that is, enlightenment by putting one's own effort into it. The Pure Land practice and Seon are thought to be identical and corresponding in that the purpose and process of these two are reciprocal although the ways of practice are different. For this reason, Pure Land and Zen are considered to share the ultimate sameness.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s been proven by several Chinese and Korean Zen masters from Corea and Joseon Dynasties, such as YoungMyung YeonSoo(永明延壽) and SeoSan HyuChung(西山休靜) respectively. For example, a Chinese master GyungBong JongMil(圭峰宗密) organized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invocation into four different types. As proven, the meditative factor included in the practice of the invocation shows that meditation(Seon) and invocations work together according to the complementary principle and therefore share the ultimate consentience. The study of immanent Seon`s factor in Buddhist invocation

      • KCI등재

        『아함경』에 설해진 信에 대한 小考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불교는 하나의 종교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종교적인 믿음을 절대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불교에서의 믿음은 오염된 자기를 정화해 가는 과정이라고 한다. 아니 애초에 오염된 존재가 아니었다는 것을 추구하여 확신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불교의 믿음이란 우리가 선택해서 가질 수 있는 하나의 상태나 대상이 아니라 뭔가를 해야 한다는 어떤 행위인 것이다. 즉, 불교의 믿음은 계와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과 부처님의 거룩한 제자들을 의지하여 열반에 이르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부처님의 18불공법(不共法)에 의지하여 자비를 확신하면서 아함경에 설해진 37조도품(助道品), 신앙적으로 말해서 오분법신(五分法身)을 체득하여 사향사과(四向四果)를 이룬 성자가 되는 것이다. Buddhism is a religious belief, which is, in general, assumed to be absolute and unconditional. However, the religious belief in Buddhism is presumed as the process for purifying a blemished and marred self. Or rather, it is the process of awakening and realizing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ntact, complete and inherent existent.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faith and reason in Buddhism could be explained as an act to do with awareness, not as an condition or an object to choose and obtain. Buddhism is the gateway to the Nirbā�ṇ�a, or to the Buddhist path of liberation, while we observing Virtue, and taking refuge in the Buddha, the Dharma, and the spiritual community, known as the Saṃha. Convincing benevolence and compassion of Buddha, and taking refuge in 18 incomparable powerful abilities of Buddha-daś-balā�ni, 10 abilities of wisdom, catur-vaiś�āadya, 4 abilities of fearlessness, triṇ�i-smṛ�ti-upasthā�nani, 3 abilities of invincible firmness, and the great ability of compassion - the faithful can be gradually a enlightened one who has gone through 8 phases of spiritual transformation and has attained 5 virtues of ultimate truth. All of this process are demonstrated in detail with sapta-triṃ�śd-bodhipakṣ�a in Sũ�tra Aham. Buddhism is a religious belief, which is, in general, assumed to be absolute and unconditional. However, the religious belief in Buddhism is presumed as the process for purifying a blemished and marred self. Or rather, it is the process of awakening and realizing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ntact, complete and inherent existent.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faith and reason in Buddhism could be explained as an act to do with awareness, not as an condition or an object to choose and obtain. Buddhism is the gateway to the Nirbā�ṇ�a, or to the Buddhist path of liberation, while we observing Virtue, and taking refuge in the Buddha, the Dharma, and the spiritual community, known as the Saṃha. Convincing benevolence and compassion of Buddha, and taking refuge in 18 incomparable powerful abilities of Buddha-daś-balā�ni, 10 abilities of wisdom, catur-vaiś�āadya, 4 abilities of fearlessness, triṇ�i-smṛ�ti-upasthā�nani, 3 abilities of invincible firmness, and the great ability of compassion - the faithful can be gradually a enlightened one who has gone through 8 phases of spiritual transformation and has attained 5 virtues of ultimate truth. All of this process are demonstrated in detail with sapta-triṃ�śd-bodhipakṣ�a in Sũ�tra Aham.

      • KCI등재

        念佛修行과 涅槃의 구체화에 대한 一考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정토신앙의 요체는 阿彌陀佛에게 귀의하여 간절하게 염원하여 극락정토에 往生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念佛修行의 意味는 일반적으로 五濁惡世에서 轉迷開悟의 어려움에 부처님의 본원력을 요청하는 것이다. 즉, 먼저 염불에 의해서 無限劫來의 業障을 消滅하는 것이며, 다음은 삼매를 통해서 見佛하여 인천의 스승이 되고, 셋째는 만인을 위한 만인의 구제인 極樂往生으로 不退轉을 이루며, 넷째는 궁극적으로 無生法忍을 얻어 열반과 깨달음을 실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염불수행은 인간의 한계성에서 아미타불의 本願力과 大慈悲에 의존하여 왕생하고 물러남이 없는 경지에 이르러 남이 없는 진리를 체득하여 청정한 깨달음을 완성하는 성불의 길이다. 그래서 염불수행은 그 과정에서 자력과 타력이 조화되는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염불수행의 역사적 과정은 南無佛로부터 三念으로 四念ㆍ六隨念ㆍ十隨念ㆍ五停心觀을 거쳐 중국에서 여러 염불로 다종다양해졌지만 四種念佛로 정리된다. 그 중에 純粹淨土家에서는 稱名念佛을 중요시하여 강조하였다. 이는 五濁惡世의 無佛의 시대에 時期相應하는 염불수행은 難行道를 易行道로 바꾸어 부처님의 가피력에 의해서 수행의 목적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에 전제조건으로 發菩提心을 비롯하여 信心ㆍ願心ㆍ往生迴向을 가지고 一心不亂하게 진실하고 절실한 마음으로 아미타부처님의 名號와 正報와 依報를 관하고 생각하면서 念念相續하여 不斷念佛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금생에서는 삼매를 통해서 부처님을 친견하여 안락을 얻어 인천의 스승이 되고, 내세에는 왕생하여 열반의 세계가 실현된 극락세계를 감득하는 것이다. The essence of the Pure Land faith, rely on earnestly desire and willingness to Amita Buddha is to go to the birth in the Pure Land. Typically, the meaning of performing these Buddhist invocation, turbidity, and five kinds of evil in the world, open to the top of the deceiver to change the enlightenment, the Buddha is to request the power of the original petition. One is to destroy eopjang(業障) by a Buddhist invocation, and then you will see the Buddha through samadhi, become the teacher of the people and the sky, and the third, for the people to the salvation of the people, to go the Pure Land, where the ground do not go away is achieved, the fourth, the births are not ultimately get to the truth, is to achieve Nirvana and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execution of buddhist invocation is done, the castl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human beings, to rely on Amita Buddha's original wish him strength and mercy, was born, reached the ground and not retreat, not born to get to the truth of enlightenment and Buddha will be completed. So, the performing of buddhist invocation is done, in the process, the combination of his strength and power of others, help each other in relationships. This historical process of doing a buddhist invocation in India in the Namobuddhaㆍtree smṛtiㆍfour smṛtiㆍṣaḑ-anusmṛtayaḥㆍ十隨念ㆍ五停心觀 through and in China as many Buddhist invocation variety can organize, but to Four types of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invocation(四種念佛). That is highlighted in The pure Land(淨土) Buddhist invocation of the names of Buddhas(稱名佛念) and will be important. These Buddhist invocation of the names of Buddhas destroyed eopjang(業障) through the process of samadhi, and to see the Buddha, and, ultimately, to go to the Pure Land, this is Nirvana and the Buddha. This, the Buddha of the world do not have five kinds of evil times, the times and people respond to each other, the performing of buddhist invocation is done, the hard way, for an easy change, I've been getting the help of Buddha, is to complete the purpose of performing. Furthermore, as a precondition to realize the mind and heart want to believe, including who was born and tried to get him a heart to heart with the truth not complicated, and needs in mind and Amita Buddha's name and the meaning of life and will subject I think the place to watch and think about each other is swollen with broken resume. Thus, in this life, samadhi through, can see to meet Buddha, get happy, restful, and the teacher of human beings and the sky, and the dead, you go to the Pure Land, Nirvana the world become reality, I feel the world is the Pure Land.

      • KCI등재

        五停心觀과 天台의 化法四敎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4 정토학연구 Vol.21 No.-

        불교는 본래 지혜와 자비를 위주로 수행을 통해서 생사의 강을 건너 해탈의 열반에 도달해서 성불을 원만하게 성취한다고 한 다. 그러나 여기에 도달하는 방편은 다양해서 어느 하나만을 선점하여 성취한다는 것은 곡해의 소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다 양한 선정을 통해서 지혜를 돕는 관조를 빌려서 대자대비를 성취한다고 말한다. 그 가운데 이른바 두 가지 요긴한 수행법인 數息觀과 不淨觀이 있다. 나아가 보다 근원적인 방법의 對治悉檀인 五停心觀으로 선정을 돕는 수행문을 삼기도 한다. 이러한 내용들이 비록 선정을 닦는 수행문이지만, 또한 인간의 갖가지 병통에 대치하여 심성을 치료하는 방편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번뇌가 다른 문제에 첨예하게 대치해서 설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정심관은 선정의 본격 적인 수행방편인 四念處觀에 들어가기에 앞서, 먼저 각자의 개성에 맞는 번뇌에 對治悉檀의 가르침이 하나의 몸과 마음에 여 러 가지 측면으로 설정된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천태의 교설에서는 五停心觀의 정의적 내용들을 제외하고 있으며, 행자들이 이를 채택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계위에 따라 그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五停心觀의 다양한 의미들을 드러냈다. 見道 이전, 즉 본격적인 수행에 들기 이전의 방편인 五停心觀을 원용하여 천태의 化法四敎에 배치하되 본체가 각각 달라진다는 관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바로 이러 한 관점에 유의하여 五停心觀이 化法四敎에 의해 각각 달라지는 관점들을 고찰해 보려한다. 왜냐하면 하나의 교상을 각 四敎 에 의거하여 의미들을 파악한다는 것은 중요한 치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대인들에게 드리워진 스트레스성 질환들을 치유하는 법에 대치(對治)하는 방안들 역시 여기에 제시되어 있다. 때문 에 중국의 교상판석이 불교발달 과정에서 이루어진 현상이지만, 인간의 병통 치유에 대하여 四悉檀으로 검토하여 논의하는 것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천태의 화법사교에 내재한 오정심관의 효용성과 그 가치에 대해서 논할 것이다. 이는 곧 오정심관에 대하여 천태 화법사교의의 입장에서 분석할 것이다. Buddhism is essentially carried out mainly through the wisdom and mercy of life and death to cross the river to reach the nirvana of the Buddha said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smoothly. However, there are a variety of means to reach an achievement which means that only one occupation to be in possession of a perversion. In Buddhism, wisdom is important, because it is necessary for attaining liberation and buddhahood. Concentration supplements wisdom, and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the “two ambrosias” (meditation on breathing and on the charnel yard) or the five types of calming meditation. Although these are considered to fall under the category of “concentration,” these can also be seen as expedients, each counteracting different problems. In Tiantai, the five types of calming meditation are used for the attainment of the various Tiantai stages, and include a wide variety of content. Similarly, as the five types are taken as preparatory expedients to the path of seeing, they would have different contents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teaching. This paper discusses the five types of calming meditation in terms of each of the four types of teaching. And the modern way to heal the disease of the heart to respond to China because the measures are presented here, although the bite is non-historical win as flagstone. Made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m, but how the construction of the doctrine of human diseases present in each of the pain and examine whether it is considered to be worth discussion. In conclusion, It is about relationships that Tendai four Gyobeop in other words three warehouses Gyobeop, a common Gyobeop, special Gyobeop, complete Gyobeop and the five types of calming meditation.

      • 특집 논문 : 동산문도의 정화의식과 실천내용

        정광균(법상) ( Kwang-gyun Jeong(beop Sa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5 전자불전 Vol.17 No.-

        본 고찰은 불교 정화의 배경과 이념을 근원적인 입장에서 돌아봄과 동시에 역사적 의의를 검토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불교정화운동의 주역인 동산 큰스님의 문도의 나아갈 방향을 조망하려는 글이다. 그래서 필자는 불교정화의 배경을 선학의 연구를 참고하여 다음의 10개의 요인에서 찾았다. 그는 임제종운동, 선학원 창건, 승려독립선언서, 백용성의 대처식육 반대, 수좌들의 자생적 정화, 遺敎法會, 식민지불교 청산, 봉암사 결사, 수좌 전용사찰 요구, 불교의 포교 정신 등이다. 불교정화의 이념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공존하는 것으로 보면서도, 식민지 불교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고뇌와 지성으로 보았다. 근현대사에서 전개된 불교정화는 큰 역사적 의의를 갖고 있다.그는 청정한 승단을 회복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하에서 불교정화가 추진되었지만, 미진한 측면이 많아서 지금도 불교정화를 추진해야할 당위성을 갖는다. 그래서 동산문도는 불교정화의 정신이 부처님의 가르침에 부합하였음을 인식하고, 정화운동에 앞장 선 용성큰스님과 동산큰스님의 정신을 재인식하고 계승해야 한다. 그리고 사상적인 불교정화를 추진한 동산큰스님의 상좌인 성철스님의 정신도 기억해야 한다. 요컨대 동산문도는 용성ㆍ동산ㆍ성철로 이어진 문도들의 불교정화의 계승의식을 유의하면서 근본불교를 실천하는 일에 나서야 할것이다. This study was basically focusing on the background of Buddhist purification and its ideology, and looking over a historical meaning simultaneously. Through this, I``d like to find out which direction the disciples of the reverend Dongsan, a leader of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s, should go forward. So I found out the backgrounds of buddhist purification from the next 10 factors, with the researches on Seon Studies. They are the movement of the Imje order, establishment of Seon Institute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by monks, opposition movement against having a wife and eating meats by Baek Yongseong, Seon monks`` autonomous purification, Confucianist dharma society, Ending the colonial buddhism, Movement at the Bong``am monastery, Demands of using the exclusive temples only for Seon monks, and Buddhist missionary spirits etcetera. He thought that the ideology of Buddhist purification was existing over time and districts, as the concerns and intelligenc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olonial Buddhism. The Buddhist purification has a great historical meaning developed in the modern history. Because he recovered the pure Sangha cluster. Under such a background, the buddhist purification was carried out though, there are still lots of loose ends. So it is the right thing to do for buddhist purification. So the School of Dongsan disciples need to recognize that the spirit of buddhist purification was coincided with Buddha``s teachings. And also we need to recognize and succeed to the spirits of the great master Yongseong and Dongsan, who led the purification movement. We should remember the spirit of Seongcheol Sunim, a disciple of the great master Dongsan who carried out the ideological buddhist purification. In other words, the school of Dongsan disciples always need to think of spirits of Buddhist purification by the disciple monks - Yongseong, Dongsan, Seongcheol-and try to do our best for practicing the fundamental Buddhism.

      • KCI등재

        『관무량수경』의 16관법과 염불선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6 정토학연구 Vol.25 No.-

        금타대사와 청화선사는 한국불교의 근대와 현대의 불교계에 지대한 영향을 발휘하여 후학은 물론이요, 한국불교계에 반드시 조명을 받아야할 분들 중에 두 분이다. 이 두 분의 불교학적 소양은 근본불교로부터 밀교에 이르기까지 지극히 다양다종하다. 심지어는 현대물리학에 이르기까지 선정 속에서 체득하여 후학을 계도하였다. 주목할 것은 한국불교의 전통적인 회통불교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실질적인 고증을 통해서 한국불교가 인도의 근본불교로부터 밀교에 이르고, 중국의 순선시대 조사선으로부터 간화선과 더불어 염불선이 확립되어 전개되는 과정까지 입증하였다. 특히 염불선에 대한 정통불교의 문헌적 입증은 특기할 내용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필자는 ‘『관무량수경』의 16관법과 염불선’에 대한 논제를 가지고, 먼저 16관법의 성립배경을 인도와 중국의 불교의 정황을 살펴서 『관경』에 드러난 정선(定善)의 13가지 관법을 검토해 보았다. 다음에 산선(散善)의 3가지 복업을 통해서 대승과 소승, 세간의 선행을 살펴서 염불선의 성립내용을 금타대사와 청화선사가 주창한 염불선의 연원까지 고찰하였다. 끝으로 염불선의 원만성취는 원융무애한 선과 제교를 회통한 궁극의 귀결은 바로 마음의 청정을 확인하고 체득하는 것이었다. 나아가 극락의 염불선정에서 열반의 세계를 구체적으로 체험하여 사지(四智)와 오지(五智)를 구족한 아미타불을 체화하는 것이 바로 염불선인 것이었다. 이상의 16관법과 염불선은 금타대사와 청화선사 두 선지식이 평소에 주창하고 직접체험을 통해서 역대에 선지식들이 주목한 『관무량수경』에 설해진 법계일상(法界一相)으로 시심작불(是心作佛)이면 시심시불(是心是佛)이라는 즉심즉불(卽心卽佛)의 성재작용(性在作用)에 주력한 조사선의 정통을 계승한 전통불법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는 다종다양한 종교의 섬이라 불릴 정도의 다양한 종교가 산재한 현대에 반드시 필요한 종교적 실천이 요구된다. 이에 두 분의 선지식이 주창한 주지적이고 철학적인 선수행과 주정적이고 종교적인 염불신앙이 조화를 이루는 현대에 매우 적합한 수행이 염불선이라고 간주되어 간략히 고찰해 보았다. 또한 염불선은 인도와 중국, 한국에 이르기까지 정통성을 확보한 중요한 정통수행의 요체로 간주되어 현재와 미래에도 유효하게 여겨진다고 하겠다. 그래서 이것이 바로 안심입명(安心立命)의 청정한 마음의 고향을 찾아 본래 청정한 마음의 정토로 가는 길인 것이다. Geumta and am learning as well as the Tsinghua After exert a profound impact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m, Buddhism in Korea, is two minutes during those can be sure the lighting in Korea Buddhism. Buddhist archaeological knowledge of the two minutes, is extremely wide variety ranging from fundamental esoteric Buddhism. And even learn who was behind the genealogical learned from the selected speed, ranging from modern physics. In particular, the process proved to Korea Buddhism has a substantial interest through a profound historical research on integrated traditional Buddhist Buddhism in Korea is deployed from reaching the esoteric Buddhist fundamentalism in India, it is Buddhānu-Smṛti-Seon is established with kōan radiation from the era of Chinese sunseon It was. Especially proven authentic Buddhist literature for Buddhānu- Smṛti-Seon are considered to be specialty information. So I “16 kinds Vipaśyanā of 『gwanmuryangsugyeong』 and Buddhānu- Smṛti-Seon” with a thesis on, first, 16 kinds of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Vipaśyanā review the circumstances of Buddhism in India and China, 13 kinds of Vipaśyanā revealed in 『gwangyeong』 Vipaśyanā the review looked. Next up it was studied through three acts of bokdeok Buddhānu-Smṛti-Seon Mahayana and Theravada, the establishment of origin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Buddhānu-Smṛti-Seon reputedly one of the preceding Geumta and Tsinghua Buddhānu-Smṛti-Seon advocated. Finally Buddhānu-Smṛti-Seon smooth accomplishment of the ultimate result the smooth and Seon gathered through the lines every doctrine without disabilities by raising the right was to determine the purity of heart, and learned. In addition to chanting selection of paradise to experience the world of Buddha Amitabha specifically to embody the wisdom and with four of five kinds of wisdom was right Buddhānu-Smṛti-Seon. And more than 16 kinds Vipaśyanā Buddhānu-Smṛti-Seon Seon master's Geumta and Tsinghua both the usual and advocated 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past have noted a priori knowledge 『gwanmuryangsugyeong』 made to stand in the truth; The world is a focused radiation to if the mind create the Buddha(是心作佛), this mind is the Buddha(是心是佛), dharma-dhātu is One phenomenon(法界一相), the mind is immediately Buddha,(卽心卽佛) the Buddha is the action(性在作用)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orthodox is illegal. So now our country needs is not necessarily required in modern religious practices of various religions around the island be called a great variety of religions scattered. In the two minutes of a priori knowledge and philosophical lines advocated by not performing and spirits and chanting religious beliefs it is considered very suitable to perform the chanting lines of modern harmony we saw briefly discussed. Buddhānu- Smṛti-Seon is also regarded as an important essence of authentic perform secure legitimacy from India and China, and South Korea will also regarded as valid now and in the future. So it will immediately adopt road make a comfortable life for the mind(安心立命) to find a pure heart, go to home of the Pure Land of the original pure mind.

      • KCI등재

        염불선의 성립과정과 무주청화

        정광균(법상)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29 No.-

        불교의 오랜 역사에서 불교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올바른 이해는 대중의 공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여왔다. 불교에서 가장 대표적인 수행방식으로 염불과 참선이 조화를 이루는 신앙과 수행의 일치라고 말한다. 그래서 금타(金陀)와 청화(淸華)가 주창한 염불선의 체득은 대중의 공감을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왜냐하면 먼저 두 선지식은 초기불교에서부터 육조혜능에 이르기까지 불교의 모든 핵심내용을 정합하여 일인전(一人傳)에 일인도(一人度)로 분파되지 않은 선을 순수한 선으로 규정하고 염불도 역시 선의 일종으로 반야를 체득하여 구경에 제법실상인 진여자성(眞如自性)을 체현함을 목적으로 삼아 실상염불선이란 용어를 채택하여 모든 선을 회통하였다. 다음 청화는 간화선 이외는 용납되지 않는 현실에서 실천적인 측면에서 염불과 선을 결합하여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까지 최상승선으로 규정하고 궁극에 도달하려는 경지와 일치한다는 관점에서 경론을 통해서 입증하여 정통성과 전통성을 확보하였다. 이것이 바로 염불선의 수행과 체득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수행자의 본래 마음이 붓다의 마음[佛心]이고 참선의 마음[禪心]이며 염불하는 마음[念心]으로 견성(見性)이 바로 견불(見佛)로 불퇴전의 경지를 중요시하였다. 끝으로 중생의 본질이 본래 깨달은 청정한 마음이고 진여자성이다. 따라서 이는 염불과 선이 구경으로 체득할 목적이고 법계가 하나의 모습임을 깨달은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염불이란 하나의 수행인 일행삼매(一行三昧)의 관이염지(觀而念之)를 통과하면 법계일상(法界一相)의 구경청정을 체득한 염불삼매와 상통하기 때문에 본래 청정한 마음의 체득이라는 실상염불선이다. In the long history of Buddhism, proper understanding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Buddhism has been endeavored to secure public sympathy. It is said that Buddhism is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performing Buddhism, and it is the unity of faith and practice that harmonizes Buddhism and s eon. Thus, the acquisi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which are advocated by Gumta and Cheonghwa, is sufficient to induce public sympathy. Because the two prepositions first match all the core contents of Buddhism from the early Buddhism to the Harmony, and define the lines that have not been separated by one person as a pure 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the sutra of the Buddha and to embody the true nature of the Buddha in the sutra. The following Cheonghwa proves through the use of Buddhism, Buddhism as the best way to combine Buddhism and Buddhism in terms of practicalit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unacceptable except for the Cheonghwa line. Securing legitimacy and tradition. This is the content of the execution and learning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the original mind of the practitioner was the mind of Buddha, the mind of seon, and the mind of Buddhism, which emphasized the status of disappearance as the Buddha. Finally, the essence of regeneration is a pure mind that is originally realized and a spirituality. Therefore, Samadhi of specific mode or samadhi of one action, vipassana and action of Samadhi, who realized that Buddhism were aimed to learn by sight and that the law was one form, vipassana and chanting the name of Amita buddha(觀而念之) passed through the one-mark of the dharma dhatu(法界一相) and the Buddha-recollection samadhi acquire the same as the meditation of the chanting of buddha(念佛禪).

      • KCI등재후보

        묘공대행의 수행체계와 자비교화에 대해서

        정광균(법상)(Jung, Kwang-gyun(Bup-sang))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2 No.-

        본 논문은 “묘공대행의 수행체계와 자비교화”라는 논제로, 첫째, 묘공대행의 한마음 주인공에 대해서 소승과 대승을 막론하고 연계된 것임을 밝혔다. 둘째, 묘공대행의 수행체계를, 세 번 죽어서 참 자기와의 상봉, 둘이 아닌 도리, 일체로 드러내는 오공五共의 이치 등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대행의 수행체계는 초기불교와 부파불교, 대승불교를 비롯하여 조사선과 맞닿아 있어서 정통과 전통을 도외시 않았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묘공대행의 체득내용이 초기불교나 부파불교에서 추구한 해탈열반의 세계에 부합되고, 대승불교의 사종열반의 체득이 바로 성불의 요건임을 고찰하였다. 넷째, 묘공대행의 자비교화는 일체중생과 동체대비로, 모든 일상의 삶에서 일어나는 고통이 바로 한마음 주인공에서 비롯되었으니 그 고통도 그 한마음에서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가지고, 교화하여 고통을 여의고 행복을 얻어서 마음을 안정시켜 생활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함을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the theme of "MyoGong Daehayng's practice system and compassionate edification", First, it is revealed that MyoGong Daehayng's hanma-eum ju-ingong is related to hyayana and mahayana. Second, I examined the practice of MyoGong Daehayng's practice three times and found point of contact with true self, Non-duality, Ogong(五共)'s justification. Daehayng's practice system examined the fact that he did not overlook orthodoxy and tradition because he was in contact with early Buddhism, eighteen schools, and Buddhism. Third, MyoGong Daehayng's contents were matched to the liberation and nirvana world pursued by the early Buddhist or eighteen schools, and the four nirvana's learning of the Mahayana Buddhism was the requirement of Buddhism. Fourth, MyoGong Daehayng's compassionate edification is based on hanma-eum ju-ingong, which is a pain that occurs in all everyday life as compared to all regeneration and fuselage. I saw that I am rehabilitated to live a life of living a stable heart by getting happiness by suffering from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