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예를 제재로 하는 예술 : 공예 도상(圖像, Icon)의 차용을 중심으로

        정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3 陶藝硏究 Vol.- No.32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tendency for the iconography of historical crafts to be borrowed as a formal medium in contemporary art,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discuss the ways in which craftsmen perceive art and vice versa. This phenomenon is nowadays manifested in a wide range of fields, from crafts, including ceramics, to sculpture and painting, representative art genres that follow the philosophy of postmodern art, and objects that have represented fundamental and absolute beauty in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re now being reconfigured without any restrictions. While it is evident that the tradition of archaic creativity, which has long been the macro-direction of contemporary ceramics, has been very effective in terms of designing utilitarian objects in a contemporary manner, and has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expansion of the universality of beauty into individuality, it is also evident that certain crafts are still trying to determine where they stand in relation to fine art. The fact that there is confusion stemming from the attitudes toward craft and art in the face of accelerating pluralism can be seen through the various paths of the ceramics scene. Therefore, we believe it is time to examine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art and craft in a neutral manner. Such an activity could be an objective approach to encourage artists based on the ceramic medium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clearly recognize their own identity and orientation. Reflections on art as a sanction for craft will be helpful both for the creation of sculptural works that fit within contemporary art, as well as for those who wish to rethink the value of craft itself. Today's ceramic art requires an approach that goes beyond aesthetic reinterpretation and considers various contents such as narratives about the field of ceramics, current times, and the identity of the artist, and we believe that borrowing works from ceramic iconography has significant potential for this. Accordingly, this article first reconsiders the traditional ideologies underlying craft and ceramics through theories of proximity, centered on the craft theories of Munyoshi Yanagi and Naoki Idekawa. We then examined the process of redefining Western modern art theory, which was theorized by Kantian aesthetics in the 18th century, by Arthur Danto, and Glenn Adamson's craft theory, and examined the key elements that can serve as the basis for contemporary artworks. Finally, through case studies of works that borrowed ceramic iconography from various countries, we examin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ceramic works that attempt to approach the grammar of contemporary art. 본 연구는 역사 속 공예작품의 도상이 현대예술에서 형식적인 매개체로 차용되는 경향을 조명하며, 공예가 예술을 인식하는 태도, 또는 그 반대의 경우를 확장하고 논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현상은 오늘날 도자를 포함한 공예 분야에서부터 조각과 회화 등 근대 이후의 예술 철학을 따르는 대표적 미술 장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동서양 문화 속 근본적이고 절대적인 미를표상해온 대상들은 이제 어떠한 제약도 없이 새롭게 재구성되고 있다. 오랜 시간 현대 도자의 거시적 방향성이 되어준 법고창신(法古創新)은, 실용기(實用器)를 현대적으로 디자인하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도자공예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미의 보편성을 개별성으로 확장하는 원동력이 되어 왔음이 분명하나, 여전히 특정 공예는 순수미술과의 관계성 내에서 자신이 설 위치를 가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원성이 점차 가속화되는 현실 속에서 공예와 예술을 인식하는 태도로부터 비롯된 혼선이 존재한다. 는 사실은, 도자 현장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술과 공예가 가지는 원론적인 차이점에 대하여 중립적인 자세로 고찰해야 할 시점이라 판단한다. 이러한 활동은 도자 매체를 바탕으로 하는작가가 스스로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분명히 인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객관적 접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공예를 제재로 하는 예술에 관한 고찰은 동시대 예술 내 타당하게 부합하는조형예술 작품의 창작은 물론, 공예 본질의 가치를 다시금 재고하고자 할 경우에도 모두 도움이 될 것이다. 오늘날의 도자예술은 심미적 재해석을 넘어 도자 분야에 관한 내러티브, 현재의 시대상, 작가의 정체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두루 고찰하는 접근 태도가 필요할 것이며, 도자 도상의 작품 차용은이에 유의미한 가능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먼저 야나기 무네요시, 이데카와 나오키의 공예론을 주축으로 근접 이론들을통해 공예 전반과 도자 근저의 전통적 이념을 재고하였다. 이후 18세기 칸트 미학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립된 서구 근대 예술론이 아서 단토에 의해 재정의되는 과정, 글랜 애덤슨의 공예론을 탐구하며 동시대예술 작품의 근거가 될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각국의 도자 도상을 차용한작품의 사례 연구를 통해서 동시대 예술의 문법으로 근접하고자 하는 도자 작품의 이론적, 실천적 양상에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Motility Contrast Imaging for Drug Screening Applications

        정관 한국광학회 2015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19 No.4

        Motility contrast imaging is a coherence-domain imaging technique that uses cellular motility as a fullyendogenous imaging contrast agent. Motility is measured inside tissue using a digital holographic coherencegate that extracts dynamic speckle from fixed depths. The dynamic speckle arises from the normal organellemotion inside cells, and from the movement of the cellular membranes driven by the cytoskeleton. Itmeasures cellular activity 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osmolarity. Motion is sensitive to cytoskeletaldrugs, such as the antimitotic drugs used for cancer chemotherapy, and the effects of drug combinationsalso can be monitored. Motility contrast imaging is a potential tissue-based assay platform for highthroughputscreening of pharmaceutica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플립드러닝의 도예실기교육 적용 설계 방안연구

        정관,정진원 한국도자학회 2022 한국도자학연구 Vol.19 No.1

        On March 11, 2020, director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the COVID-19 as a "Pandemic" phenomenon, meaning a global contagious disease. COVID-19 affects human life and change all the aspects clearl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is phenomenon will be recorded as a turning point in human history. Nearly two years have passed from January 8, 2020, when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Republic of Korea, to the most recent, the end of 2021. The long accompaniment with the epidemic was not an individual choice, but a enormous flow in which all citizens had to adapt, cooperate together. As a result, these efforts became a starting point to lead new changes in society, including culture, industry, politics, and art. The field of ceramic art also respond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due to the spread of the 'Untact' culture, and attempts to properly converge it not only in the form of work but also in education. Starting with the government's policy, such as 'With Corona', return of normal practical ceramic education is coming close. Prior to this, proper planning will be needed on how to effectively apply the advantages of existing online non-face-to-face education to practical educ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outline of 'Flipped learning', which is called reverse learning, and explored its applicability to practical ceramic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pre-learning of video contents and continuous practical application of real-time video programs will be the useful starting point. 2020년 3월 11일, 세계 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코로나19(COVID19) 전염병에 대하여 세계적 대유행을 뜻하는 ‘팬데믹(Pandemic)’ 현상으로 선포했다. 코로나19 발생 전후 인류의 삶은, 그 양상이 명확하게 갈린다는 점에서 역사의 전환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첫 발생한 2020년 1월 8일부터 최근인 2021년 말엽에 이르기까지 약 2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전염병과의 긴 동행은 개인의 선택이 아닌 국민 모두가 합심하여 적응해 내야만 하는 시대의 흐름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노력은 문화, 산업, 정치, 예술 등 사회 전반에 새로운 변화를 주도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도예분야 역시 언택트(Untact) 문화의 확산에 따른 급속한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호응하며, 작품 형식은 물론 이를 교육에도 적절히 융합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위드코로나와 같은 거리두기 완화 정책을 시작으로, 추후 코로나19의 정상화로 인한 도예실기교육의 온전한 대면 수업 회귀가 근접해 있다. 이에 앞서, 기존 온라인 비대면 교육에서의 장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실기교육에 적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생산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른바 역전(逆轉)학습이라 일컬어지는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의 개요를 분석하여 도예실기교육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동영상 컨텐츠의 사전 학습 활용 및 실시간 화상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실기 접목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