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公正去來法上의 課徵金

        정관선(Jung, Kwan-Seon) 경희법학연구소 2005 경희법학 Vol.40 No.2

        The introduction of surcharges system in Korea was included i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Korean Antitrust Law which was established in 1980. This surcharge system has been influenced by the Japanese counterpart, which has been imposed on the cartel for a price advance of the entrepreneurs. And we have expanded and adopted variously in individual laws not only the subjects of the levy on surcharges through the several amendments of MRFTA(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since 1980s, but also the surcharges system itself. So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in regard of the surcharges system. This thesis tries to look over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surcharges system and analyze the standards of the levy on surcharges. The standards of the levy on surcharges have two patterns. One is Rechtsverordnung and the other is Verwaltungsvorschrift. The standards of the levy on surcharges in a Rechtsverordnung form carry public binding force. And in case of the standards of the levy on surcharges in a Verwaltungsvorschrift form, there are two points at issue - the legal characteristics and the public binding force. Fisrt, arguments have been done on the existence of the Verwaltungsvorschrift completing laws. On the basis of these arguments, this thesis acknowledges that the detailed indexes of FTC(Fair Trade Commission), which are based on the mandate of MRFTA(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make concrete standards of the Act, against the standards of the offenses of fair trade carry the public binding force. And chapter Ⅴ raises several points at issue and looks for effectiveness of amendment proposals about an advisable form of legislation of the standards of the levy on surcharges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es. In conclusion, this thesis proposes that in establishing the standards of imposing the surcharges, aggravating or reducing regulations be made in response to the intent that imposition of surcharges is provided as discretion and the standards of those regulations be prescribed.

      • KCI등재

        프랑스 식품안전 분야에서의 사전배려원칙의 적용

        정관선 ( Kwan Seon Jung ) 한국환경법학회 2014 環境法 硏究 Vol.36 No.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의 건강상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예방적 조치를 취하는 것은 전통적인 국가의 임무에서 비롯된 것으로 현대 행정의 특징이라고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불확실한 위험에 대한 예방조치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사전배려의 원칙을 고려하게 되었다. 프랑스는 1995년 2월 2일 Barnier법에서 사전배려의 원칙을 규정함으로써 사전배려원칙이 실정법의 테두리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농업법전 법률 제 200-1을 거쳐 오늘날에는 환경법전 법률 제 100-1조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 한편, 2005년 헌법 전문에 포함된 환경헌장 제5조에서 ‘비록 과학적으로 불확실하지만 손해의 발생이 중대하고 돌이킬 수 없다면 행정청은 손해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권한범위내에서 사전배려 원칙을 적용하여 위험평가 절차 및 적당한 임시조치를 취할 수있다’고 규정함으로써 사전배려원칙이 공권력 개입의 근거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프랑스의 식품안전에 대한 사전예방에서 사전배려원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리스크에 대한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하고 사전배려원칙이 규범력을 가지는지 여부에 대하여 국사원의 결정과 학설을 검토하였다. 또한 사전배려원칙의 적용범위가 환경법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건강과 관련된 즉, 공중위생 및 식품안전 분야에까지 적용되고 있음을 판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사전배려에 대한 입법적 조치에 대한 통제로서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재배 및 유통을 금지한 법률이 사전배려원칙 위반인가에 대한 2014년 프랑스 헌법재판소의 사전적 통제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동 사건의 경과를 살펴봄으로써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사용 허가에 관한 프랑스의 입장에 대하여 이해하고 헌법재판소의 헌법합치 결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사전배려조치에 대한 법원의 적법성 통제에 대하여 프랑스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사전배려원칙의 내용에 포함되는 위험평가와 정보제공을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이 불충분한 경우 절차의 하자를 구성할 수 있고, 이는 결정의 취소사유가 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내용에 대한 적법성통제에서는 프랑스 판례는 통제밀도에 대해서 ‘명백하고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 사전배려원칙 위반으로 보고 있으며, 사전배려조치를 취한 결정은 비례의 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Le principe de precaution se definit par l`obligation pesant sur de decideur public ou prive de s`astreindre a une action ou de s`y refuder en fonction du risque possible. Le principe de precaution a ete consacre par la legislation francaise avec l`adoption de la loi Barnier du 2 fevrier 1995 relative au renforcement de la protection de l`environnement et a ete codifie successivement dans le code rural et dans le code de l`environnement. Les avencees du principe de precaution en droit administratif francais sont tangibles dans les domaine de l`environnement et de la sante, bien que dans ce dernier domaine le legislateur n`ait pas affirme la validite du principe, reduit encore a un simple standarf de comportement. La consecration constitutionnelle du principe de precaution par la Charte de l`environnement, adossees a la Constitution par la revision constitutionnelle du 1 mars 2005, peut tendre a renforcer la portee du principe dans le domaine de la sante et la securite alimentaire. Dans notre etude, nous avons examine la consolidation progressive du principe de precaution comme principe juridique efficient, c`est-a-dire, sur la portee normative et l`extention de l`application de la logique de precaution au champ de la securite alimentaire. Par la suite, nous avons abserve, d`une part, pour la contole constitutionnelle a priori sur la precaution, la Decision n° 2014-694 DC du 28 mai 2014 de la Conseil constitutionnelle francaise sur la loi n° 2014-567 du 3 juin 2014 relative a l`interdiction de la mise en culture des varietes de mais genetiquement modifie. D`autre part, pour le controle de legalite des mesures administratives mettant en cause le principe de precaution contre les risques alimentaires, les arrets du Conseil d`Etat selon lesquels le contole de la legalite des mesures de precaution semble se limiter a l`eureur manifeste d`appreciation. Et la jurisprudence francaise montre aussi que la autorite publique doit repecter le principe de proportionnaite lorsqu`elle prend leur decision en ce qui concerne les mesures de precaution.

      • KCI등재

        프랑스 공익데이터에 관한 고찰

        정관선(Jung, Kwan-Seon)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2

        우리나라는 2016년 "공공데이터의 제공및 이용 활성에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공공기관에공공데이터제공의무를부여하여공공데이터의효과적인민간제공과이용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공공재적 성격의 데이터는 공공데이터에국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공공데이터에 해당하지 않는 데이터의 개방이 요구되고 있고이러한 요구를 공익적 요청이 정당화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지식경제혁신을 위하여 민간데이터및 공공데이터에 해당하지않는 국가기관의 데이터에대한 개방의무를부과하고자 ‘2016년 10월 7일 디지털공화국을위한 법’을제정하고 동 법에서 ‘공익데이터(données d’intérêt général)’라는 개념을 처음 사용함으로써새로운 데이터 카테고리를 정의하였다. 프랑스 디지털공화국법에서 개방의무를 인정하고 있는 공익데이터는 특허계약에서 수탁인이 보유한 데이터 공개의무(제17조), 정부지원금을 지원받는 상공업적 공공서비스의 경우 보조금을 지원받는 보조금협약 당사자의 데이터 공개의무(제18조), INSEE의 민간데이터 접근권(제19조), 판결공개및관련데이터무상이용(제20조및제21조), 공공도로관리자의데이터 제공의무(제22조), 전기 가스 공공망 관리자의 데이터 개방의무(제23조), 부동산 정책에 필요한 조세정보 제공(제24조)이다. 이상의 프랑스 디지털공화국법상 ‘공익데이터’ 개념은 우리나라에서 민간데이터 활용에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법원 판결을 공익데이터의 범주에 포섭함으로써 현재 일부 공개되고 있는 것을 전면 개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민간데이터의 개방은 소유권 보장, 기업의 자유 보장, 영업비밀의 보호, 개인정보 보호등의문제에대한충분한고려가있어야한다. 특히기업의영업비밀에해당하는데이터를제공또는개방하도록하는것을공권력에의한간섭을의미한다. 공권력에의한이러한 간섭은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첫째, 공익적 동기에 의하여 정당화되어야 한다. 둘째, 비례의 원칙에따라야 한다. 셋째, 법률에의하여 침해되는내용이 명확하게규정되어야 한다. 그 밖에 공익데이터 공개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화 절차를 거치도록 의무화하고 개방된 데이터를 통하여 개인정보를 복원하는 경우에는 엄격한 제재를 가해야 하며, 특별히 법률에서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정한 경우에 제공된 정보가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경우에도 형벌을 부과하는 등의 조건을 붙이는 것을 고려할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민간데이터의 경우 공익적 요청에 의한 데이터의 공개의무를 인정할지라도 민간의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유상개방을 고려할 수도 있음을 제안하였다. Today, data take on a central role in the economy. With regard to public data, the policy of open data is already largely engaged, and France is internationally advanced in the area. The ‘loi n° 2016-1321 du 7 octobre 2016 pour une République numérique’was promulgated 7 October 2016 in France. The Act define an open data(public data) and a concept of public interest data with the object of utilization of data for public interest. The public interest data provided in the Act are as follows : In the first place, where the management of a public service is delegated, the concessionaire shall provide the licensing authority, in electronic format, in an open standard freely reusable and operable by an automated processing system, data and databases collected or produced via operation of the public service which is the subject of the contract and which are indispensable for its execution. In the second place,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or the institut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a public industrial and commercial service which allocates a subsidy exceeding in electronic form, in an open standard easily reusable and operable by an automated processing system, the essential data of the agreement of subsidy. In the third place, the Minister of Economic may decide, after obtaining an opinion from the National Council for Statistical Information, that private legal persons solicited for inquiries transmit securely to the public statistical service for the exclusive statistic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atabases they hold, where this information is sought for the purposes of statistical surveys which are made. In the fourth place, the judgments shall be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free of charge with respect for the privacy of the persons concerned. In the fifth place, the public road authorities shall communicate to the road safety authority the information on the maximum permissible speed in force on their road networks through an electronic means of transmission which is made available free of charge by the competent authority. In the sixth place, the managers of the public electricity and natural gas networks in the framework of the missions, process the data in compliance with the secrets protected by the law, make this data available to the public by electronic means, in an open format, easily reusable and operable by an automated processing system. Lastly, the tax authority shall transmit, either directly or through an operator, information which it holds concerning the property values declared on the occasion of transfers which have occurred in the last five years and which are necessary to the exercise of their competences in the areas of land tenure, town planning and land use planning and transparen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