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운까막노래기(Oxidus gracilis) 안테나 감각모의 미세구조

        정경훈,문명진,Chung, Kyung-Hwun,Moon, Myung-Jin 한국현미경학회 2007 Applied microscopy Vol.37 No.4

        고운까막노래기(Oxidus gracilis) 안테나 표면에 형성된 감각기관과 감각모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안테나는 8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큐티클의 표면에는 화학적 및 기계적 감각을 담당하는 다양한 종류의 감각기들이 형성되어 있었다. 고운까막노래기 안테나에서는 기본적으로 대형의 원추말단 감각기(AC)와 3종류의 감각모-모상 감각모(Cs), 관상 감각모(Ts), 추상 감각모(Bs)-가 구분되었다. 원추말단 감각기는 말단마디인 제8 마디에 4개가 형성되어 있었고, 끝이 날카로운 모상 감각모와 관상 감각모는 말단 마디를 제외한 모든 마디에 분포되어 있었다. 추상 감각모는 제5 마디부터 제7 마디까지의 원위 말단부에 형성된 큐티클 함몰부에서만 관찰되는데, 그 미세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시 3종류로 구분되었다. 길이가 긴 제1형($Bs_1$)은 제5 마디에만 분포되어 있었고, 길이가 짧은 제2형($Bs_2$)은 제5 마디 및 제6 마디에, 그리고 가시 모양의 제3형($Bs_3$)은 제7 마디에만 분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Although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antennal sensillae to millipedes are widely understoo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antennal sensillae are still not clear and more precise analysis is required. Thus, this study initiate to reveal the f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sensory receptors on the antennae of millipede Oxidus gracilis were observed wi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The antennae generally include eight segments, called 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antennae, there are a variety of sensory receptors which include olfactory and mechanical receptors. We could identify four different types of antennal sensillae in O. gracilis as follows: apical cone sensilla, trichoid sensilla, chatiform sensilla and basiconic sensilla. The most prominent is four large spital cone sensillae on distal tip of the 8th article. Both of trichoid and chaetiform sensillae are abundantly observed at the most of antennal articles. These sharply pointed structures are inclined and slightly curved toward the apex of the sensilla. The basiconic sensilla a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types: large basiconic sensilla($Bs_1$), small basiconic sensilla($Bs_2$) and spiniform sensilla($Bs_3$). The $Bs_1$ is located at the 5th and 6th articles, while the $Bs_2\;and\;Bs_3 can be seen at the 5th and 7th articles, respectively.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저서 간행 상황과 문제점

        정경훈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This thesis studied the edited version of Kim Taek-sul's Hwadosujeongbon, and focused on Gusanjabjeo published by Kim Young-seop. These books have not ye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academic world and have not been introduced. Jeon-u left many writings in line with his great fame. Jeon-u's collections of literature include Ganjaesago , Ganjaeseonsaengmunjib , Chudambyeoljib , Ganjaeseonsaengmunjibseubyu , and Anjapyeon , Yeonwonjeongjong , Ohyeonsueon , Seonglilyuseon , Geombon , Gusanjabjeo , Gusanseon- saengpung-a , Gusanjigyeol , Ganjaeseonsaenglyeseol , Ganjaeseonsaeng- cheogdog , Ganjaeseonsaengnyeonbo , Sam-eunhabgo , Agcheonsauwang- bog , As such, there are 12 types of writings. These monographs were published either before or after Jeon-u's life. Among these books, the majority of works are not in the collections rather than those that overlap with the collections. The book published this time, Gusanjapjes , is a book published by Kim Young-seop, a writer in Shanghai, China, collecting the works of Jeon-u's adulthood.T his book is composed of three works: <Gumbon>, <Ilsapyeon>, and Jeonsisasakmanghunsa . Judging from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three works, <Gumbon> should be regarded <lsapyeon>, and <Jeonsisasakmanghunsa> should not be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Kim Taek-sul's manuscript was copied along with Choi Byung-shim, and he faithfully inherited his master's teachings and planned to publish it after liberation, but it was not published. It was published twice in 1975 and 1984 by his son Kim Hyung-gwan. Kim Taek-sul's manuscript is recognized for its existence and value, so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single edition for ‘The Book of Ganjae’. 본고는 艮齋 田愚(1841~1922)의 문집 중 金澤述이 전한 華島手定本과 金永燮에 의해 간행된 臼山雜著 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전우는 거대한 명성에 맞게 많은 저술을 남겼다. 艮齋私稿 , 艮齋先生文集 , 秋潭別集 , 艮齋先生文集拾遺 등 문집을 제외하고도 단행본은 현재 12종이 확인되고 있다. 이들 단행본은 전우 생전, 혹은 사후에 간행되었다. 이들 단행본 중에는 문집과 중복되는 작품 보다는 문집에 소재하지 않은 작품들이 대다수이지만 총제적인 전우 저서는 아직 학계에서 본격적인 논의 시도나 소개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에 공개한 구산잡저 는 전우의 장년기의 작품을 모아 중국 상해에서 문인인 김영섭에 의해 간행된 책이다. 상하 2권, 1책으로 「檢本」, 「一事編」, 「田氏朔望訓辭」 등 세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작품이 전우의 작품인지는 艮齋年譜 등을 통해 알 수 있고, 「검본」은 전우의 발문이 있어 간행 경위를 알 수 있었다. 발행인 김영섭은 저자인 전우의 허락여부를 밝히지 않았고, 구산잡저 의 작품들이 이후 간행된 전우 문집에 미수록된 상태였다. 세 작품들의 구성과 내용을 볼 때 「검본」은 하나의 단독 저술로 보아야 하고, 「일사편」, 「전씨삭망훈사」는 잡저의 형태로 문집에 포함해도 가능할 것이다. 김택술이 필사했다는 원고본 화도수정본은 崔秉心과 같이 필사한 것으로 스승의 유훈을 충실히 계승하여 광복 후 간행을 도모했지만 김택술 생전에는 간행되지 못했다. 그의 아들인 金炯觀에 의해 1975년, 1984년 등 이후에도 몇 차례 정본화 되지 않은 원고본 형태로 영인되었다. 원고본 형태의 화도수정본을 향후 정본 간재집 의 완성에 있어 별도의 판본으로 가능 여부는 앞으로 정밀하게 살펴보아야 하겠지만 전우, 최병심 문인들은 화도수정본의 존재와 가치를 인정하고 있어 정본 간재집 을 위한 하나의 판본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