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조에서의 관계조 활용양상 연구

        정경조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related keys defined in Western music being used in traditional sanjo mus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lcude Park Beom-hun's piri sanjo, Ji Yeong-hui's haegeum sanjo, Won Jang-hyeon’s daegeum sanjo, Park Jong-sun’s ajaeng sanjo, Kang Tae-hong’s gayageum sanjo and the sanjo ensemble of Seo Yong-seok. In this study, the range of related keys was set in six categories: dominant mode, subdominant mode, dominant parallel mode, subdominant parallel mode, parallel mode, and same keynote mode. In addition, criteria for dividing sanjo’s mode into major or minor were utilized. As a result, 73 out of 77 modulations have changed to related keys. The most common order listed is parallel mode (31.5%), same keynote mode (19.2%), dominant mode (16.4%), subdominant parallel mode and subdominant mode (15.1% each), and dominant parallel mode (2.7%). The reason why parallel mode is the most common is that it can greatly reduce the difficulty of playing with related keys that perfectly match the configuration tone. The results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instruments make it difficult to naturally play 12 half tones within an octave. Therefore, modulating to a related keys that share many notes is most efficie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anjo was very efficient by making it within the range of the related keys. 이 연구의 목적은 서양음악에서 정의된 관계조가 전통음악인 산조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평균율음악이 아닌 산조에 관계조를 적용하기 위해 오선보로 채보된 악보를 기준으로 평균율음악인 것처럼 판단 하에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박범훈류 피리산조, 지영희류 해금산조, 원장현류 대금산조, 박종선류 아쟁산조,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서용석류 산조합주를 선택하였다. 먼저 관계조의 범위를 딸림조, 버금딸림조, 같은으뜸음조, 나란한조, 딸림조의 나란한조, 버금딸림조의 나란한조 등 여섯 가지로 정하고 각 산조의 선법들을 장조 또는 단조로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전체에서 나타난 77회의 전조 중 73회에 걸쳐 관계조로 전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순서대로 나열하면 나란한조(31.5%), 같은으뜸음조(19.2%), 딸림조(16.4%), 버금딸림조의 나란한조와 버금딸림조(각 15.1%), 딸림조의 나란한조(2.7%)로 나타났다. 나란한조가 가장 많이 나타난 이유는 구성음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관계로 연주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결과는 한 옥타브 내에서 12반음을 자연스럽게 연주하기 어려운 전통악기의 특징이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많은 공통음을 가지는 관계조로 전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로 산조를 창작할 때 관계조의 범위 안에서 가락을 구성하면 매우 효율적으로 창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과 서양의 觀客參與 비교연구: 마당과 판, 그리고 무대를 중심으로

        정경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Korean culture has developed on the Madang, while the Western culture on the stage. Madang is the open space where the actual lives are proceeding. It is also the spot for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In contrast, the western stage is the closed space that separates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s. 'Pan' is the space and the spot where some kind of play or art is performed. It's not the western stage not to allow the audience to take part in, but the open space to permit the spectators' partaking. It's different from the western in that the audience is not appreciating the performance but can comprise it from scratch. The audiences can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actors and with each other in most of Korean performances. However, the western audience should keep quiet in the performance of the symphony orchestra and the like. The western performance culture is listening-centered and passive, but that of Korean is participation-centered and active. This kind of the voluntary audience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singing together' and is originated from Korean 'Sun-Hu-Chang' folk songs and Pansori. In spite of this tradition, 'Singing Together' like Sun-Hu-Chang has decreased because of the change of the performing conditions. Even though the westernized performing conditions moved 'Pan' or 'Madang' into the stage, and changed the voluntary audiences into the silent guests, the inherited memory of Sinmyeong is trying to take back the function of the voluntary audiences and Koreans are getting excited at the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performance programme. We Korean traditionally have not separated the stage for actors from the seats for the audience. Once the audience take part in Madang, they can be performers themselves and the essential part of the performance. Furthermore, they may experience Sinmyeong which is not only the emotion related with art but also the sentiment supporting Koreans actual lives. If you thoroughly understand Sinmyeong, you can also comprehend the traits of Korean. 'Pan' or 'Madang' can never be made by a person, and Sinmyeong can be more enjoyable when it's shared. The voluntary audienc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rformance culture, may be a self-portray enjoying on our community culture 'Pan' with community bond 'Sinmyeong'. 서양의 문화가 무대에서 발전해 왔다면 우리 문화는 마당에서 발전해 왔다. 마당은 공동이 소유하는 생활의 연장선이면서 열린 공간이다. 그리고 마당은 상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이다. 반면에, 서양의 무대는 공연자와 청중을 분리시킨 닫힌 구조다. 놀이와 예술이 펼쳐지는 장소적, 공간적 의미의 판은 관객의 참여를 철저히 배제한 서구식 무대가 아니라, 관객의 참여를 허용한 개방적인 마당이라 할 수 있다. 청중은 감상만 하는 사람이 아니라 처음부터 공연을 같이 이끄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서양과 다르다. 판소리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연들이 끊임없이 관객들에게 말을 걸고 관객들은 나름대로 추임새를 하든지 농담을 던진다. 이와 달리 서양의 관현악이나 오페라공연에서 최상의 청중들이란 연주를 하는 동안 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이다. 근대 서양의 공연문화가 경청하는 수동적 문화라면 한국인은 함께 뛰어 놀고 반응하며 즐기는 참여형 문화다. 이러한 참여형 청관중의 동참은 ‘가창참여’라는 우리의 전통에서 시작된 것이며, 선후창 민요와 그것이 응용된 판소리 삽입민요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선후창 민요는 노랫말과 후렴구가 교대, 반복되는 형태이고, 판소리 삽입민요는 판소리 광대가 노랫말과 후렴구를 가창하는 가운데 청관중이 따라 부르는 방식을 말한다. 전자가 청관중의 자발적인 동참에 의해 이루지는 것이라면 후자는 광대의 선창에 의한 유도된 동참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래 공연자와 청관중이 함께 어울려 즐기는 놀이와 같았던 판소리는 19세기를 거치면서 명창 중심의 고급예술로 변모했고, 20세기 들어서 서구화에 따른 공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연 참여는 점차 쇠퇴했다. 서구화된 공연환경의 보급으로 판과 마당문화는 ‘무대’로, 공연의 일부였던 청관중은 초대 받은 ‘손님’으로 전락했지만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신명의 기억은 점차 그동안 억눌렸던 관객의 참여기능을 되찾으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고, 관객들도 스스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에 열광한다. 서양과 달리 우리에게는 처음부터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었다. 지켜야만 할 격식도 어떤 제약도 없었다. 그저 마당에서 펼쳐지는 놀이판에 끼이기만 하면 구경꾼 스스로 놀이꾼이 되어 신나게 어울릴 수 있었던 것이 우리 공연문화의 본질이었다. 그렇게 청관중이 되는 순간 신명을 체험하게 된다. 판은 예술 행위의 장이기도 하지만 여럿이 한데 어우러져 즐기는 놀이의 터이기도 하고, 신명은 예술에만 국한되는 정서가 아니라 한국인의 일상을 지탱하는 정서이기에 신명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한국인 전체를 관통하는 민족성을 더욱 깊이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판과 마당은 절대로 혼자서는 만들 수 없고, 신명은 혼자일 때보다 여럿일 때 더 빛을 발한다. 결국, 우리나라의 공연문화의 특질을 이루는 ‘청관중’은 우리 고유의 공동체 문화라는 ‘판’ 위에서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신명나게 노는 우리들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태평소 산조의 선율 다양화 방법론 연구

        정경조(Jung Kyung jo) 국립국악원 2010 국악원논문집 Vol.21 No.-

        본고에서는 태평소 산조의 선율 다양화 방법을 찾기 위하여 필자가 하나의 태평소 산조를 구성해 가면서 그 방법들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태평소의 음역 내에서 연주 가능한 여러 선법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다른 악기의 산조 선율들을 모방하여 검토된 선법의 틀에 끼워 맞추는 작업을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선율들이 잘 연결될 수 있도록 산조에서 널리 사용되는 선율변화의 방식을 사용하였고 필요시 연결가락도 만들었다. 또한 산조의 선법 흐름이 서양음악에서 정의된 관계조 와 -공통음을 많이 포함한다는 면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피리산조에 나타나는 선법의 연결과 관계조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선법이 변할 때 대부분 관계조로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태평소산조를 구성할 때 아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원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 태평소산조의 선율 다양화 방법에 대한 결론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태평소로 연주 가능한 선법들은 <표 1>과 같다. 둘째, 자신만의 선율을 만들어 낼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악기의 산조 선율을 모방할 수도 있다. 그 선율들을 첫째항에서 정리된 연주가능한 선법의 틀에 맞게 적절히 변형한다면 보다 쉽게 산조 가락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선율을 변화 시킬 때는 관계조로의 변화를 활용할 수 있다. 첫째 항에서 정리 된 태평소로 연주 가능한 선법들 간의 관계조 관계를 도식화 하면 <그림 1>과 같다. 위의 세 가지 방법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자신이 만든 새로운 선율 또는 다른 산조의 선율을 모방한 것을 태평소로 연주가 가능한 선법의 틀에 끼워 맞춘 다음 관계조로 진행될 수 있도록 배열을 하거나 연결 선율을 만들면 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various methods in order to create variety melodies in Taepyeongso Sanjo. So, I tried to create a Taepyeongso Sanjo to seek the methods. The first step was examining various modes that can be performed. Then, put the melodies which is imitated from other Sanjo in examined modes. Next, by using both popular melody variations in Sanjo and creation of new linking-melodies, each melodies can be liked well and create strong connections. Throughout the research, it showd that when the modes changed, it usually connected to relative keys. And this could be useful as an important theory to create a Taepyeongso Sanjo.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First, the modes that can performed in Taepyeongso Sanjo are showe in <table 1>. Second, it is possible to create new Sanjo by using either ways; The composer s own creation or copying the melody from other Sanjo. It would be the easier way that imitates other melodies and change it by suitable modes. Third, utilizing of the change to the relative keys are also useful. Various relative keys are shown in this Sanjo and it is shown as <picture 1>.

      • KCI등재

        남도민요의 음계 및 음정 연구 - 육자배기와 성주풀이를 중심으로 -

        정경조 한국국악학회 2021 한국음악연구 Vol.69 No.-

        이 글은 남도민요의 특징으로 알려진 육자배기토리와 성주풀이토리의 음계가 실제 전문성악가들의 노래 에서는 알려진 바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밝히고 산조 및 판소리의 음계와 비교하기 위해 진행 되었다. 프라트를 사용하여 진동수를 측정하고 음정단위인 센트로 환산하여 분석한 결과 성주풀이 음계는 기존의 ‘솔-라-도-레-미’가 아닌 ‘솔(-1)-라(-41)-도-레(-41)-미(+28)-파(+1)’로 분석되었고 육자배기 의 음계도 이미 알려진 6음 음계 ‘미-솔-라-시-도-레’가 아닌 ‘미(+27)-솔#(+14)-라-시(-8)-도(+41)- 레#(-17)’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주요쟁점이 된 육자배기토리의 ‘시-도’ 평균 음정은 149센 트이고 최대 음정은 207센트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토리 개념에서 다루지 못했던 성주풀이음계의 ‘파’와 육자배기음계의 ‘솔#’은 산조 및 판소리 음계와의 비교를 통해 전문가들의 음악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가들의 음악을 분석할 경우 기존의 토리 개념을 벗어난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ing to confirm that Yukjabaegi's scale and Seongjupuri's scale that is Namdominyo's feature appears differently in professional vocalist's song and do comparison with Sanjo's scale and Pansori's scale. Analyzed frequency that measure by Praat for research. As the result, Seongjupuri's scale is not 'sol-la-do-re-mi' that is known and is 'sol(-1)-la(-41)-do-re(-41)-mi(+28)-fa(+1)'. And Yukjabaegi's scale is not 'mi-sol-la-si-do-re' that is known and is 'mi(+27)-sol#(+14)-la-si (-8)-do(+41)-re #(-17)'. A major issue of existing research is Yukjabaegi's 'si-do' interval. its average interval is 149cent and maximum interval is 207cent. By result of this research, Seongjupuri's 'fa' and Yukjabaegi's 'sol#' that is not to known Tori knew that appear usually in professional music. It was possible through comparison with Sanjo and Pansori.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analyze professional music differently from the known "Tory".

      • KCI등재

        C계 유도경화 베어링강의 회전접촉 피로거동에 미치는 Mn첨가의 영향

        정경조,윤기봉,최병영 ( Kyung Jo Jung,Kee Bong Yoon,Byung Young Choi ) 한국열처리공학회 1995 熱處理工學會誌 Vol.8 No.3

        Effect of Mn addition on rolling contact fatigue of C-base induction hardened bearing steels has been investigated to develop inexpensive surface-hardened bearing steel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rolling contact fatigue. Fatigue tests were conducted in elasto-hydrodynamic lubricating conditions at a shaft speed of 5,000rpm, under max. Hertzian stress of 492㎏/㎟. It was found in the C-Mn steels that effective depth of induction hardened layer and amount of retained austenite were sligh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base steels. finer interlamellar spacing of pearlite in the C-Mn steels was also observed using TEM. Decomposition of retained austenite during rolling contact fatigue was smaller in quantity in the C-Mn steels than C-base steels. This might be associated with enhanced mechanical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with addition of Mn. Statistical analysis of fatigue life for C-Mn steels using Weibull distribution indicated that improved resistance to rolling contact fatigue was mainly attributed to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and mechanical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 KCI등재후보

        한국 언어문화 속의 의사소통방식에 대한 고찰

        정경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Cultural anthropologist Edward Hall divided cultures into high context and low context according to the way they communicated. Low context culture is straightforward and clear in communication and articulates its intentions in words and letters. Communication in high context, on the other hand, is ambiguous and implicit, and takes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The greater the part that communication of meaning depends on words or letters, the lower context culture, and the less expressive, the higher context culture. In other words, a culture not to need to speak is a high context culture, and a culture to need words is a low context culture. In the high-context culture, communication aims to promote harmony and tie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o the politeness or the expression of the overall emotion is emphasized rather than the meaning or truth of the sentence. Hence, the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can be disrespectful or embarrassing to Koreans. Applying this distinction, Korean language belongs to the high context culture. Koreans prefer to use indirect methods that allow listeners to understand them on the premise of common cultural background rather than to accept them directly. Therefore, rather than telling a story clearly, they speak it in a roundabout way. Evidence that Korea is a high context culture is everywhere. In Korean language, subjects are often omitted, or euphemism or ironic expressions have been developed. Also, the fact that Koreans are not good at expressing apology, gratitude, and love is also attributable to this high context. This is because the situational emotions and the feelings between the listener and the speaker are more important than words. In Korean language culture, it is very important to read the context with Nunchi and judge the will of the person no matter what the other person's superficial words are. 의사소통의 목표가 화자와 청자 사이의 관계를 보다 조화롭게 유지시키는 것이기에 고맥락 문화권에는 발화시점의 상황에 맞는 화자의 감성과 공손함이 문맥의 진실성이나 내용보다는 중시된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의 솔직한 감정을 날것으로 표현하는 저맥락 문화권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말이 필요 없는 문화'에 익숙한 한국인들에게는 이기적이고 무례하게 받아들여지거나 당황스러운 것이 당연할지 모른다. 이러한 구분을 적용하면 한국 언어는 고맥락 문화에 속한다. 한국인의 의사소통 방식은 듣는 사람이 정확하게 받아들이게 하기 보다는 공통적인 문화배경을 전제로 눈치껏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게하는 간접적인 방식을 선호한다. 우리나라가 고맥락 문화권이라는 증거들은 곳곳에 있다. 우리말에는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든가 직접 말하지 않고 돌려 말하는 완곡어법이나 반어적인 표현이 발달했다는 것 등이다. 또한 한국인이 사과나 감사, 그리고 사랑의 표현을 잘 안 한다고 하는 것은 이러한 고맥락적인 특징에도 원인이 있다. 말보다는 상황적인 정서나 청자와 화자사이의 느낌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국 언어문화 속에서는 상대방의 표면적인 말이 어떠하든지 간에 눈치로 상황을 읽어 내고 그 내면의 의미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KCI등재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 제안

        정경조(Chung, Kyung Jo),유현실(Yoo, Hyun Sil)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2005년 GP 총기사건 후 군에서 상담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기 시작하여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운영, 군 상담에 관한 연구 등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병사들은 군 복무 중 진로문제를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지만 병영생활전문상담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군 상담은 주로 병사들의 조직 부적응 문제에 치중되어 있고 진로지도나 진로교육, 진로상담은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발달상 직업 선택의 가장 핵심적인 시기에 있는 군 병사들이 제대 후 미래의 예측할 수 없이 급변하는 직업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직업사회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군 진로상담의 여건 등 군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요구분석과 환경분석, 체제분석을 바탕으로 군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에 대한 잠정모형을 구안하고, 구안된 잠정모형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군 병사 진로상담과 관련된 전문가 패널 23명을 선정하고,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최종 모형’과 관련하여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 군 진로상담의 정의, 군 진로상담의 목적, 군 진로상담의 기능, 군 진로상담의 과제, 군 진로 상담의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After the incidents of GP(military Guard Post) genocid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basic training camp in 2005, the importance of military counseling has been on the rise. ROK forces have founded diverse systems including military counseling to prevent another possible human rights violations. However, ROK forces have not taken care of career counseling services for ROK soldiers because ROK forces have focused on the maladjustment issues of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 can develop is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ROK soldiers, and finally suggest a career counseling model for the Korean armed forces, because it is expected to help the soldiers to adjust themselves to unpredictable career fields. For that, this study has referred to a draft model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included analysis of careering counseling demand, career counseling environment, and possible career counseling system. After that, we did Delphi survey with 23 expert panels to have a content validity to find out the final model for military career counseling system for ROK soldiers. As a part of the final counseling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urpose, challenges, functions, and procedures of military career counseling of ROK soldiers.

      • KCI등재

        SWOT분석을 활용한 군 진로상담 발전 방안

        정경조(Chung, Kyung Jo),유현실(Yoo, Hyun sil)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발전방안 도출을 위해 SWOT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설문지에 의해 실제적인 내부의 능력 면에서 강점과 약점을, 외부 환경에서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대응전략을 수립 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의 내부의 능력 면에서 강점 4개 요인과 약점 18개 요인을 도출하고, 외부의 환경에서 기회요인 6개 요인과 위협요인 12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한 대응전략은 SO전략차원에서 군 진로상담 필요성과 기대효과 전략 수립 등을 제시하였고, WO전략차원에서는 정책부서에 전문 진로상담관 편성과 보직 방안 전략을 제시하였다. ST전략은 군 진로상담관련 법규 제정 및 지침 수립과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능력 향상 전략을 제시하였고, WT전략은 군 진로상담의 중요성 인식 교육 및 홍보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 can develop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ROK soldiers. For that, this study includes SWOT conceptual framework and corresponding survey questionnaire to analyze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soldier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4 elements of strengths and 18 elements of weakness, and 6 elements of opportunity and 12 elements of threat. From these findings, we could come to 4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O, WO, ST and WT. From the SO analysis, we found out that necessity of career counseling in the military. The WO analysis revealed that career counselor should be assigned to a related positions. The ST analysis showed it is needed to establish proper career law and regulations to foster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military personnels and to form strategies to develop counseling ability of military counselors who have already served in the military. From the WT analysis, we also found that it is needed to provide education about the necessity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in the military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raise awareness about career counseling in the military.

      • KCI등재

        「현악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의 선후(先後)관계에 대한 연구

        정경조 ( Kyung Jo Jung ) 민족음악학회 2013 음악과 민족 Vol.45 No.-

        This research began by questions about existent discussion about music that occur first between Hyeonag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There are two opinion which is music that Hyeonagyeongsanhoesang occurs first and which is music that Pyeongjohoesang occurs first. But two opinions was no certain evidence. I analyzed melody structure that show in Hyangak because was thought to have detected music that occur first by analyzing Yeongsanhoesang`s melody structure. So, analyzed current Sujecheon`s melody structure with Hyangaks collected to Siyonghyangakbo. Hyangak could know that melody structure of most ``Perfect fourth + Major wholetone`` shows as the result. Hyeonag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are relation of Perfect fourth transposition. Structure of ``Perfect fourth + Major wholetone`` may show in music that occur first in Piri`s case that range is narrow. But, the structure may be collapsed because of range`s limit in music that make by Perfect fourth transposition. Therefore, I analyzed melody structure of Piri and Geomungo to look for first step that can find out music made first between two Yeongsanhoesangs. And I analyzed Piri`s melody structure of Gwanagyeongsanhoesang that is another Yeongsanhoesang. As the result, I found truth that structure of ``Perfect fourth + Major wholetone`` that appear much in Hyangak collapses in Piri`s melody of Pyeongjohoesang. I think that this consequences is important proof that Hyeonagyeongsanhoesang was made firster than Pyeongjohoesang. Because structure of ``Perfect fourth + Major wholetone`` showed in all two musics in Geomungo`s case and show in Hyeonagyeongsanhoesang and Gwanagyeongsanhoesang in Piri`s case. By result of this research, propriety of opinion that Pyeongjohoesang was made firster than Hyeonagyeongsanhoesang became low. And I am thought that method of this research helps when find thing made first between musics in relation of trans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