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국 근대화와 민족문화

        정갑영(Kap-young Choung)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50

        1962년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실행을 통해 우리나라의 공업화를 통한 근대화는 시작되었다. 근대화는 경제발전에 있어 커다란 업적을 이루었으나, 경제를 최상의 가치로 간주하는 경제제일주의가 사회적으로 만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비판에 자주 직면한다. 그러한 비판은 우리사회의 경제제일주의가 경제만을 강조한 산업화로서 근대화를 추진한 결과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은 근대화 추진과정에서 경제발전만이 아니라 민족문화와 같은 문화적 가치를 강조한 민족문화 중흥과 같은 문화정책에 주목한다. 당시 근대화 추진세력은 소위 조국 근대화를 통해 경제발전만이 아니라 민족문화 중흥이라는 문화적 정신적 목표도 동시에 추구하였다. 이러한 민족문화의 이념적 바탕은 1950년대 형성된 국가주의적 민족담론에 두고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이 담론의 주체세력은 1952년 문화보호법 제정을 주도했으며 1950년대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배적 담론세력이 되었다. 1961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근대화를 추진했던 세력도 이러한 담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근대화 주도세력이 초기부터 민족문화에 관심을 보이고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영향의 한 결과일 수 있다. 이렇게 수용된 민족문화 이념은 1972년 유신의 시작과 함께 문화정책을 통해 본격적인 제도화의 길을 걷는다. 문예진흥법 제정, 문예중흥 선언, 그리고 1,2차 문예중흥 5개년계획 등과 같은 문화정책을 통해 제도화된다. 유신의 종식 이후에도 제 5 공화국의 헌법 8조를 통해 민족문화는 지속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의무가 되어 버렸다. 유신체제에 저항하는 세력들도 민족문화 중흥과 같은 문화정책에 대해서는 근본적 비판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대항담론이 형성되는 것은 격렬한 정치사회운동이 전개되었던 1980년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민족문화가 그 의미를 잃어가기 시작한 것은 세계화와 같은 외생적 변화에 기인한다. 다문화와 문화적 다양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민족문화는 그 의미가 크게 위축되었다. 그러나 민족문화 중흥 이념은 제도화된 헌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과 제도를 통해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1970년대 민족문화 중흥을 지향했던 문화정책의 이념적 바탕과 제도화 과정 및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Modernization in Korea began by the industrialization with `the five year plan for economic development` in 1962, which achievement was enormous. But there is also a criticism that even of the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by modernization, it resulted in a wide spread belief of economism in Korea. Modernization in korea known as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had pursued not only the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the national culture. In other words economic development as materialism and the national culture as culturalism had been both pursu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 National culture in Korea has grown among the Korean intellectuals since they had encountered with modern western culture, which gave impetus to the modernization. The idea of `national culture` was developed from the discourse of nation with statism in the 1950s after the Korean war. The discourse of nation with the statism had influenced the cultural policy by driving force modernization. In this sense `modernization of fatherland` oriented not only to the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to the idea of national culture. With Yushin of revitalizing reform in 1972, a cultural policy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began in earnest by a dictatorial governm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declaration of national culture restoration and the five year plan for the culture and art restoration were carried out. This meant a governmental intervention in the Korean culture and art, and in the area of the life of people including their mind. Cultural policy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discontinued after the death of president Park Chung-hee. Nevertheless the idea of national culture restoration was inherited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including the Article 8 of the new constitution of 5th Republic. Modernization in Korea continued with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the idea of the restoration of national culture. Even though the meaning of nationalism and the national culture is weakened by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nowadays, the idea of restoration of national culture continu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and in the enforcement of cultual policy.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에로틱 이해와 삶

        정갑영(Choung, Kap-You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3

        막스 베버는 현대 지성사에서 하나의 전설로 남아있지만 그의 사생활, 특히 몇몇 여성들과의 관계는 베일에 싸여 있었다. 그의 생애사는 주로 그의 부인인 마리안네 베버의 자서전을 통해 알려졌다. 그러나 그의 편지를 포함한 일련의 저작의 출간으로 베일에 싸였던 삶이 알려졌으며, 그 결과 그의 저작에 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해 졌다. 베버의 유명한 종교사회학 논문인 중간고찰에서 그는 에로틱을 길고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그는 에로틱을 합리성이 증가하는 현대에서 삶의 한 대안으로 그러나 동시에 그 한계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버는 스스로 사랑에 빠진 연인들을‘합리적 질서의 차가운 해골손으로 부터의 해방’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베버는 윤리적 가치 에로틱한 사랑의 한계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또 다른 대안을 모색하는데‘승화된 에로틱’이 그것이다. 베버의 글인‘중간고찰’에서 에로틱과 관련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 베버와 관련된 몇몇 여인들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그는 엘제 야페와 미나 토블러와 같은 여성들과 사랑하는 사이였다. 또한 베버는 20세기 전후로 활발히 전개되었던 에로틱운동에 관계되기도 했었다. 베버는 에로틱을 가치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다시 그의 생애사에 나타나고 반영된다. 베버는 그의 삶에서 승화된 에로틱과 함께 에로틱한 관계를 유지한다. 그는 1918년 이후 1920년 그의 죽음에 이를 때 까지 엘제와 열렬한 사랑에 빠지게 된다. 승화된 에로틱을 강조했던 베버는 실제로 에로틱도 추구했다. 그러면 현대세계에서 어떤 에로틱이 구원의 길인가? 베버는 때이른 죽음으로 그에 대한 답을 주지 못했다. 그의 고뇌는 이미 중간고찰에 나타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