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학의 정의와 방법에 대한 고찰 : 김경일 저,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 비교 역사의 시각』의 서평

        전훈지 ( Jun¸ Hoonj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 비교 역사의 시각』은 한국학(조선학)의 기원과 개념을 정리하며, 미국의 지역연구와 미국학과의 상관성과 차별성을 서술한 책이다. 필자는 미국의 지역연구의 기원과 그 전개과정을 개괄하면서 동시에 ‘미국적인 것’과 ‘미국의 정체성’이 미국학으로 자리 잡는 과정을 주요 논쟁들을 분석하면서 설명하였다. 특히, 이 책은 1950∼1960년대의 한국학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 미국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를 한국의 상황과 미국의 상황에서 각각 고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괄하였다. 미국이 미국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해 나간 것과는 다르게 한국은 일제 식민 지배라는 근대와 서구의 근대라는 두 개의 타자에 대항하여 스스로를 규정해야 했다. 그러한 한국의 특수성을 토대로 한국학은 형성되어 왔다. 특히, 1960년대의 논의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유학파 출신의 학자들은 서구라는 근대화의 타자로서 전통을 이야기하고, 국내파 학자들은 일제강점기의 식민사관의 대항으로 전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한편으로 문·사·철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과 서구의 학문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사회과학과의 대립구도도 한국학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다. 즉, 한국학은 식민사관과 서구식 근대화의 대립, 보편주의와 특수주의의 대립, 개성기술과 법칙정립 즉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대립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조선학(조선적인 것)과 한국학(한국적인 것)의 또 다른 특징은 각 시대의 지배 권력에 의해 그 정체성이 적극적으로 소환되었다는 점이다.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있었던 국가 권력에 의한 한국의 정체성 연구도 이 책을 통해 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한국적인 것과 한국학의 정의에 대한 질문과 방법론은 언제나 있어 왔지만, 그 해답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의 주요 내용을 살피면서, 한 사람의 독자로써 한국학의 기원과 그 형성 과정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Modern figuration of Korea and Korean Studies - A Perspective of Comparative History is a book that summarizes the origins and concepts of Korean studies (Chosun Studies), and describes the relevance and differentiation between regional studies and American studies. The author outlines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regional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at the same time explai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merican thing’ and ‘American identity’ as American studies by analyzing major debates. In particular, this book outlines how the United States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1950s and 1960s in a way that can be considered both in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respectively. Unlike the United States, where the United States defined its own identity, Korea had to define itself against two others: the modernity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modernity of the West. Based on such peculiarities of Korea, Korean Studies has been formed. In particular, the discussions in the 1960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Scholars who studied abroad spoke of tradition as the other of modernization in the West, while scholars who studied in Korea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radition as a counter to the colonial view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contrast between the liberal arts, centered on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nd the social sciences, which actively embraced Western studies, is also a characteristic feature of Korean studi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Korean studies was formed through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colonialism and Western modernization, universalism and specialism, and idiographic and nomothetic, that is, the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In addi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Chosun Studies (Chosun-like) and Korean Studies (Korean-style) is that their identities are actively recalled by the ruling powers of each era. Through this book, we can understand the flow of Korea's identity study by the state power, which was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Korea's modernization.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re have always been questions and methodologie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but the answer is not fixed. The answer changes over time and space. In this article, I try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Korean studies and the process of its figuration as a reader,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Modern figuration of Korea and Korean Studies'.

      • KCI등재

        식민지 근대사회의 속물근성 연구

        전훈지(Hoonjee Ju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5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2

        1930s colonial society was already in developing phase of the capitalism. The era of 1930s had a social atmosphere of pursuing sexual and worldly desires. Yeom sang-sup’s novel, Morankkotpilttae, is published in the mid 1930s, which show colonial society was driven by such desires. The life in colonial capitalism is shown through Yeom sang-sup’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fe of contemporary people and society. According to ‘Desir triangulaire (Triangle of desire)’ by R. Girard, the subject projects his desire by ‘mediateur (mediator)’ instead of his desire for the object itself. This study argues that Yeom’s works follow composition of triangle of desire, showing snobbism in the contemporary society. Characters in Yeom’s novel are both subjects and mediators. They are imitative and competitive each other. The snob is a perfect example in QED. Snobbism is excellent direction to illustrate desires of colonial capitalism, because the desires of the subjects are revealed by contemporary people. Colonial people blindly imitated mediator’s appearance and action who got a stability occupations, studies and marriages. This essay covers the implicit meaning of colonial capitalism, showing desires of the characters of colonial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