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의 위험이 여성가구주의 일과 삶에 미친 영향과 삶의 질 회복을 위한 정책대안

        전현숙 ( Jeon Hyeonsuk ),신원식 ( Shin Wonshi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2 사회보장연구 Vol.38 No.1

        2019년 말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전 세계가 사회경제적으로 큰 혼란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회경제적 활동을 제한하거나 봉쇄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실시 등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여성가구주당사자 인터뷰와 여성가구주(취약계층 여성) 관련 전문가들의 FGI를 통해 코로나19의 상황이 이들의 일과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여성가구주들의 코로나19 극복과 일상의 삶 회복을 위한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가구주 인터뷰와 FGI결과 여성가구주는 사회적 단절과 고립감, 고용과 경제적 위기, 심리불안과 다양한 관계에서의 갈등을 경험, 가정과 일터에서의 노동 강도의 증가, 사회적 편견과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정보부족과 접근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토대로 AHP을 통하여 여성가구주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일상적 삶으로의 회복을 견인하기 위한 사회보장정책 사업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각 영역별로 우선하는 사업을 살펴보면 첫째, 여성가구주의 소득과 가계경제 회복을 위해서는 주거안정지원정책을 우선적으로 시행함이 필요하다. 둘째, 돌봄과 양육환경 영역에서는 노동환경개선과 일자리보호 정책사업, 셋째, 심리 및 정서변화 영역에서는 정서적 지원과 회복력 제고를 위한 정책사업, 넷째, 사회적 관계 맺기와 개인 활동 영역에서는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관계 회복 지원, 다섯째,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환경 영역에서는 사회안전망의 강화와 섬세한 보완으로 누구나 안전하게 사회경제 활동을 누리게 한다. 이 연구는 여성가구주 당사자의 목소리를 담아냄으로써 보다 현장에 가까운 결과와 대안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At the end of 2019, COVID-19 spread, causing great socioeconomic confusion and difficulties around the world. Korea has also made efforts to overcome COVID-19 by keeping social distancing that restricts or blocks socioeconomic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OVID-19 on their lives was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female heads of households and FGI methods of related expert groups. Based on that, the purpose is to propose policies for female householders to overcome COVID-19 and recover their daily lives.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female householders and expert groups, female householders experienced social disconnection and isolation, employment and economic crisis, psychological anxiety, and conflicts in various relationships, increased labor intensity at home and work, and social prejudice.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policies and difficult access. Based on the results, AHP was used to present priorities for social welfare policy projects that help female householders overcome COVID-19 well and restore their daily lives. Looking at the projects that prioritize each area, first, the housing stability support policy is first implemented to restore the income and household economy of female householders. Second, the labor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job protection policy project take precedence. Third, policy projects to improve emotion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 area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 social relationships for female householders and social relations recovery support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social safety nets for female househol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closer results and alternatives to the field by capturing the voices of female household ow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