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전현숙(Hyensook Jeon),이미라(Mira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는 간호학과와 보건계열학과 졸업예정자 51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고,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2일부터 13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경제 수준은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취업스트레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학과 선택 동기와 학과선택 결정을 학생 스스로 했는지의 여부는 모든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간에는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와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이었고 그 외 요인은 취업처, 전공만족도, 전공계열로 24.4%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간호 · 보건계열 학생에게 전공계열과 취업처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and healthcare related students. A total of 515 third and fourth year graduate stud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 and May 13 of 2016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9.0. The economic state had an influence on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however, the motive of application and decision of the department of selection did not have any influenc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Moreover, job-seek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strongest predictor of job-seeking stress was self-esteem. Self-esteem, employment-area,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ollege majors accounted for 24.4% of job-seeking stres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would increas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major and decrease job-seeking stress according to college majors and employment-area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현숙(Hyensook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간호학과 재학중인 32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 정도를 알아보고,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29일부터 6월 12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입학동기와 교우관계, 학교성적은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 나이, 종교는 모든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학과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이었고 그 외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과선택시 적성고려 여부로 44.3%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추후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생 선발에 있어 학과에 대한 적성을 고려한 선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fessional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among 327 nursing students to determine whether professional self-concept or academic self-efficacy has an impact on department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9 till June 12, 2017 and subjected to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version 22.0. The results revealed that purpose of admission to school, relationship with peers, and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professional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whereas gender, age, and religion did not. Additional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department satisfaction was professional self-concept, although academic self-efficacy and consideration of aptitude for major were also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a variety of programs that can be used to increase professional self-concept to increase department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ccordingl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academic self-efficacy among students and consider aptitude when admitt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이미라(Lee, Mi Ra),전현숙(Jeon, Hyen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간호․보건계열 1, 2학년 대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자아탄력성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적 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0월 7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진행하 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4유형과 5유형에서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 모두 가장 낮았다.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자아탄력성과는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낙관적 태도였으며 그 외 영향요인은 자신감, 감정조절, 성적이었고, 총 61.6%의 설명력을 보였다. 개인의 성격유형 이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영향을 주므로,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른 긍정적태도와 자신감, 감정조절 등을 강화하 여 건강한 측면의 성격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일정한 학교 성적을 유지할 수 있게 지도한다면 대학생 의 대학생활적응력도 높아질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ego-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The subjects were 623 students in 1st and 2nd grad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7 to 23, 2014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9.0.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with Enneagram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 4 and 5 in Enneagram were the lowest level in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The strongest predictor of college adaptation was optimistic attitude in ego-resilience. Optimistic attitude, confidence, emotional control, and academic grades were explained 61.6% of the college adaptation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ego-resilience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types for positive college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