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체질량지수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 우울증상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해숙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19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6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2)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LS), (3)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associations between BMI and LS, (4) age difference in these relationships between elders 85 or younger and those 85 and older. Methods: Sample consists of 5,685 individuals aged 60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6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SEM) and multi-group SEM. Results: (1)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elders, overweight and obese elders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2) The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LS. (3)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elders, overweight and obese elder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LS via its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4) Some of these relationships varied by age groups. Conclusions: Underweight and extreme obesity are considered as risk factors for LS among older adults while obesity plays a protective role in LS. BMI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policy for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KCI등재

        장애자녀 특성과 부모건강이 발달장애인 부모의 공공후견인식에 미치는 영향: 돌봄 부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해숙,강상경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 and parents’ characteristics on parents’ perceptions of guardianship.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effects of both children’s daily life functioning and parents’ health conditions on their perceptions of guardianship. It further tests whether the effects of the exogenous variables on perceptions of guardianship are mediated by parents’ care-burdens. For these purpose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and indirect effects tests were performed involving 689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Survey. Regarding the results of SEM, parents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ren with impaired daily function presented more care-burdens and more negative perceptions of guardianship. Indirect effect test showed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ren’s function on parental perceptions of guardianship are mediated by care-burdens. Based on these results, possible strategies were discussed to relieve parents’ care-burdens and to stabilize public guardianship syste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공공후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장애자녀의 장애정도와 기능수준 및 부모의 우울과 건강상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돌봄 부담의 간접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들 관계 검증을 위해 발달장애인 활동지원욕구조사에 참여한 돌봄 제공자들 중 발달장애인 부모 68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일상생활기능 제약이 심할수록 돌봄 부담이 높았고, 돌봄 부담이 많을수록 공공후견제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하지만 부모의 건강상태나 자녀의 장애정도는 돌봄 부담이나 후견인식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접효과 분석 결과 부모의 우울 수준과 자녀의 일상생활기능 제약 수준이 부모의 후견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돌봄 부담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돌봄 부담 완화 및 발달장애인 후견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한 논의를 통해 향후 발달장애인 후견제도 정착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외래의료서비스 이용궤적 및 연령차에 관한 연구

        전해숙,강상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4 No.-

        Rapidly aging society tends to increase the number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suffer from multiple functional limitations due to both aging and disabilities; and therefore, their needs for medical services are likely to increase as well. As there is no empirical study on ag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use, it is not yet confirmed whether age-sensitive medical services are necessar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on Disability collected between 2008 and 2012 (N=855), this study estimates the trajectory of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s and its predictors. It further examines whether the trajectory and its predictors vary by age groups – between those aged 65 or less and those 65 and over. Endogenous variable was the trajectory of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s that was estimated by the data collected from 2008 to 2012. Based on the Andersen Model,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predisposing factors (e.g., age, gender, education), enabling factors (income, Medicaid, satisfaction with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social support), and need factors (chronic illness, ADL).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Participants reported an increasing trajectory in the numbers of outpatient service use; (2) the trajectory varied by age; (3) enabling facto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jectory, whereas all the need factors included in the model presen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jectory; (4) the predictors of the trajectory also varied by age. Given the rapidly aging Korean society and the prospective characteristics of future Korean society, the findings suggest that we need to strategically consider the age differences in developing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are discussed. 한국이 경험하고 있는 급속한 인구고령화 현상은 장애노인의 증가로 연결된다. 장애노인은 장애와 노화로 인한 복합적인 기능저하로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장애인구의 고령화 현상에 따라 장애노인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장애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예측요인이 연소 장애인과 어떻게 유사하고 다른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없어서 연령대별 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한지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시작된 한국복지패널의 장애인부가조사를 이용하여 장애인의 외래의료서비스 이용궤적 및 예측요인을 추정하고 연령대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2008년 장애인부가조사 1차년도 기준으로 20세 이상 장애인 855명이다. 종속변수는 2008년에서 2012년까지 5년간 조사된 의료서비스 이용궤적이다. 독립변수는 앤더슨 모형에 따라 2008년 기준의 선행요인(연령, 성별, 교육), 가능요인(소득, 의료급여,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사회적지지), 및 욕구요인(질병, ADL)을 포함하였다. 20세 이상 장애인의 외래서비스 이용횟수는 5년 동안 평균적으로 증가하였다. 65세 미만과 65세 이상 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이용궤적을 비교하면, 초기치 이용수준은 65세 이상이 미만보다 높았으나, 증가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렸다. 의료서비스 이용궤적 예측요인에 대한 연령대별 비교에서는 교육, 가족관계, 사회적지지, 질병유무, ADL 등에서 연령대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과 65세 미만 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이용궤적과 예측요인이 다르므로 서비스 전달에서 연령대별 차이가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서비스 전달과 관련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의 장애특성과 부모의 건강특성이 부모의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부모 연령대별 차이

        전해숙,강상경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reburdens of parents who care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arents’ health conditions and children’s disability characteristics affects careburdens and further examines whether these effects vary by age of parents. For these purposes, descriptive data analyse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and multi-group SEM between parents aged 60 and over and those 60 or less were performed involving 689 parent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Survey on Supportive Service Needs Assessmen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nd careburdens among caregivers aged 60 and o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rents aged 60 or less. The levels of children’s IADL and ADL constraints did not differ by age groups. The results of SEM revealed that parents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ose caring for children with more IADL/ADL constraints presented higher levels of careburdens. Finally, the results of multi-group SEM showed that the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on careburdens among parents aged 60 or less were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at among parents aged 60 and over. The effects of parents physical health conditions or children’s disability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by parents’ ag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addressing parents’ careburdens and strategies for age specific approach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 돌봄제공자의 돌봄 부담 수준을 살펴보고, 자녀의 장애정도 및 일상생활기능수준과 부모의 건강상태에 따라서 돌봄 부담이 달라지는지와 이러한 관계가 부모의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활동지원 욕구조사에 참여한 부모 돌봄제공자 689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분석결과 60세 이상 부모 돌봄제공자의 돌봄 부담, 우울수준, 건강우려 수준, 자녀의 장애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자녀의 수단적 일상생활기능(IADL) 제약이나 일상생활기능(ADL) 제약은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부모의 우울수준, 자녀의 IADL 제약과 ADL 제약 수준이 높을수록 돌봄 부담도 높게 나타났으나 부모의 건강상태나 자녀의 장애정도는 돌봄 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60세 미만에서 우울이 돌봄 부담에 주는 영향력이 60세 이상에서 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지만, 나머지 부모특성 및 자녀특성 변수들과 돌봄 부담 간에는 연령대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부모 돌봄제공자의 돌봄 부담 해소를 위한 전략과 이러한 전략의 연령대별 차이에 대한 이론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Annealed Neural Network을 이용한 한글 초성의 인식과 분할

        전해숙,이원돈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4 忠南科學硏究誌 Vol.21 No.1

        This paper uses an one to one, point to point matching algorithm in order to recognize and segment hand-written Korean composite characters based on a graph matching. It is a form of elastic matching with a mean field annealing (MFA) algorithm that combines characteristics of the simulated annealing(SA) algorithm and the Hopfield neural network. Even if a composite stimulus consisting of two patterns is presented, this syatem can recognize and segment separately without preprocessing such as thinning, scaling and segmentation. Some preliminary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is can be a promising method in character recognition and segmenta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소득과 건강의 종단적 관계 : 노령인구와 비노령인구의 비교

        전해숙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와 고용 Vol.24 No.4

        Although it is critical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and health to develop an effective social welfare policy,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ddress the gaps, the current study tested two competitive hypotheses of social causation and social selection involv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t further examined whether the causal relationships of those aged 65 and over differ from that of 65 or less. The study used first (year of 2008) and second (year of 2011) wave of the Survey o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t performed as a part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Sample included adul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ged 19 and over (376 aged 65 and over; 479 aged 65 or les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perform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ocial causation hypothesis explaining income influences health was supported for the total sample. (2) Social selection hypothesis explaining health influences income was not supported. (3) There was no age differences in the effects size of income influencing health. (4)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age differences in the effects size of health influencing income. Based on the results, future direct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효과적인 사회복지정책의 확립을 위해서는 소득과 건강의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각적 차원에서 소득과 건강간의 인과적 관계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더구나 장애인의 소득과 건강의 인과적 관계에 대해서는 더욱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한계를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소득과 건강의 인과적 관계를 설명하는 두 대표적인 가설인 사회원인론과 사회선택론을 장애인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65세 이상의 장애노인과 65세 미만 장애인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장애인부가조사 1차년도(2008)와 2차년도(2011) 자료이고, 분석대상은 1차년도 기준으로 19세 이상 성인 장애인 총 855명으로, 연령대 별로 65세 이상 장애인 376명과 65세 미만 장애인 479명이다. 분석은 자기회귀 교차지연모델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세 이상 전체 장애인에서는 이전시기 소득이 이후 시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여 사회원인론은 지지되었지만, (2) 이전시기 건강이 이후시기 소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아 사회선택론은 지지되지 않았다. (3) 이전시기 소득이 이후시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대별 차이는 없었으나, (4) 이전시기 건강이 이후시기 소득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대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대상의 사회복지정책이나 서비스의 기본 방향과 향후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학대 및 아동의 심리사회적 자원이 아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해숙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0 N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child abuse, psychosocial resources, and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d (1) the direct impact of child abuse and psychosocial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and (2) the mediating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abus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third year dataset of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was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1,54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6th grade.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5.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among child abuse, depressive symptoms, self-esteem, and social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mediating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negative self-esteem and social relationship with friends medi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 abuse and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모델에 근거하여 아동학대 및 아동의 심리사회적 자원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아동학대 및 심리사회적 자원이 우울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자원이 아동학대와 우울감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서울아동패널연구의 3차년도 조사에 참석한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학생 1546명이다. 기초자료를 위해서는 SPSS를, 경로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은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는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적 관계 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둘째, 아동학대는 우울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친구관계나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