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rimary Spinal Cord Tumors

        전하정,Chun, Ha-Chun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2

        1969년부터 1983년까지 버지니아 의대부속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34예의 원발성 척수암중, 조직검사 또는 아절제술을 시행한 후 수술후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받은 32예 (Astrocytoma 16, ependymoma 16)에 대한 치료실적을 보고하고자 한다. 29예에서는 $45\~55Gy$를 5내지 6주간에 조사 받았으며 나머지 3예에서는 40Gy이하의 선량을 조사받았다. 50Gy 이상 조사된 6예는 모두 척수가 조사야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최저 추적 기간은 5년이었다. 방사선 치료 실패 후 재수술로 치료된 3예를 포함하여, 모든 예에서 생존율은 5년과 10년에서 각각 $73\%\;와\;50\%$이었다. 각각의 투병생존율은 $60\%\;와\;32\%$이었다. 45Gy 이상의 선량을 받은 29예에서는 5년 무병생존이 $63\%$이었다. 13예에서 치료실패를 경험했으며 치료실패는 조사야에서만 관찰되었다. Ependymoma가 astrocytom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무병생존율이 높았다 $(45\%\;:\; 89\%(p<0.05))$, 원발부위에 있어 경추가 포함된 예에서 그렇지 않은 예보다 생존율이 저하되었다. 원발부위의 cauda equina포함여부는 예후에 영향이 없었다. 최고 20년간 추적결과 방사선 치료에 의한 신경성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원발성 척수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가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Of 34 evaluated patients with primary spinal cord tumors, 32 were irradiated at our institution between 1969 and 1983. The results are reported of 32 patients, 16 with ependymoma and 16 with astrocytoma, who were treated with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llowing biopsy or subtotal resection Twenty-nine patients received $45\~55Gy$ megavoltage beam irradiation in $5\~6$ weeks and the remaining three patients received less than 40Gy. Spinal cord was in the irradiated field for six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50Gy. The minimum follow-up was five years. Five and ten year acturaial survival rates for entire group of patients were $73\%(22/30)\;and\;50\%(8/16)$, including three patients who were salvaged by surgery after radiation failures. Corresponding five and ten year relapse free survival rates were $60\%(18/30)\;and\;32\%(6/19)$, respectively. Of the 29 patients who recived more than 45Gy, relapse free survival at five years was $63\%(17/27)$. Treatment failed in 13 patients and all of those failures were in the irradiated portal. Patients with ependymomas have significantly better relapse free survival than those with astrocytomas, $80\%\;vs.\;40\%$ (p<0.0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with tumors involving the cervical spine and those with tumors in the other loactions, $45\%$ vs. $89\%(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ne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with cauda equina tumors and those with tumors at spinal cord, $100\%\;vs.\;68\%(p>0.05)$. No radiotherapy related neurological deficit was noted with a maximum 20 year follow-up. This study confirms that external beam radiotherapy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primary spinal cord tumor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Medulloblastoma

        전하정,이명자,Chun, Ha-Chung,Lee, Myung-Za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적 : 수아세포종에 대한 수술 후 두개척수 방사선종양학 의학용어집에 따라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 5월부터 1998년 4월까지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두개척수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43명의 수아세포종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추적기간은 18개월에서 U개월이었으며 중앙추적기간은 47개월이었다. 남자는 27명이었고 여자는 16명으로서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1.7: 1이었다. 5명의 환자에서는 조직검사만을 시행하였고 14명에서는 육안적 완전절제술, 나머지 24명의 환자에서는 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두개척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39명의 환자는 최소 5,000 cGy의 방사선을 원발부위에 조사받았으며 40명의 환자는 최소 3,000cGy의 방사선을 척수에 조사받았다. 결과 : 대상환자 43명의 5년 및 7년 생존율은 67$\%$ 및 56$\%$이었고, 5년 및 7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0$\%$ 및 51$\%$이었다. 원발병소의 국소제어율은 5년 및 7년에 각각 77$\%$ 및 67$\%$이었다. 육안적 완전절제술 및 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76$\%$ 및 66$\%$이었으며 반면에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는 5년 생존율이 40$\%$에 불과 하였다. 총 18명의 재발환자 중 11명에서 원발부위가 재발부위이었으며 7명의 환자는 원발병소에서만 재발하였다. 4명의 환자는 척수에서, 3명의 환자는 원격전이만을 보였고 나머지 4명의 환자에서는 원발부위를 포함하여 여러부위에서 재발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 수아세포종의 뇌척추 방사선치료는 유의한 치료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치료요법이었다. 그러나 원발부위의 국소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개선하여야 할 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다분할조사, 정위적 방사선수술 및 삼차원 입체 조형치료 등 방사선요법의 기술적 발전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craniospin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modulloblastoma and to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43 patients with modulloblastoma who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craniospinal radiotherapy at our institution between May, 1984 and April, 1998. Median follow up period was 47 months with range of 18 to U months. Twenty seven patients were male and sixteen patients were female, a male to female ratio of 1.7:1. Surgery consisted of biopsy alone in 5 patients, subtotal excision in 24 patients, and gross total excision in 14 patients. All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raniospinal irradiation. All of the patients except four received at least 5,000 cGy to the posterior fossa and forty patients received more than 3,000 cGy to the spinal cord.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s at 5 and 7 years for entire group of patients were 57$\%$ and 56$\%$, respectively. Corresponding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60$\%$ and 51$\%$, respectively, The rates of disease control in the posterior fossa were 77$\%$ and 67$\%$ at 5 and 7 years. Gross total excision and subtotal excision resulted in 5 year overall survival rates of 76$\%$ and 66$\%$, respectively, In contrast, those patients who had biopsy alone had a 5 year survival rate of only 40$\%$. Posterior fossa was a component of failure in 11 of the 18 recurrences. Seven recurrences were isolated to the posterior fossa. Four patients had neuraxis recurrences, three had distant metastasis alone and four had multiple sites of failure, all involving the primary site. Conclusion : Craniospin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moduiloblastoma is an effective adjuvant treatment without significant treatment related toxicitles.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posterior fossa control, especially in biopsy alone patients. The advances in radiotherapy including hypefractionation, stereotactic radiosurgery and 3D conformal radiotherapy would be evolved to improve the tumor control rate at primary site.

      • SCOPUSKCI등재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전하정,이명자,Chun, Ha-Chung,Lee, Myung-Za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적 :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생존율 및 국소제어율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 1987년 5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근치적 수술후 외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N1 및 N2 병기의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나이의 분포는 32세부터 78세이었다. TNM 병기에 따른 환자분포는 35명이 제 2 병기, 57명이 제 3 병기이었다. N1 병기의 환자는 49명이었고 N2 병기의 환자는 43명 이었다. 56명은 $T1\~2$ 병기의 종양에 속하였고 36명은 $T3\~4$ 병기의 종양에 속하였다. 총 방사선 조사량은 40 내지 60 Gy이었으며 대부분의 환자는 50 Gy 또는 50.4 Gy의 방사선을 조사 받았다. 추적기간은 9개월 내지 7년이었으며 중앙값은 26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에서 3년 및 5년 생존율은 $46\%$ 및 $38\%$이었다.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44\%$ 및 $36\%$이었다. 제2 병기 환자와 제3 병기의 환자에서 5년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50\%\;vs\;28\%)$. N1 병기 및 N2 병기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52\%$ 및 $20\%$이었다. $Tl\~2$ 병기 및 $T3\~4$ 병기 환자에서는 각각 $40\%$ 및 $34\%$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국소 재발율은 $13\%$이었고, N1 병기 및 N2 병기 환자에서의 국소 재발율은 각각 $8\%$ 및 $18\%$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국소 제어율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생존율을 향상시키지는 못하였다. 원격 전이를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전신요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effect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and local control for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 Ninety two NSCLC patients with N1or N2 involvement who were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llowing surgery with curative intent from May 1987 to October 1999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ge of the patients was ranged from 32 to 78 years. According to TNM Stage, 35 patients had Stage II and 57 had Stage III disease. There were 49 patients with N1 involvement and 43 patients with N2 involvement. Fifty six patients were noted to have $T1\~2$ tumors and 36 patients to have $T3\~4$ tumors. Delivered total dose was ranged from 40 to 60 Gy. Majority of patients received 50 Gy or 50.4 Gy. Follow-up period was ranged from 9 month to 7 years with median follow-up of 26 months. Results : Overall survival rates at 3 and 5 years for entire group of patients were $46\%\;and\;38\%$, respectively. Corresponding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44\%\;and\;3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with Stage II and Stage III disease ($50\%\;vs\;28\%$ at 5-year). Five year survival rates for N1 and N2 patients were $52\%\;and\;20\%$, respectively (p<0.05). These were $40\%\;and\;34\%$ for patients with $T1\~2$ tumors and $T3\~4$ tumors. There were documented local relapses in $13\%$ of the patients. For patients with N1 and N2 Stage, local relapse rates were $8\%\;and\;18\%$, respectively. Conclusion : Our study confirms that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improves local control. However, influence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on long-term survival is less clear. More effective systemic treatment to prevent distant metastasis should be investigated in future study to improve long-term survival.

      • SCOPUSKCI등재

        Role of Radiation Therapy for Stage III Thymoma

        전하정,이명자,Chun, Ha-Chung,Lee, Myung-Za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1

        목적 : 제 3기 흉선종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제 3기 흉선종으로 진단받고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4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명은 완전 절제술을 시행받았고 17명은 불완전 절제술을 나머지 6명은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았다. 환자의 나이는 20세부터 62세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평균연령은 47세였다. 남녀의 성비는 14대 10였다. 6 또는 10 MeV 리니악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종격동 및 알려진 잔여병변부위를 조사하였다. 쇄골하 림프절은 조사야에 포함되지 않았다. 조사된 총 방사선 양은 30 내지 56 Gy였으며 한명만이 30 Gy를 조사 받았고 18명은 최소한 50 Gy이상을 조사 받았다. 추적기간은 12개월 내지 8년이었고 중앙값은 40개월였다. 결과 : 전체 환자에서 전반적인 국소제어율은 5년에 $67\%$였다. 1년, 3년 밑 5년 국소재발율은 각각 $18\%,\;28\%$ 및 $33\%$였다. 불완전 절제술 및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및 $33\%$였다. 5년 생존율은 관찰치가 $57\%$, 조정치가 $72\%$였다. 불완전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와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2\%$와 $30\%$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 제 3기 흉선종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 사료된다. 수술시 절제면에 가깝거나 특히 불완전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thasone점안액의 대체약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E 처리하여 얻어진 영상이 해부학적 구조를 판독하는데 도움이 죄었다. 결론 : GSE 영상의 재구성은 대조도를 증가 시킬뿐 아니라 인체내 관심부위의 농도분포를 별도로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중방사선조사(double exposure)에 의해 발생되는 화질의 저하를 보정함으로써 화질 개선을 가능하게 하였다. Linacgram 화질 개선은 simulation image 및 치료계획에서 발생한 DRR과 multi-layer 중첩영상 분석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영상 비교 시 치료부위의 신속하고 정밀한 확인을 가능하게 하였다.알 수 있었다. 시뮬레이터에서 DRR을 구현했을 때 각각의 치료 조건들에 대해 오차가 임상적용 범위 안에 있어서 이 팬톰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QC/QA에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에서의 NOS2 mRNA의 발현을 시작으로 비교적 일관된 발현 양상을 보여 주었고 그에 따라 폐포세척액 내의 NO 및 TGF-$\beta$ 단백의 양이 변하였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56일 째에는 NOS2와 TGF-$\beta$가 모두 발현하여, 좀 더 많은 개체 수를 대상으로 장기간을 통해 발현 양상을 관찰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연구를 바탕으로 NOS2 억제제를 사용하여 TGF-$\beta$의 발현 양상에 어떤 변화가 오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되었다.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 $\geq$5 ng/ml인 경우, SCC는 $\geq$2 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I thymoma and to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24 patients with Stage III thymoma who were referred for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our institution from June, 1987 to May, 1999. Surgical therapy consisted of total resection in one patient, subtotal resection in seventeen, and biopsy alone in six patients. Age of the patients was ranged from 20 to 62 years with mean age of 47 years. Male to female ratio was 14 to 10.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with linear accelerator producing either 6 MeV or 10 MeV photons. The irradiated volume included anterior mediastinum and known residual disease. The supraclavicular fossae were not irradiated. The delivered total dose was ranged from 30 to 56 Gy. One patient received 30 Gy and eighteen patients received minimum of 50 Gy. Follow up period was ranged from 12 months to 8 years with median follow up of 40 months. Results : The overall local control rate for entire group of patients was $67\%$ at 5 years. The cumulative local failure rates at one, three and five year were $18\%,\;28\%\;and\;33\%$, respectively. In patients treated with subtotal resection and biopsy alone, local control rate was $76\%\;and\;33\%$, respectively. The actuarial observed survival rate at 5 years was $57\%$, and actuarial adjusted survival at 5 years was $72\%$. The difference between 5 year survival rates for patients treated with subtotal resection and biopsy alon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62\%\;vs\;30\%)$. Conclusion : We might conclude tha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Stage III thymoma.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s recommended in cases where tumor margin is close or incomplete resection is accomplished.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Alone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전하정,이명자,Chun, Ha-Chung,Lee, Myung-Za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방사선 단독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 최적의 방사선 요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 1987년 6월부터 2000년 5월까지 본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제1 및 제2병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53세부터 81세이었으며 중앙값은 66세이었다. 모들 환자는 남성이었다. 수술이 불가능하였던 이유는 폐기능의 손상, 심혈관계 질환, 열악한 전신상태, 고연령, 수술 거부 등이었다. 16명은 편평상피암, 3명은 선세포암이었고 2명은 불분명하였다. 전통적 방법으로 하루에 한번 일주일에 5회씩 치료하였으며, 원발부위의 조사량은 56 내지 69 Gy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에서 2년, 3년, 5년 생존율은 각각 $41\%,\;30\%,\;21\%$이었으며 중앙값은 23개월이었다. 2년, 3년, 5년의 질환관련 생존율은 각각 $55\%,\;36\%,\;25\%$이었다. 2명의 환자는 기타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5년 국소재발율은 $43\%$ 이었으며 21명중 9명이 치료 실패를 경험하였다. 국소재발은 7명에서 나타났으며 따라서 국소재발이 치료실패의 $78\%$를 차지하였다. 종양 크기가 4 cm 이하인 환자에서 5년 무병생존율이 4 cm 이상인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양 크기가 4 cm 이상인 환자 모두는 사망하였다. 카르노프스키 전신상태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수술이 불가능한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방사선 단독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원발부위의 방사선 조사량을 높이는 것이 국소관해율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생존율도 증가시키리라 사료된다.월로 차이가 없었다(p=0.89). 그러나 병기 III에서는 비록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p=0.14) 중앙생존기간 11개월, 20개월로 그리고 2년생존율에서 $0\%,\;36.5\%$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에서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병기 II, III에서 국소재발률, 원격전이율은 수술단독군 $50\%,\;16\%$,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39\%,\;31\%$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N1병기에서 국소재발률은 수술단독군 $71\%$,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37\%$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19) 병합치료군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군에서 국소재발된 경우는 전체 26예 중 10예로, 방사선치료 조사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조사면 내 재발이 2예, 경계부위 재발이 1예, 조사면 외부 국소 재발이 5예, 그리고 문합부 재발이 2예였다.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근치적 절제술 후 병기 II, III 식도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는 수술단독군과 비교하여 생존율, 재발률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병기 III 혹은 N1의 경우는 국소재발을 낮추고 생존율향상의 경향을 보여 향후 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방사선치료시 국소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방사선치료의 범위를 종격동, 쇄골상부림프절, 복강림프절 그리고 문합부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좀더 넓은 조사면의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장암의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는 치료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어율 모두에 유의한 인자는 방사선치료 후 종양반 Purpose : To evaluate the outcome of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and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for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formed on patients with sage I or II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that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between June, 1987 and May, 2000. A total of 21 patients treated definitively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53 to 81 years with a median of 66 years. All the patients were male. The medical reasons for inoperability were lack of pulmonary reserve, cardiovascular disease, poor performance status, old age, and patient refusal in the decreasing order. Pathological evidence was not adequate to characterize the non-small cell subtype in two patients. Of the remaining 19 patients, 16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3 had adenocarcinoma. Treatment was given with conventional fractionation,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The doses to the primary site ranged from 56 Gy to 59 Gy. No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s for the entire group at 2, 3 and 5 years were 41, 30 and $21\%$, respectively. The cause specific survivals at 2, 3 and 5 years were 55, 36 and $25\%$, respectively. An intercurrent disease was the cause of death in two patients. The cumulative local failure rate at 5 years was $43\%$. Nine of the 21 patients had treatment failures after the curative radiotherapy was attempted. Local recurrences as the first site of failure were documented in 7 patients. Therefore, local failure alone represented $78\%$ of the total failures. Those patients whose tumor sizes were less than 4 cm had a significantly better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than those with tumors greater than 4 cm $(0\%\;vs\;36\%)$. Those patients with a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less than 70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actuarial survival when compared to those with a status greater than 70 $(25\%\;vs\;26\%,\;p>0.05)$. Conclusion : Radiation therapy 리one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early stage non-small ceil lung cancer patients who are medically inoperable or refuse surgery. Also we believe that a higher radiation dose to the primary site could improve the local control rate, and ultimately the overall survival rate.

      • Radical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Prostate

        전하정(Ha Chung Chun),이명자(Myung Za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1

        목 적 :전립선암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치료의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 1987년 9월부터 2000년 3월까지 본원에서 근치적 목적의 외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요도관통 전립선 절제술 및 초음파를 이용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확인하였다. 진단시의 주된 증상은 직장촉진시 전립선의 종괴 촉지, 빈뇨 및 급뇨, 소변시 통증호소 등이었다. 환자 나이의 분포는 51세부터 87세 이었고 중앙값은 63세이었다. A병기 환자는 6명, B병기 환자는 20명, C병기 환자는 26명, D1병기 환자는 8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10 백만볼트 에너지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4문대항 골반 상자 치료기법을 사용하여 45∼50.4 Gy를 전골반부위에 조사 후 조사야를 축소하여 총조사량 66∼70 Gy까지 추가조사를 실시하였다. 추적기간은 1년 내지 8년이었다. 결 과 :A병기, B병기, C병기 및 D1병기 환자에서 5년 및 7년 실질 생존율은 각각 100% 및 84%, 83% 및 72%, 67% 및 54%, 40% 및 30%이었다. 각각의 병기에서 5년 및 7년 무병생존율은 84% 및 84%, 77% 및 67%, 48% 및 40%, 33% 및 25%이었다. B병기 환자에서 조직학적 분화에 따른 5년 무병생존율이 80%, 80% 및 50%이었고, C병기 환자에서는 각각 64%, 44% 및 33%이었다. 생존 5년시의 국소 제어율은 A, B, C, D1병기에서 각각 84%, 85%, 78% 및 60%이었다. 경증 및 중등도의 합병증은 22%의 환자에서 관찰되었고, 수술적 처치를 요하는 중증의 합병증은 3%의 환자에서만 발생하였다. 결 론 :본 연구는 전립선암 환자에서 근치적 목적의 외부 방사선치료가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 방법임을 확인하였고 국소제어 및 생존율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pose :To evaluate effect and tolerance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prostate and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60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with curative intent in our institution between September, 1987 and March, 2000. Histologic diagnosis was established by transurethral resection or ultrasonography guided biopsy. The major presenting symptoms were a nodule at routine prostatic examination and frequency and urgency of urination, along with dysuria. The median age was 63 years with range of 51 to 87 years. There were 6 patients in Stage A, 20 in Stage B, 26 in Stage C, and 8 in Stage D1.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megavoltage equipment producing 10 MV photons. The 4 field pelvic brick technique was used to a dose of 45 Gy or 50.4 Gy at 1.8 Gy per day in 5 to 6 weeks, after which a small boost field was delivered 2.0 Gy per day to a total dose of 66 to 70 Gy.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1 to 8 years. Results :Actuarial 5-year and 7-year survival rates for Stage A, B, C, and D1 were 100% and 84%, 83% and 72%, 67% and 54%, and 40% and 30%,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5- year and 7-year relapse free survival rates were 84% and 84%, 77% and 67%, 48% and 40%, and 33% and 25%, respectively. Relapse free 5-year survival rates for Stage B were 80%, 80%, and 50% for well, moderately, and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respectively. These were 64%, 44%, and 33% for Stage C, respectively. The local control rates at 5 years were 84%, 85%, 78%, and 60% for Stage A, B, C, and D1, respectively. Mild to moderat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22% of patients. Severe complications requiring surgical procedures were documented in only 3% of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external beam irradiation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prostatic cancer, providing long- term local control and good survival with acceptable complications.

      • KCI등재후보

        Radiation Therapy Alone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Ha Chung Chun(전하정),Myung Za Lee(이명자)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방사선 단독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 최적의 방사선 요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 1987년 6월부터 200년 5월까지 본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제1 및 제2병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53세부터 81세이었으며 중앙값은 66세이었다. 모든 환자는 남성이었다. 수술이 불가능하였던 이유는 폐기능의 손상, 심혈관계 질환, 열악한 전신상태, 고연령, 수술 거부 등이었다. 16명은 편평상피암, 3명은 선세포암이었고 2명은 불분명하였다. 전통적 방법으로 하루에 한번 일주일에 5회씩 치료하였으며, 원발부위 조사량은 56 내지 69 Gy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에서 2년, 3년, 5년 생존율은 각각 41%, 30%, 21%이었으며 중앙값은 23개월이었다. 2년, 3년, 5년의 질환관련 생존율은 각각 55%, 36%, 25%이었다. 2명의 환자는 기타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5년 국소재발율은 43%이었으며 21명중 9명이 치료 실패를 경험하였다. 국소재발은 7명에서 나타났으며 따라서 국소재발이 치료실패의 78%를 차지하였다. 종양 크기가 4cm 이하인 환자에서 5년 무병생존율이 4cm이상인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양 크기가 4cm 이상인 환자 모두는 사망하였다. 카르노프스키 전신상태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수술이 불가능한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방사선 단독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원발부위의 방사선 조사량을 높이는 것이 국소관해율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생존율도 증가시키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outcome of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and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for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patients with sage Ⅰ or Ⅱ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that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between June, 1987 and May, 2000. A total of 21 patients treated definitively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53 to 81 years with a median of 66 years. All the patients were male. The medical reasons for inoperability were lack of pulmonary reserve, cardiovascular disease, poor performance status, old age, and patient refusal in the decreasing order. Pathological evidence was not adequate to charac-terize the non-small cell subtype in two patients. Of the remaining 19 patients, 16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3 had adenocacinoma. Treatment was given with conventional fractionation,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The doses to the primary site ranged from 56 Gy. No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s for the entire group at 2, 3 and 5 years were 41, 30 and 21%, re-specively. The cause specific survivals at 2, 3 and 5 years were 55, 36 and 25%, respectively. An intercurrent disease was the cause of death in two patients. The cumulative local failure rate at 5 years was 43%. Nine of the 21 patients had treatment failures after the curative rediotherapy was attempted. Local recurrences as the first site of failure were documented in 7 patients. Therefore, local failure alone represented 78% of the total failures. Those patients whose tumor sizes were less than 4 cm had a sig-nificantly better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than those with tumors greater than 4 cm (0% vs 36%). Those patients with a Kamosfsky performance status less than 70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actuarial survival when compared to those with a status greater than 70 (25% vs 26%, p>0.05). Conclusion : Radiation therapy alone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are medically inoperable or refuse surgery. Also we believe that a higher radi-ation dose to the primary site could improve the local control rate, and ultimately the overall survival rate.

      • SCOPUSKCI등재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전하정(Ha Chung Chun),이명자(Myung Za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2

        목적 : 담낭과 간외 담도를 포함한 간외 담도계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방사선치료의 역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4월에서 1994년 7월까지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43명의 담낭 및 간외 담도계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3명은 담낭암이었고 20명은 간외 담도암이었다. 23명의 담낭암 환자중에서 제 2병기는 2명, 제 3 병기는 12명, 제 4병기는 9명이었다. 남녀비는 11명대 12명이었다. 15명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8명은 조직생검과 우회수술만을 시행하였다. 3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4500 cGy 이상의 방사선을 조사하였으며, 추적기간은 11-82개월 이었다. 20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중에서 제 1병기는 1명, 제 2병기는 2명, 제 3병기는 10명, 제 4병기는 7명이었다. 남녀비는 16명대 4명이었다. 16명이 근치적 목적으로 위플씨 수술 또는 절제와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4명은 우회수술만을 시행하였다. 16명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로 4500 cGy 이상 조사하였고, 4명은 3180-4140cGy를 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8-34개월 이었다. 결과 : 담낭암 환자의 전체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제 3병기와 제 4병기의 중앙생존기간은 14개월과 5개월이었으며, 2년 생존율은 각각 36%(4/11)와 13%(1/8) 이었다. 근치적 목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우회수술 만으로 치료받은 환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높았다. (67%: 13% 12개월) 치료와 연관된 합병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20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의 전체 중앙 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다. 제 3병기 10명과 제 4병기 7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각각 10개월과 8개월이었다. 위플씨 수술을 시행한 2명은 각각 11개월과 14개월간 생존하였으며, 절제와 배액술로 치료한 환자들의 중앙 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다. 결론 : 간외 담도계암 환자에서 수술후 외부 방사선치료에 의한 합병증은 미미하였으며, 특히 수술후 현미경적 또는 육안적 잔여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에 의해 생존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patients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EHBS) including gall bladder (GB) and extrahepatic bile ducts (EHBD) and to define the role of radiotherapy for these tumors. Methods and Material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43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EHBS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at our institution between April, 1986 and Julr, 1994. Twenty three patients had GB cancers and remaining 20 patients did EHBD cancers. Of those 23 GB cancers, 2 had Stage II, 12 did Stage III and 9 did Stage IV disease, respectively. Male to female ratio was 11 to 12. Fifteen patients underwent radical surgery with curative intent and 8 patients did biopsy and bypass surgery alone. All of the patients except for 3 patients were treated with 4500 cGy or higher doses postoperatively. Follow up periods ranged from 11 to 82 months. Of those 20 EHBD cancers, one had Stage I, 2 did Stage II, 10 did Stage III and 7 did Stage IV disease, respectively. Male to female ratio was 16 to 4. Sixteen patients underwent Whipple's procedure or resection and drainage with curative aim and remaining 4 patients did bypass surgery alone Postoperatively 16 patients were irradiated with 4500 cGy or higher doses and 4 patients with 3180 to 4140 cGy. Follow up periods ranged from 8 to 34 months. Results :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GB cancer was 11 months. Median survival time for Patients with Stage III and IV disease were 14 months and 5 month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wo rear survival rates were 36%(4/11) and 13%(1/8), respectively. Those who underwent surgery with curative intent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urvival at 12 months than those who underwent bypass surgery alone(67%vs13%). None of the patients died of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s. Median survival time for entire group of 20 EHBD patients was 10 months. Median survivals of 10 Stage III and 7 Stage IV disease were 10 and 8 months, respectively. Two patients who underwent Whipple's procedure had 11 and 14 month survival and those treated with resection and drainage showed median survival of 10 month. Conclusion :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is well tolerated and might improve survival of patients, especially those with resectable lesions with microscopic or gross residual disease after surgery.

      • SCOPUSKCI등재

        Post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Medulloblastoma

        전하정(Ha Chung Chun),이명자(Myung Za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 적 : 수아세포종에 대한 수술 후 두개척수 방사선종양학 의학용어집에 따라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 5월부터 1998년 4월까지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두개척수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43명의 수아세포종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추적기간은 18개월에서 86개월이었으며 중앙추적기간은 47개월이었다. 남자는 27명이었고 여자는 16명으로서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1.7 : 1이었다. 5명의 환자에서는 조직검사만을 시행하였고 14명에서는 육안적 완전절제술, 나머지 24명의 환자에서는 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두개척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39명의 환자는 최소 5,000 cGy의 방사선을 원발부위에 조사받았으며 40명의 환자는 최소 3,000cGy의 방사선을 척수에 조사받았다. 결 과 : 대상환자 43명의 5년 및 7년 생존율은 67% 및 56%이었고, 5년 및 7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0% 및 51%이었다. 원발병소의 국소제어율은 5년 및 7년에 각각 77% 및 67%이었다. 육안적 완전절제술 및 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76% 및 66%이었으며 반면에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는 5년 생존율이 40%에 불과하였다. 총 18명의 재발환자 중 11명에서 원발부위가 재발부위이었으며 7명의 환자는 원발병소에서만 재발하였다. 4명의 환자는 척수에서, 3명의 환자는 원격전이만을 보였고 나머지 4명의 환자에서는 원발부위를 포함하여 여러부위에서 재발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 론 : 수아세포종의 뇌척추 방사선치료는 유의한 치료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치료요법이었다. 그러나 원발부위의 국소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개선하여야 할 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다분할조사, 정위적 방사선수술 및 삼차원 입체 조형치료 등 방사선요법의 기술적 발전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craniospin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medulloblastoma and to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43 patients with medulloblastoma who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craniospinal radiotherapy at our institution between May, 1984 and April, 1998. Median follow up period was 47 months with range of 18 to 86 months. Twenty seven patients were male and sixteen patients were female, a male to female ratio of 1.7 : 1. Surgery consisted of biopsy alone in 5 patients, subtotal excision in 24 patients, and gross total excision in 14 patients. All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raniospinal irradiation. All of the patients except four received at least 5,000 cGy to the posterior fossa and forty patients received more than 3,000 cGy to the spinal cord. Results :The overall survival rates at 5 and 7 years for entire group of patients were 67% and 56%, respectively. Corresponding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60% and 51%, respectively. The rates of disease control in the posterior fossa were 77% and 67% at 5 and 7 years. Gross total excision and subtotal excision resulted in 5 year overall survival rates of 76% and 66%, respectively. In contrast, those patients who had biopsy alone had a 5 year survival rate of only 40%. Posterior fossa was a component of failure in 11 of the 18 recurrences. Seven recurrences were isolated to the posterior fossa. Four patients had neuraxis recurrences, three had distant metastasis alone and four had multiple sites of failure, all involving the primary site. Conclusion :Craniospin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medulloblastoma is an effective adjuvant treatment without significant treatment related toxicities.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posterior fossa control, especially in biopsy alone patients. The advances in radiotherapy including hyperfractionation, stereotactic radiosurgery and 3D conformal radiotherapy would be evolved to improve the tumor control rate at primary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