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파사드에서 다중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환경에 관한 연구

        전하리,윤현정,김영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interactive media facade on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which interacts with users by multiple mobile devices. Recently, mobile devices provide various interactive applications as IT technology advances, and it is providing convenience to human life by changing various sectors such as communication, culture, economy.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display products that allow the users to utilize the contents as they want via mobile devices contributed to an expansion of a new culture in multi-media contents sector.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transparent display,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opaque display, allows various applications in business sectors such as architecture, entertainment, advertisement and others. Based on this trend, this research studies the interactive media facade environment based on many mobile devices, especially the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that interacts directly with us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and expandability of the interactive media facade interacting with a large number of viewers in a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installed in Myongbo Art Hall, Seoul. 최근의 모바일 기기의 동향은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에게 보다 다양한 인터랙션을 제공하게 되었고, 커뮤니케이션 뿐 아니라, 경제, 문화 예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변화를 일으키며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모바일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도입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에서 새로운 문화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또한 불투명 디스플레이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개발됨에 따라 건축,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활용 가능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이와 관련한 개발이 활발하게 여러 산업에 확대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파사드 환경에 대하여 연구하며 특히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의 구현에 대하여 연구 및 적용하여 본다. 또한 본 연구는 건자재로 쓰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다수의 관객들과 모바일로 상호작용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파사드의 구현과 그 확장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투명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명보아트홀에 적용하여 모바일 기반의 미디어파사드의 실제적 가능성을 살펴본다.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 측정을 위한 클로즈 테스트 연구

        전하리,원미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2 언어와 문화 Vol.18 No.4

        Cloze test,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language test type in English education, is easy to find in many standardized English language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loze test for evaluating Korean language ability of foreign learners. In this study, cloze test papers for Korean language evaluation are made and tests are conducted on Korean learners. The most widely used cloze test type `Regular cloze test' and `Irregular cloze test' are included in the test paper, and the papers of the learners are collected for scoring. The test results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ir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results to find if the Korean cloze test can distinguish learners' with different Korean proficiency. And also, the answer written by Korean learners group and native Korean speakers group are compared to find the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The analysis found that the language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vary by the amount of language restriction in the test, and it is also found that Korean cloze test has its feasibility .

      • KCI등재

        신체 제스처로 입력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표현 연구

        전하리,서용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4

        본 논문에서는 관객의 신체 제스처 인식을 기반으로 시각적, 언어적 활자 표현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타이포그 래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까지 등장해온 새로운 미디어의 영향으로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영역도 넓어졌으며 ‘상호작용’, 즉 ‘인터랙 션’의 개념이 더해지면서 타이포그래피 표현 영역의 확장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존재하는 많은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작품은 글자의 움직임과 같은 시각화된 표현만 중시한 채, 관객과 상호작용하 는 개념이 배제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작품 을 제안하도록 한다. 본 논문을 위해 구현한 작품은 관람객 제스처에 따라 작품이 완성되는 실시간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작업 으로 평소 인간이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보드나 모바일 기기를 벗어나 관객의 신체 포즈가 인터페 이스가 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시스템 구현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서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걸쳐 관객의 신체 제스처를 문자로 인식 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시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신체 제스처를 데이터화하고 시각 매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법 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interactive typography of possible visual and linguistic typography express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physical gesture of visitors. Due to the influence of new media that has been entering our society, the expression realm of typography is expanding as the 'interaction' concept is added. However, many interactive typography works that currently exist today are only placing emphasis on the visualized expression as movement of letters, but little focus on the concept of interacting with viewers. For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s an interactive typography work that lays emphasis on interaction with viewers. The artwork implemented for this study is the real-time interactive typography work that gets completed according to the gesture of viewers and is using a method of the physical pose of visitors becoming an interface instead of keyboard or mobile device that people usually use to enter letters. As a methodological research for the system implementation, this study adopts an algorithm of recognizing physical gesture of viewers as letters through real-time data processing, and expressed visual image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s to create physical gestures into data and to suggest ways of using them as a method for interaction with the visual media.

      • KCI등재

        Teflon-FEP 와 PET Film 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훈,김영진,이명자,전하,이병용 한국의학물리학회 1998 의학물리 Vol.9 No.1

        일렉트릿 (electret) 의 특성을 갖고 있는 Teflon-FEP 와 PET 필름의 유전체 양변에 크롬을 증착시켜 전극을 만들고 코발트-60 감마선을 찍어 이 두 유전체의 물리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선량률 25.0 cGy/min에서 방사선 조사하기 시작하여 2초이내에서 전류가 급격히 증가해 최대값에 이른후, 60초 이후에선 거의 안정값에 이르는 특성을 보였다. 방사선 조사동안 Teflon의 경우 유전 상수는 2.15에서 18.0으로, 전기전도도는 1$\times$$10^{-17}$ 에서 1.57$\times$$10^{-13}$ $\Omega$$^{-l}$ $cm^{-1}$ /으로 증가했고, PET는 유전상수는 3에서 18.3으로, 전기전도도는 $10^{-17}$ 에서 1.65$\times$$10^{-13}$ $\Omega$$^{-1}$$cm^{-1}$ /값으로 변하였다. 분당선량률을 변화시켰을때 (4.0 cGy/min, 8.5 cGy/min, 15.6 cGy/min, 19.3 cGy/min) 정상상태 방사선 유도전류(Ic), 유전율($\varepsilon$), 전기전도도 ($\sigma$) 가 선량률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정상상태방사선유도전류(Ic)값은 12시간내에선 1%내의 재현성을 보였고, 1주일간에선 3%내에서 일치하였다. 전하 및 전류값이 측정간격 (방사선 조사후 다음 조사때까지의 시간)에 의존성을 보였으며, 측정간격이 작을수록 초기측정값과 후측정값의 차가 크며, 최소 20분이상 간격을 둘 때 후측정값이 초기측정값과 같아졌다. 25.0 cGy/min. 선량률에서 유전체가 20분동안 전하를 유지하는 일펙트릿 성질을 갖고 있음을 보였다. 위 실험결과들은 2차전자에 의한 자유전자와 정공의 발생 및 이로 인한 내부편극과 전도도의 변화, 재결합등으로 인한 전자평형상태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방사선조사직후 시료에 열을 가한 후 다시 조사하면 측정값이 상승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열을 가함으로 내부편극이 감소되었고 이로인해 다음 방사선 조사시 전하운반자(charge carriers)의 숫자를 높이는데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인가전압 및 흡수선량에 따른 선형성 및 재현성과 다른 전리함에 비해 적은 부피로 큰 전하량을 측정하는 것은 미세전류검출기로서의 사용가능성과 검출기의 부피를 크게 줄일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Circular metal electrodes were vacuum-deposited with chromium on the both sides of Teflon-FEP and PET film characteristic of electret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wo polymers were observed during an irradiation by gamma-ray from $\^$60/Co. With the onset of irradiation of output 25.0 cGy/min the induced current increased rapidly for 2 sec, reached a maximum, and subsequently decreased. A steady-state induced current was reached about in 60 second. The dielectric constant and conductivity of Teflon-FEP were changed from 2.15 to 18.0 and from l${\times}$l0$\^$-17/ to 1.57${\times}$10$\^$-13/ $\Omega$-$\^$-1/cm$\^$-1/, respectively. For PET the dielectric constant was changed from 3 to 18.3 and the conductivity from 10$\^$-17/ to 1.65${\times}$10$\^$-13/ $\Omega$-$\^$-1/cm$\^$-1/. The increase of the radiation-induced steady state current I$\^$c/, permittivity $\varepsilon$ and conductivity $\sigma$ with output(4.0 cGy/min, 8.5 cGy/min, 15.6 cGy/min, 19.3 cGy/min) was observed. A series of independent measurements were also performed to evaluate reproducibility and revealed less than 1% deviation in a day and 3% deviation in a long term. Charge and current showed the dependence on the interval between measurements, the smaller the interval was, the bigger the difference between initial reading and next reading was. At least in 20 minutes of next reading reached an initial value. It may indicate that the polymers were exhibiting an electret state for a whil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internal polarization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electron-hole pairs by secondary electrons, the change of conductivity and the equilibrium due to recombination etc. Heating to the sample made the reading value increase in a short time,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internal polarization was released due to heating and it contributed the number of charge carriers to increase when the samples was again irradiated. The linear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samples with the applied voltage and absorbed dose and a large amount of charge measured per unit volume compared with the other chambers give the feasibility of a radiation detector and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a detector.

      • KCI등재
      • KCI등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교육기회 확대에 미치는 영향

        전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2

        Using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fterschool program on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s more and more people think of educational success as the key to attain social status in adulthood, educational competition has become more increased so that shadow education as an effective strategy to obtain superior position to others in competition has been spread out to students and parents particularly in Korea. In this context, afterschool program policy was introduced to reduce the extereme demand on shadow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focus on the effect of afterschool program on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the original goal of afterschool program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a student participated in organized educational activities after school hours in the last year and what type of educational activities he or she participated in the year after. Employ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non-participants in the last year were more likely to choose to enter the non-participant group or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afterschool program rather than to enter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shadow education. Furthremore,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afterschool program had different features from the participant group only in shadow education in family background.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addre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시기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 형태를 미참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참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사교육 동시 참여, 사교육 참여로 나누고 참여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학교 1학년 시기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 여부의 영향에 주목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사교육은 교육을 통한 사회적 지위의 획득이 하나의 사회규범으로 자리 잡은 현대 사회에서 교육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인식된다. 반면 방과후학교 정책은 공교육 제도 하에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공공형 교육서비스로서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추가적인 교육 기회에 대한 수요를 충족해주고자 도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방과후 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이 사교육보다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적인 교육 기회를 획득하고 있는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의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경향점수 매칭 방법을 실시하여 이전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여부 변수에 내재된 선택편의를 통제한 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에 방과후 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은 사교육에 참여하기보다 2학년 때도 미참여 상태로 남아있거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사교육과 달리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기회를 보편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한편, 방과후 교육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가정배경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사교육 서비스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가정배경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다. 이를 통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사교육 서비스를 대신하는 대체재보다는 모두에게 동등한 학업경쟁의 기회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공교육의 보완재로서 역할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