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출혈을 줄이기 위한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 주사와 네비게이션 사용의 상승 효과

        송석균(Suk-Kyoon Song),전충무(Chung-Mu Jun),최승철(Seung-Cheol Choi),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출혈과 수혈을 줄이기 위한 네비게이션(navigation)과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주사의 상승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16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한 명의 술자로부터 골관절염으로 일차성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고식적 슬관전 전치환술로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은 환자 군을 그룹 1 (58예),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지만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지 않은 군을 그룹 2 (30예), 그리고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로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은 환자 군을 그룹 3 (32예)으로 나누었다. 세 그룹의 수술 후 수혈의 빈도를 비교하였고, 수술 후 출혈량을 비교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배액관으로 배액된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1은 5예(8.6%), 그룹 2는 9예(30%), 그룹 3은 3예(9.4%)의 환자에서 수혈을 했다. 그룹 간의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6). 수술 후 24시간 동안 배액관으로 배액된 양은 그룹 1에서 343.67±165.20 ml, 그룹 2에서 452.10±197.91 ml, 그리고 그룹 3에서 311.00±129.32 ml였다. 이 차이는 ANOVA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3). 그룹 2는 그룹 1보다 수혈의 필요성이 3.71배 높게 나왔고, 그룹 3보다는 4.14배 높게 나왔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네비게이션과 트라넥삼산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감소시키는 상승 효과는 없었다. 그리고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 주사가 네비게이션에 비해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effects of an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and using navigation to reduce the need for blood transfusion and postoperative bleeding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compared. Group 1 (58 cases) included those who had manual TKA with the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in the joint. Group 2 (30 cases) was comprised of those who had navigated TKA without tranexamic acid. Group 3 (32 cases)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navigated TKA with tranexamic acid. The frequency of transfusion after the operation was measured. To compare bleeding after surgery, drainage volume during 24 hours after surgery wa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Group 1 had five cases of transfusion (8.6%), while there were 9 cases in group 2 (30%) and three cases in group 3 (9.4%). The Chi-squared tes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6). An average of 343.67±165.20 ml, 452.10±197.91 ml, and 311.00±129.32 ml was drained in the 24 hours after surgery in groups 1, 2, and group 3,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analyzed using ANOVA test,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3). The need for transfusion in group 2 was 3.71 times higher than that in group 1. The need for transfusion in group 2 was 4.14 times higher than that of group 3.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navigation use and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has no synergistic effect in reducing the need for blood transfusion and post TKA bleeding. In addition, an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in the joint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blood transfusions and blood loss after TKA than navigation.

      • KCI등재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의 변화

        최원기(Won-kee Choi),남준호(Jun-Ho Nam),전충무(Chung-Mu Jun),최승철(Seung Cheol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의 변화를 분석하고, 술 후 무릎 기능에 대한 체질량 지수의 영향과 체질량 지수 증가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술자 1인에 의해 시행된 100예의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하여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25 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1년 후의 환자의 체질량 지수와 Knee Score와 Function Score로 구성된 Knee Society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1년 후, 체질량 지수는 34예(34%)에서 감소 혹은 유지되었으며, 66예(66%)에서 증가되었다.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이 되는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예(28%)에서 발생하였다. 5% 이상의 체질량 지수가 증가된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였다. 나이와 술 전의 낮의 Function Score가 술 후 1년의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환자 인자였다. 나이가 1년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odds ratio)는 0.905이었으며,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1점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는 0.902이었다. 즉, 술 전 나이가 젊을수록,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낮을수록 술 후 체질량 지수가 5% 이상 증가할 위험성이 높았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의 환자에게서 일어나며, 해당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다.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를 보이는 환자 요인은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가진 환자였다. 그러므로, 술자들은 술 후 환자들에게 체질량 지수가 증가되지 않도록,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 환자를 특히 중점적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ody mass index (BMI) and the effects of BMI on the knee function and risk factors for an increase in BMI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Asians.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00 cases of TKA performed by one surgeon. Obesity was defined as BMI ≥25 kg/m². The BMI and Knee Society Score, consisting of the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were measured on the day before surgery and one year after surgery. Results: The BMI decreased or was maintained in 34 cases (34%) and increased in 66 cases (66%) one year after surgery. An increase in BMI of 5% or more was considered a clin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MI and occurred in 28 cases (28%). The patients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knee function score. The age and preoperative function sco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As the age increased by one year, the odds ratio at which the BMI would increase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5. Moreover, as the preoperative function score increased by one point, the odds ratio that the BMI would increase by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2. In other words, a younger preoperative age and a lower preoperative function score mean a higher risk of a more than 5% postoperative increase in BMI. Conclusion: The BMI increased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in 28% of the TKA patients examined. They had a lower functional score. The risk factors for a more than 5% increase in BMI after TKA were young age and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Therefore, surgeons should educate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ho are young or have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so that the patient’s BMI would not increase after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