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aCl의 농도가 병재배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및 자실체수량에 미치는 영향

        전창성,설화진,공원식,유영복,김진호,정종천,이찬중 한국버섯학회 2009 한국버섯학회지 Vol.7 No.4

        These studies were investigated for effect of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on occurrence and growth of fruitbody i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When the mycelia were inoculated and cultured on the PDA plate add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odium chloride, the growth of them were not affected at the concentration of 0.5%, started to decrease at 1.0% as compared with the PDA plate without sodium chloride, and they did not grow at 5.0%. When tested at the column filled with sawdust, the tendency was similar, but the decreasing rate of mycelial growth was gentle. In sawdust bottle cultivation sprinkl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solution at the different stag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fruitbody started to decrease at 3.0% of the solution and the yield at the treatment of 10.0% solution was only 47% of that in non-treated bottles. Treated at the different stages of mushroom development, treatment just after mushroom sprout did not show any different from that just after scraping spawn from the complete grown bottles. The sprinkle treatment at this stage looked better than that of the soaking with the solution before mushroom sprout. The yield at this treatment with 10% solution showed little damage with that of 90% of nontreated bottle. Sprinkle treatment during mushroom growth stage did not affect and showed almost same to non-treated bottle except the treatment with 10.0% solution. The treatment of this stage showed better results of growing characters than the treatment after and before mushroom sprouting even 10% solu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do not distinguish to treatment of different stage and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solution. The analyzing data of quality on underwater usually used for oyster mushroom in Inchon, Yeongjong and Kanghwa area showed over-concentration to the standard for edible water and agricultural water. But it was not confirmed whether this water quality could affect to mushroom cultivation.

      • KCI등재

        느타리버섯 생육온도와 자실체의 발생과 생장

        전창성,공원식,유영복,장갑열,백수봉,천세철 한국버섯학회 2006 한국버섯학회지 Vol.4 No.1

        Bottle cultivation was conducted to clarify varietal difference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Mushroom pinheading and yield in each temperatur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strains. Specially, Weonhyeong3-ho could not sprout over 16.5℃ , but after pinheading at 13℃, its fruitbody was able to grow normally at all tested temperatures. Sambok, a high temperature strain, sprouted at 10℃ and then withered up. Fruitbody of this strain obtained at 13℃ could not grow normally at 10℃ and 25℃ conditions. Colour of fruitbodies turned close to white at high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at low temperature, strains with gray fruitbody changed close to black and those with brown fruitbody turned to dark brown. With regards to fruiting trait, pinheading aspects were good even at low temperature. Those were, however, uneven and sprouted in patches and resulted in low quality and productivity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When black fruitbody at 13℃ were moved to 23℃ and then to 13℃ again, colour of fruitbody turned to white and then recovered to blackish gra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lour of fruitbody responds to cultivation temperature.

      • KCI등재

        볏짚배지에 탄산칼슘의 처리가 느타리버섯에 미치는 영향

        전창성,공원식,장갑열,유영복,도은수,천세철 한국버섯학회 2004 한국버섯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CaCO3 treatment on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for suppression of green mold disease and for promotion of mycelial growth to stabilize mushroom production in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 Treatment of CaCO3 in PDA media promoted mycelial growth of mushroom and suppressed that of green mold. Addition of CaCO3 in rice straw substrate increased mushroom mycelial growth compared with control. In that case, growth of green mold increased up to treated 0.6% CaCO3 but decreased in treatment beyond 0.8% CaCO3.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n effect of CaCO3 treatment according to green mold species. Trichoderma longibrachiatum was effected but T. virens was not effected by treated CaCO3. Differences among mushroom strains by treated CaCO3 were not shown. It is confirmed that treatment of CaCO3 can promote mushroom mycelial growth but it's not clear in the field. In the result of field test, treatment of CaCO3 in rice straw substrates tended to increase yield and decrease incidence of disease compared with non-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CO3 treatment on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can be applied to take preventive steps against of green mold disease.

      • KCI등재

        느타리버섯 배지의 당첨가에 따른 자실체의 당성분함량 변화

        전창성,이서경,임훈태,박혜성,조재한 한국버섯학회 2012 한국버섯학회지 Vol.10 No.4

        Oyster mushroom is one of the popular mushrooms for Korean people and it is thus one of the mushrooms that were mostly cultivated in Korea in addition to winter and king oyster mushrooms. To promote the consumption in terms of its nutritional value and determine the absorption mechanism in its physiological and metabolic aspects, we investigated the sugar composition of its fruit bod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gar component in the medium. As a result from the treatment of 4 different sugar components to the sawdust medium of oyster mushroom varieties (i.g., Suhan 1 ho, Yeorum, Chunchu 2 ho), we detected fructose, glucose, ribose, xylose as a monosaccharide with α-lactose and trehalose as a disaccharide. The sugar alcohols were also detected including glycerol, mannitol, myo-inositol, and sorbitol. The sugar components that were detected in all treatments were trehalose, mannitol, α-lactose, fructose, glucose, ribose, and myo-inositol and the rest of the components were found in some treatments with their different quantity included in the fruit bodies. The amount of monosaccharides included in fruit bodies is comparatively low and Suhan 1 ho contained them more than other varieties.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ugar components in fruit bodies depending on treated sugars and their amounts in the treatment. With the increase of lactose treatment, the sugar components were markedly increased and the amount of trehalose in the fruit bodi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eties.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detect the trend of suga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medium used in the cultivation. The sugar alcohols in the fruit bodies were comparatively contained more in Suhan 1 ho and Chunchu 1 ho. The amount of mannitol in the fruit bodies was not possible to be detected in terms of its trend according to the treatment. For myo-inositol, its quantity is gradually increasing in Suhan 1 ho and Chunchu 1 ho and it is not possible to detent the trend in Yeorum. In conclusion, we only detected α-lactose as a sugar component that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eatment and the amount of the fruit bodies. Therefore, the sugar components detected in the fruit bodies were transformed rather than direct absorption into fruit bodie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ddress this question.

      • 저온 억제처리가 팽이버섯의 재배에 미치는 영향

        전창성,윤형식,임훈태,공원식,이찬중,이강효,조재한 한국버섯학회 2011 버섯 Vol.15 No.1

        팽이버섯 재배과정에서 발이 후 저온처리가 육성된 품종에 따른 차이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억제처리 조건별 팽이버섯에 대한 자실체의 특성 및 수확량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갓직경, 대길이, 갓두께, 대굵기 등의 버섯의 형태적 특징에서는 전체적으로 억제 처리 효과에 의한 일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으며, 품종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자실체의 저장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갓과 대의 경도에서도 처리조건 및 균주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수확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개체중과 개체수에서는 개체중에 대한 것은 형태적 특성이나 경도와 같이 일정한 결과를 보이자 않았으나, 개체수에서는 모든 공시균주가 억제 처리조건에서 개체수가 많은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수량도 동일한 경향을 보이므로 억제에 의한 수량의 증가는 개체중보다는 개체수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시균주 중에 F8과 F9는 억제 처리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이 큰 차이가 없어 효율적인 방안을 포함하는 방안을 연구한다면 에너지 절감효과에 효과적일 수 있는 품종으로 추정된다.

      • 양송이 재배온도 및 주기별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변화

        전창성,윤형식,임훈태,박혜성,장갑열,조재한,성기호 한국버섯학회 2012 버섯 Vol.16 No.1

        양송이의 재배온도에 따른 품종 및 수확주기별 자실체의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양송이 갓직경은 1주기에는 품종 전반적으로 재배온도가 상승하면서 갓직경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2주기에서는 감소하였으며, 3주기에서는 10℃에서는 전체적으로 버섯발생이 없었으며, 재배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나 101호, 여름양송이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갓 두께는 모든 주기에서 품종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정한 경향을 확인하기 곤란하였다. 하지만 여름양송이는 확실한 감소세를 보였다. 대굵기는 일부 품종 및 주기에서 온도변화에 따라 증감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나 주기에 관계없이 재배온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여름양송이의 경우는 확실한 감소세를 보였다. 대길이는 101호는 주기에 관계없이 증가, 103호는 온도변화에 따라 증감하여 일정한 경향이 없으며, 505호는 온도증가에 따라 1, 2주기는 감소하였으나 3주기에서는 증가하여 주기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705호는 1주기는 증가하였으나 나마지 주기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못하였다. 큰양송이는 19℃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으며, 2주기에는 미미하게 감소, 3주기에는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등 주기별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여름양송이는 주기 관계없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송이의 형태적 특성은 여름양송이를 제외한 품종에서 보면 재배온도와 주기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아니지만 주기, 온도, 품종에 따른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재배환경에 따른 느타리버섯 자실체 특성과 바이러스 발현

        전창성,서지수,이강효,공원식,정종천,유영복,장갑열,김승환 한국버섯학회 2007 버섯 Vol.11 No.1

        일반적으로 느타리버섯 생육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영양원인 배지재료와 재료내의 환경요인, 균사생장후의 버섯발생과 생육에 관련한 재배사 내의 환경요인에 의해 지배된다고 알려져 있다. 농가 및 일부 연구자들은 기형버섯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된다는 것을 근거로 기형버섯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주장하고 있으나, 순화된 바이러스의 재접종에 의한 병징발현은 증명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개발되어있는 primer를 활용하여 바이러스의 유무를 확인하고 습도 및 온도의 재배환경에서 발생하는 기형버섯에 대해 바이러스의 발현유무와 정량법에 의한 양적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기형버섯과 바이러스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버섯의 발이량이 많으며, 갓의 색깔이 진하고, 수량이 높으며, 온도가 높아지면 발이량이 적고, 갓색이 엷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재배사 내의 습도를 조절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경우 품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습도가 높으면 생산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바이러스가 감염된 균주를 대상으로 온습도별 바이러스 특이밴드의 발현을 검정한 결과, 특정 재배조건에서 특이밴드가 관찰되었으며, 환경조건에 따른 버섯의 형태적인 변화와 바이러스의 정량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자실체의 기형증상과 바이러스간의 상호관련성에서 대한 분석을 하기 위해 온도와 습도별로 재배된 자실체를 대상으로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VP 바이러스는 온·습도와 같은 재배조건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좀 더 다양한 시료와 정밀한 분석을 한 후에 신중한 판단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양송이 재배주기에 따른 형태적 특성 변화

        전창성,박경주,김대겸,오연이,박혜성,조재한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4

        Five varieties of mushrooms, including Sae-do, were examined using farm field tests to determin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by performing harvest flush. Considering the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arieties studied, the parts related to mushroom generation and production showed almost similar characteristics. Overall, the mycelial forces were similar;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plantation tests performed by farmers, saedo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and saehan was considered to be the weakest. Weights of fruiting bodies were related more for compost status and regimen of use than for breeding, and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weights of fruiting bodies of the varieties studied. Regardless of the variety, pileus diameter, pileus thickness, and stem length of Dalseong-gun, Yongin-si, and Boryeong-si decreased as the harvest flush progressed. However, stem thickness tended to increase in the second and third flush compared to that in the first flush, regardless of the variety. However, the Gyeongju-si farms could not identify any trends attributable to varieties and harvest flushes. The pileus size and stem length of the fruiting bodies of varieties from Buyeo farms decreased with the progression of the harvest flush. However, pileus thickness and stem thickness did not show any specific tendency of growth among the varieties studied. The differences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shroom varieties in each harvest cycle are expected to be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supply of nutrients in the medium, the quality of the compost used, an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rather than the variety.

      • 팽이버섯 배지의 아미노산 첨가에 따른 자실체 추출물의 항암효과의 증대

        전창성,임훈태,박혜성,이찬중,조재한,공원식 한국버섯학회 2013 버섯 Vol.17 No.1

        팽이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식용버섯 증에서 가장 생산시스템이 자동화와 규모화로 외국에 수출하는 버섯 중에 주력 품목이다.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소비량보다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국내 출하가격의 하락으로 2005년도에는 생산비 이하까지 하락하기도 하였다. 이 런 팽이버섯은 재배농가는 급속이 감소하여 10농가 이하의 농가에서 버섯을 생산하고 있으며, 대형농가의 작황에 따라 수출 및 국내가격의 오르내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불안정한 양상 을 보이고 있다. 근본적으로 국내의 소비량을 증가하지 않는 경우에 지금과 같은 현상이 계 속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버섯이 영양분을 활용하는 방식은 배지재료를 효소를 분비하여 당과 아미노산 등의 소단위의 물질을 만들어 세포벽을 통하여 흡수 양분을 이용하 므로 팽이버섯 배지에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흡수정도 및 기능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사용 한 공시균주 ASI 4031균주등 4균주, 처리 아미노산은 Ala, Cys, Gln, Glu, Ser을 배지수분 조 절용 수분에 0.0, 0.1, 0.2, 0.3%로 희석하여 항암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 아미노산 종류 중에 서 Alanine 및 Glutamine이 팽이버섯 배지에 첨가하는 경우는 모든 공시균주에서 처리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균주 및 처리 아미노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 분 5 - 10%의 위암세포 저지율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간암에서는 위암과는 다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