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인(濟州人)의 일본도항(日本渡航) 연구(硏究)

        전은자 ( Eun Ja Je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8 탐라문화 Vol.0 No.32

        제주사람들의 일본 도항은 조선말기, 즉 일본 명치시대(明治時代)부터 시작되어 한일합병이 된 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전까지 그 빈도가 점점 높아졌다. 일본은 한반도 본토보다 선진산업이 활발하게 가동되고 있었으며 지리적으로도 제주와 가까워 제주사람들에게는 현금획득을 할 수 있는 매력적인 노동시장이었다. 이로 인해 수많은 제주사람들이 일본으로 도항하여 그 곳에 정착하거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귀향하기도 했다. 특히, 일본 오사카(大阪)에는 해방 전부터 상당수의 제주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고 그 연고로 인해 많은 제주사람들이 오사카로 도항을 하게 된 것이다. 즉 제주와 오사카 간에는 이미 일제 강점기부터 제주사람들 간의 사회 연결망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사회적 동질감이나 동향 의식 등의 연대감으로 원활한 커뮤니티가 이루어져 왔다. 제주사람들에게 일본은 한반도 본토보다도 경제·사회적으로 더욱 가까운 노동대상지(勞動對象地)이자 제주의 경제적 빈곤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일본으로 도항했다 귀향한 제주사람들 16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일본으로 도항했다 귀향한 제주사람들의 알려지지 않았던 기억의 역사를 역사의 지표로 떠오르게 한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시작했다. 따라서 일본으로 도항했다 귀향한 조사대상자들이 무슨 이유와 어떤 경로를 통해서 도항을 했는지, 그리고 일본에서의 그들의 생활 상태와 귀향 후 제주에서의 생활상은 어떠했는지 그들의 변화된 삶의 다양한 모습을 고찰해 보았다. 면담대상자 대부분은 재일제주인의 도움과 자신의 노력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합법적 도항자들은 학업성취와 선진문물 견학이라는 효과를 얻고 돌아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상업에 종사하거나 정치인, 교사가 되어 제주사회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며 살아왔다. 비합법적 도항자들은 밀고의 시달림 속에서 일하며 저축한 돈으로 자녀교육비 충당, 주택마련 등의 경제적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또한 귀향해서는 일본체류기간 동안 익힌 일본어를 활용해 관광업에 종사하거나, 학업을 계속하는 가운데 사회봉사활동을 하며 우리 사회에 공헌하며 살아가고 있다. 도항은 도항자 당사자에게는 목숨을 건 월경(越境)이었다. 온갖 희생을 치러내고 벌어온 그들의 경제적인 재화는 오늘날 제주사회의 밑거름이 된 것이 사실이다. 그들의 노고는 자신이나 가족을 넘어서 제주 지역 공동체로 이어지는,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주사람들의 일본도항은 도항자 개인의 문제인 동시에 또한 재일제주인과 제주사회 공동체의 사회적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오늘날에도 제주사람들은 도항의 형식만 다를 뿐 여전히 선진문물을 동경하거나 임금노동을 위해서 환율이 높은 일본자본주의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도항을 하고 있다. Jeju people started sailing for Jap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at is also the Meiji period and later more frequently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up until the Liberation. There were some reasons why they continued to seek to cross the water in various ways; Japan was a country where more advanced industries prospered than in Korea and moreover it is closer to Jeju geographically, which was seen as a very attractive labor market for Jeju islanders to make money. A lot of people made passage to Japan. Some of them settled down and some others came back home with various reasons. Especially, in Osaka, Japan, plenty of Jeju people had lived even before the Liberation, which led many more Jeju islanders to go to Osaka. It meant that there has already been a `Social Network` of Jeju people in Jeju and Osaka sinc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y have shared social bonds and same-town mentality forming a good community. For Jeju people, Japan was considered a true place of opportunity where they could get jobs to solve their financial as well as social problems, better than in their own country. When I started working on this study, I tried to give a historical significance to the Jeju people who returned to Jeju again after they had gone over to Japan, which has not been known well to us. I studied on why and how they sailed for Japan, how they lived there and, in case of coming back home, how their lives chang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rviews of 16 Jeju people who returned home from Japan. They risked their lives, crossing the border. They made all the possible sacrifices to make it. It is true that the money they earned there has become a foundation to build today`s Jeju. Their sufferings there have new meanings now, beyond themselves, their own family and Jeju local community. Accordingly, their crossing is not just an individual issue but also for a social one of the Korean-Japanese as well as Jeju community as a whole. Still today, people in Jeju yearn to go to Japan and some of them actually cross the border for the advanced developments and higher-paid jobs backed by its strong capital market with high exchange rates.

      • KCI등재후보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 연구

        전은자 ( Eun Ja Je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9

        이중섭은 한국의 국민화가라는 명성에 걸맞게 어느 예술가보다도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평안남도에서 태어난 이중섭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문화학원 재학시절부터 자유미술가협회에 작품을 출품하여 호평을 받았다. 귀국 후에 원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이중섭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가족과 함께 원산에서 부산을 거쳐 서귀포로 피난을 와 어려운 현실에도 불구하고 창작을 멈추지 않았다.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는 11개월 정도에 불과하지만 그 기간은 이중섭의 예술세계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 소재로는 섬, 게, 물고기, 아이들, 가족, 귤, 소 등을 들 수 있다. 이 소재들은 서귀포 시대는 물론 그 이후에도 이중섭의 유화나 드로잉, 은지화에 자주 등장하면서 이중섭 그림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으며, 이중섭의 대표작을 탄생시키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가 그의 예술세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중섭을 조명한 여러 권의 연구서에서는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가 매우 미약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체류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던 서귀포 시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를 재조명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 관련 그림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적인 요소로는 따뜻하고, 해학적이고, 즐겁고, 포근한 사랑, 그리고 유토피아적인 환상 등을 들 수 있다. 결국 이중섭이 가족의 사랑을 더욱 심도 있게 표현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서귀포 시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이중섭의 학창시절에 관한 문화학원 동창생들의 증언이다. 이것은 이중섭 연구에 미진한 부분을 보강한다는 점에서 서귀포 시대와 더불어 큰 의의를 갖는다. Lee Joong-Seop is adored as a people`s artist of Korea. But his life was checkered despite his posthumous fame unparalleled by many other artists. He was born in Southern Pyeongan province in northwest Korea and studied in the Japanese School of Culture during the forced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ile at the school, he was favorably noticed following his first submission of paintings to the Free Artists Association while at school. After returning to Korea, his artwork was mainly based around the area of Wonsan in northeast Korea. Upon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e fled from Wonsan with his family through Busan to Seogwipo on Jeju Island. The life in refuge was not easy but he persistently continued to paint. The Seogwipo period of Lee Joong-Seop lasted only about eleven months. But it was the finest time of his artwork. He painted a variety of objects that he saw living on the island, such as, an island, a crab, children, family, tangerines, and cows. These objects remain as important motives for his paintings even after his Seogwipo period. They frequently appear in his oil paintings and drawings, as well as, drawings on silver foil paper. It is very clear that the Seogwipo period definitely influenced the birth of the major pieces of Lee Joong-Seop`s artwork.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Seogwipo period in his art world, research papers on Lee Joong-Seop give only a meager touch of the period. The influence of the Seogwipo period is perceived as insignificant because his time in Seogwipo was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time he lived in other regions. Accordingly, the study sheds a new light on the Seogwipo period of Lee Joong-Seop. The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from his Seogwipo period arebe described as warm, witty, merry, loving, and a fantasy like Utopia. The in-depth depiction of family love in his paintings was possible because of his time in Seogwipo.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is study is given to the testimonies of his school mates from the Japanese School of Culture. Since the testimonies will corroborate the missing parts in research on Lee Joong-Seop, the significance should be equally important to his Seogwipo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