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 장애유아 통합교육기관과 일반유아 교육기관의 비교

        전은옥(Jun Eun-Ock),이미숙(Lee Mi-sook)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5 생활과학연구논집 Vol.25 No.1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ether the teachers are in the kindergarten of integrated education or in the kindergarten of general education. The subjects are 300 teachers from 30 kindergarten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30 kindergartens of general education in Seoul and the suburbs. The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Cronbach's α,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s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of integrated education are more positive toward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the attitudes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of general education are. 2) The attitudes of young teachers in their twenties are more positive toward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the attitudes of old teachers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re. And, the attitudes of teachers with an integrated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are more positive toward integrated education than the attitudes of the teachers without a training experience are. 3) In case of kindergartens of integrated educati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관계

        전은옥(Jun, Eun-Ock),최나야(Choi, Nay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4

        본 연구는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 기관적응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에서 만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90명과 해당 학급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어머니와 교사의 학교준비도는 차이가 있다. 둘째, 여아가 남아보다 학교준비도가 높으며, 유치원을 방과후과정반까지 이용하는 유아의 사회정서 유능성이 높았다. 셋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해 기관적응 하위요인인 ‘일과에 대한 적응’, ‘자아강도’, ‘친사회성’과 가정환경 자극의 하위요인인 ‘규칙적인 양육’, ‘반응적 상호작용’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기관적응은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의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 adjustment. The subject is the 290 mother and 26 teachers of 5 year-olds, located in Gyeonggi-do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mother and Teacher of school readiness is different. Second, girls showed better school readiness than boys, and full-day preschoolers showed higher school readiness than regular course children. Father’s education level was a meaningful variable in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ird, ‘adaptation to daily routines’, ‘ego strength’, and ‘pro-sociality’ of preschool adjustment and ‘regular parenting’ and ‘responsive interaction’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ffected children’s school readiness. Finally, preschool adjustment work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학습적 교실환경과 유아의 일과활동 선호도 간의 관계

        전은옥(Jun, Eun Ock),최나야(Choi, Na Y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학습적 교실환경과 유아의 기관일과활동 선호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에서 표집한 어린이집 6기관과 유치원 15기관 총 21개 기관의 만 5세 유아 255명과 해당 학급교사 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t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이 좋은 집단의 유아들이 그렇지 못한 집단의 유아들보다 개인 동적 활동을 제외한 모든 활동에 대해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학습적 환경 역시 우수한 집단에 속한 유아들이 모든 종 류의 일과활동에 대해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물리적, 학습적 교실환경과 유아의 일과활동 선호도의 하위 요인들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실환경의 하위 요인들이 유아의 기관일과활동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학습적 환경의 하위 요인인 ‘유아의 선택기회’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과활동의 종류에 따라 ‘교수 매체 상태 및 사용’, ‘유아의 선택기회’, ‘교실 분위기’, ‘안전성’ 요인이 유아의 활동 선호도에 차별화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실환경이 유아들의 일상적인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classrooms and the young children’s preferences for daily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totally 255 5-year-olds and 21 teachers from 6 child-care centers or 15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cheon, Gye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provi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ly, children of better classroom environments showed stronger preferences for daily activities than children in poor environments. Secondly, most sub-factors of physical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classrooms and children’s preferences for daily activiti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ly, ‘Children’s choice opportunities’ was proved to affect their preferences for daily activities in institutions. And differentiated factors such as ‘Status and availability of instructional media’, ‘Children’s choice opportunities’, ‘Classroom atmosphere’, and ‘Safety’ had effects on children’s preferences for each type of daily activities.

      • KCI등재

        어머니의 학습관여, 가정문해환경, 취학 직전 유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해능력 간의 관계

        전은옥(Jun, Eun-Ock),최나야(Choi, Na-Y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학습관여, 가정문해환경, 유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해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취학을 앞둔 유아의 문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유치원 총 9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학급의 유아 236명(남아 114명, 여아 122명)과 그 어머니, 그리고 담당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문해능력은 어머니의 학습관여, 가정문해환경, 유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유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유아의 문해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문해환경은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가정문해환경과 유아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해능력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고, 유아의 자기주도학습능력도 문해능력을 설명함을 보여주며, 이 시기에 문해능력 향상에 다양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literacy of children’s who are about to go to school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bility of 5-year-old children’s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mother s learning involvement,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or 236 children’s(114 boys and 122 girls) and their mothers and 17 teachers in charge of the 5-year-old clas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nine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Data analysis used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As a result first, First, children’s literacy abil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 s involvement in learning,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heir ow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mother s involvement in learning and the children 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 s literacy ability. But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had an indirect effect. That is, mother s involvement in learning affects home literacy environment, children 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s also explains their literacy ability.

      • KCI등재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은옥(Jun, Eun-Ock),최나야(Choi, Na-Y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2

        본 연구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의 만 5세 유아들의 어머니 2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행복감이 높으며, 유치원을 방과후까지 이용하는 경우 어머니와 유아의 행복감 수준이 더 높았다. 또한 취업모의 행복감이 비취업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와 교사가 평가한 유아의 행복감은 서로 상관이 높으며, 하위요인 중 "건강"에서만 어머니가 교사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어머니의 학습지도 능력과 건강관리 능력, 가족관계와 자립 및 성장에 대해 느끼는 행복감이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와 유아의 행복감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of mother and preschooler with a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For this study, data from 271 dyads of mothers and 5 year-ol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girls were happier than boys, and so were working mothers than their counterpart. Both mother and child showed more happiness if the child attended full-day class.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teaching and health management, and happiness for family relations and one"s own independence;growth affected the happiness of child. Parenting efficacy worked as a full mediation variable between the happiness of mother and preschooler.

      • KCI등재

        아동의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열의 매개효과

        전은옥(Eun-Ock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in children. In this study,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the 4th grade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ere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21 children (1,152 boys, 1,169 girls)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engagement and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Second, an indirect effect of academic enthusiasm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Thi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engagement of the children w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support methods to reduce smartphone dependence in children and practical implications at the preventiv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