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적 태도 및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유영(Jeon, Y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적 태도 및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62명(실험집단 31명, 비교집단 3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총 14주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어적 태도에 대해서는 실험집단 유아의 말하기 태도, 읽기 태도, 쓰기태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높았으며,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적 능력에 대해서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 유아의 언어 표현력,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점수가 높았으며, 두 집단 점수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적 태도와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균형적 접근을 취하여 유아의 종합적인 언어발달을 도모하는 언어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program on language attitude and ability. This program was applied to sixty-two 5-year-old children(31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t ‘D’ kindergarten in Guri, Gyeonggi-do, for fourteen weeks(April, 2010 - July, 2010).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speaking attitude, reading attitude, and writing attitud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read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language function.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장애 관련 그림책에 포함된 장애에 대한 편견 분석

        전유영 ( Yoo Young Jeon ),이은영 ( Eun Young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장애 관련 유아 그림책에서 유아들이 제거할 수 있는 편견은 무엇이며, 갖게 할 수 있는 잠재적 편견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를 가진 인물이 등장하는 유아용 그림책 중 생활동화 장르에 속하는 그림책 17권을 선정하였으며, Siller(1969)가 주장한 7가지 장애인에 대한 편견 척도(무조건적 거부, 왜곡된 동일시, 추론된 정서장애요인, 손상되지 않은 타 기능의 제한 요인, 권위적인 태도, 친교의 거부, 접촉 시 긴장요인)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를 위한 장애 관련 그림책에서 유아들이 제거할 수 있는 편견은 왜곡된 동일시, 추론된 정서장애요인, 손상되지 않은 타 기능의 제한 요인, 권위적인 태도, 친교의 거부, 접촉 시 긴장요인으로 나타났고, 그림책에 존재하는 잠재적 편견으로는 왜곡된 동일시, 권위적인 태도, 친교의 거부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judices towards disabled people in children`s picture books. 17 samples are chosen from the picture books that have one or more characters with some disabilitie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prejudices towards disabled people which children can eliminate by reading picture books? 2. What are prejudices towards disabled people which are found in children`s picture books? The frame of analysis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Siller`s DFS(Disability factor scale), which is categorized by seven general negative attitudes in society towards disabled people. The seven negative attitudes of DFS are generalized rejection, distressed identification, inferred emotional consequences, imputed functional limitation, authoritarian virtuousness, rejection of intimacy, and interaction str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ejudices that children are able to eliminate through children`s picture books are distressed identification, inferred emotional consequences, imputed functional limitation, authoritarian virtuousness, rejection of intimacy, and interaction strain. 2. Based on the analysis of other prejudices are found in children`s picture books, these books include the prejudices of distressed identification, authoritarian virtuousness, and rejection of intimacy.

      • KCI등재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수준별 경험 분석

        전유영 ( Yoo Young Je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만 5세 유아가 언어능력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능력 상위집단 유아와 하위집단 유아가 짝을 지어 협동적 언어활동을 수행하면서 14주 동안 경험한 것을 관찰, 면담 등을 통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언어능력 상위집단 유아의 경험은 ‘지식과 기술 정교화하기’, ‘일방적 주도에서 분담과 배려로 함께 이끌기’로 나타났고, 언어능력 하위집단 유아의 경험은 ‘보다 쉽게 지식과 기술 습득하기’, ‘의존성에서 적극성을 보이며 함께 이끌기’로 나타났다. 유아와 교사는 또래 쌍 구성활동의 의미로 ‘또래와 함께 해서 즐거운 활동’이라는 사회·정서적 측면과 ‘또래와 함께 해서 유익한 언어활동’이라는 인지적 측면의 가치를 드러냈다. 이 연구에서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유아의 경험 분석을 통해 협동적 언어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유아를 위한 언어교수-학습방법 적용에 시사점을 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5 year old children’s differentiated experiences while they participated the cooperative language activities in a peer pairing condi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level group and low-level group, after a language ability test, and then they made pairs. Each pair consisted of a child from the high-level group and a child from the low-level group. Cooperative language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m for 14 week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high-level group elaborated their previous knowledge and skills and changed one-sided leading into leading with assigned roles and consideration to peers while they were solving the problems with their peers. Second, children in low-level group easily learned knowledge and skills from peer tutors and they showed more activeness and participation. Third, both children and teacher recognized that cooperative language activities in a peer pairing condition were interesting and useful. So I confirm the educational values and effects of cooperative activities for early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유영 ( Yoo Young Je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경험하며 부모가 인식한 변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두 학급의 부모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14주간 유치원-가정연계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은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모의 언어교육에 대한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을 경험하며 부모가 인식한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놀이를 통한 언어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기존의 교육방식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지며 언어교육에 대한 이해가 변화되었다. 또한 부모는 본 연구의 활동을 통해 자녀의 현재 수준과 능력에 대한 이해의 변화, 가족 현상의 변화, 유치원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변화를 인식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home links language activities on parents` attitude toward language education quantitatively and to analyze the changes that parents recognized qualitatively. The samples were 62 five-year-old children`s parents at ‘D’ kindergarten in Guri, Gyeonggi-do.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14 weeks kindergarten-home links language activities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and implemented these activities between 2010/04/12 and 2010/07/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ost-test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the score of parents` attitude toward language education. 2. The changes that parents recognized through these activities were the changes of understanding of language education,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phenomenon of family, and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program.

      • KCI등재

        패러디(parody) 동화 관련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유영(Jeon Yoo-Young),이은영(Lee Eu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패러디 동화 관련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 총 50명의 유아들에게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원작 전래동화와 그 작품의 패러디 동화를 감상한 후 유아의 비판적 사고를 요구하는 동화 관련 활동을 하도록 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원작 전래동화만 감상하도록 하였다. 두 집단 유아들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현경(2002)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관점 인식하기, 생각을 검증하기 판단하여 이유를 말하기, 결과 예측하기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의 가지 하위항목으로 나누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패러디 동화 관련 활동은 자신의 생각 검증하기와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패러디 통화 관련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ctivities with parody tales affected to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50 rive-year-old children in D kindergarten in Guri city of Gyunggi province. For this study, 2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12 sessions of activities related to parody tales after they listened to 6 fairy tales and 12 parody tales. Other 25 children in comparative group were treated to listen to only 6 fairy tales.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bility, we modified the tool developed by Kim Hyun-Kyoung (2002) which was consisted of 5 contents, recognizing of others' perspective, inspecting of their own thought, reasoning for their own judgement, predicting possible results, and problem solving reasonably. The test was taken twice for pre-test and post-r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rest using SPSS 12.0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especially inspecting their own thought and problem solving reasonably. So we could reach the decision that activities with parody tales affected to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기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

        권태민 ( Tae Min Kwon ),전유영 ( Yoo Young Je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만 3, 4, 5세 자녀를 둔 아버지 59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상호작용 정도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인식과 상호작용 간 관계에 대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독서활동에 대한 자녀의 반응 및 요구와 아버지의 어려움 및 요구에 대해서는 빈도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들의 인식은 높았으며, 이는 아버지의 학력, 직업, 월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독서활동에 대한 인식에서 자녀의 사고력이나 이해력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들이 자녀와 주고받는 상호작용의 수준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셋째, 독서활동 시 자녀의 반응과 요구에 대해 살펴보면, 아버지가 독서활동을 제안하는 경우 대부분의 유아가 잘 참여하며, 자녀가 책을 읽어달라고 요구하는 대상은 어머니가 주를 차지한다고 아버지들은 응답하였다. 넷째, 자녀와의 독서 활동 시 어려움에 대해 아버지들 대부분이 어려움이 없다고 하였지만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 책 구입 시에는 흥미와 수준에 적합한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책 읽어주는 동안은 재미있게 읽어주기가 어렵다는 반응이 가장 높았으며, 책을 읽은 후에는 계속 읽어달라는 요구에 응하기가 힘든 점을 가장 어려운 점이라 반응하였다. 그리고 독서활동을 할 때 어머니와의 다른 점으로는 상호작용의 질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와의 원활한 독서활동을 위해서는 발달에 적합한 권장도서에 관한 정보를 알기를 희망하였다. 다섯째,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독서활동 시 아버지와 자녀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ther`s awareness and interactions of picture book reading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2 fathers who have young children(age 3-5)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fat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ading books to their children. Second, fathers`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were mediocre. Third, fathers recognized that their children more often require their mother to read picture book. Fourth, fathers needed information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books for their children. Fifth, fathers’ awareness of picture book reading with young children has a positive corelation with interaction.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안은정 ( Eun Jung An ),전유영 ( Yoo Young Je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반 유아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이다. 본 연구에서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을 구성한 후 이를 실험집단에 10주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은 실험집단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소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은 실험집단 유아의 공격성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의 하위요소인 대인 공격, 대물 공격, 언어적 공격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play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32 children of 3 years old in Kyung-Gi province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10 week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us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group play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uch as;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initiated consideration, attempting to approach, sharing, and empathy and controlling emotion. It also had positive impact on reducing young children`s aggression such as; interpersonal attack, the object attack, and the verbal attack.

      • KCI등재

        보육교사 휴게시간 운영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비교

        전필선(Jeon, Pil-Sun),전유영(Jeon, Y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 휴게시간 운영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차이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장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425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보육교사 휴게시간 의사결정과정의 적절성, 기획 및 편성의 적절성, 개선 노력의 적극성, 휴게시간 운영에 대한 기대효과, 휴게시간 운영에 대한 요구에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육교사 휴게시간 의사결정과정의 적절성, 기획 및 편성의 적절성, 개선 노력의 적극성에서 원장의 인식 수준이 보육교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휴게시간 운영에 대한 기대효과, 휴게시간 운영에 대한 요구는 원장보다 보육교사의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휴게시간 사용에 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합의점을 도출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and demands between directors and daycare teachers on the break time management.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directors and daycare teachers, and 425 copies were finally used as research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and the daycare teachers 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break time decision-making process, the adequacy of planning and organization, active efforts for improvement, the expected effect on the break time management, and the demands for the break time management. The level of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daycare teachers 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daycare teachers, the appropriateness of planning and organization, and the active efforts to improve. On the other hand, the daycare teachers expressed the expected effects on the break time management and the demands for the break time management higher than that of the dire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draw an agreement between the directors and the daycare teachers on the use of recess hours and to establish effective policies.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바깥놀이 운영의 장애요인과 교사의 역할 및 영역별 활동 운영 수준 분석

        곽희연(Kwak Hee-Yeon),전유영(Jeon Yoo-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바깥놀이의 장애요인과 바깥놀이 운영 시 교사의 역할 및 영역별 활동 운영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바깥놀이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 276부를 유효자료로 통계처리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의 교육적 가치와 효과에 대해 다양한 감각적 경험과 대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바깥놀이운영의 장애요인에 대해 교사 측면에서는 연령에 따라 실시 가능한 바깥놀이 프로그램을 충분히 알고있지 않은 점, 학부모 측면에서는 날씨에 대한 학부모들의 우려, 환경적 측면에서는 미세먼지, 황사 등의 불가피한 환경을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바깥놀이에 대한 계획 및 실시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생활주제와의 연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바깥놀이를 중요한 일과로 생각한다는 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 운영 시 교사의 역할은 어느 정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감독자의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가자의 역할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바깥놀이 운영 시 영역별 활동 운영 수준은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산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목공놀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outdoor play implement by analyzing obstacles of outdoor play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s roles, and the level of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300 kindergarten and day care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27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valid data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 educational value and effects of outdoor play, which helped children develop various sensory experiences and gross and fine motor development. In terms of the obstacles of outdoor play, teachers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outdoor play programs that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age. And they also recognized parents’ concerns about weather, and inevitable environment mat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s and yellow dust as obstacle factors in the aspect of parents and environment. Second, the level of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outdoor play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level.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with the life theme appeared to be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outdoor play as an important routine was the lowest. Third, teachers’ role in outdoor play was relatively high, supervisor’s role was the highest, and the role of evaluator was the lowest. Fourth, the level of activities by area was normal, the highest in the outdoor walking and the lowest in the woodworking play.

      • KCI등재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의 실태 및 요구 분석

        김선진 ( Kim Sun-jin ),전유영 ( Jeon Yoo-young ),이은영 ( Lee Eun-yo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자녀를 둔 아버지 280명과 유아교사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며, 의사소통의 인식은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의사소통의 만족도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내용의 실태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기관에서의 생활, 가정에서의 생활, 기관 운영 순으로 높았고, 기관에서의 생활과 기관 운영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방법은 아버지와 유아교사 모두 일방적 의사 소통이 높았고, 일방적, 쌍방적 의사소통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아버지는 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요구가, 유아교사는 기관에서의 생활과 가정에서의 생활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생활에 대한 요구는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요구는 아버지와 유아교사 모두 일방적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방적 의사소통과 쌍방적 의사소통의 요구에서 모두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needs of communication between fathers and preschool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0 fathers and 182 preschool teachers with children 3-5 years old attending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kindergartens or day care center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between fathers and preschool teachers was normal, and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norma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cond, in terms of the current topics of communication between fathers and preschool teachers, the topics of the two group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life, daily life at home, and institution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topics of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life and institution management. In the communication method, both fathers and preschool teachers had higher one-way communicatio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e-way and two-way communication. Third, the demands of the fathers for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life were high, and the demands for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life and daily life at home were high in preschool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need for daily life at home. In terms of communication methods, both fathers and pre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demands for one-way communication than two-way communication. In both types of communi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