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공간과 반영웅들의 재현 정치 ―2019 뮤지컬-오페라의 독립운동

        전우형(CHON Woohyung) 역사비평사 2020 역사비평 Vol.- No.130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one aspect of the rift in the political politics of commemoration performed by musicals and operas in 2019. And the tentative goal of the writing is to identify the dynamics of this fissure carrying out some sort of representational politics of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history. The musicals, The Eyes at Dawn and Opera 1945, were the media of commemoration. They boldly escaped the content and form of musical and operas of the past, reinvent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who gave reflection to the commemoration itself. The Eyes at Dawn and 1945 do not deal directly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liberation and the people and scenes involved in the dramatic style of the memorial. he archiving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y and culture outsid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the two works through the in between space and antiheros is related to the will to create a close dialogue space between it and the present. The Eyes at Dawn and 1945 reinforce the meaning of the memorial to presentize history. The two works did not remain in the realm of commemoration because they did not fully reflect the problems of history raised in Korean society. At least the musical The Eyes at Dawn and Opera 1945 are commemorations of those who have not returned, come back, uncovered, revealed, remembered or recorded, and never been celebrate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s performed in that it is a memorial that has never been done before.

      • KCI등재

        자막의 세계, 북한 조선어 보기와 초국적 공동체에 관한 상상

        전우형 ( Woohyung Chon ) 겨레어문학회 2022 겨레어문학 Vol.68 No.-

        이 글은 최근 북한과의 협력을 재현한 한국영화에서 통역과 번역이 빚는 남북관계의 역학을 탐문하고자 한다. 영화에서 통번역의 역사는 영화의 역사와 일치하기도 한다. 통역과 번역은 말 또는 글에 관한 말과 글로서, 말에 충실하거나 부수적인 것만이 아니라 말과 글의 공식성에 개입하거나 교란하는 경계적인 언어이다. 영화에서 자막과 통역은 영화가 재현하는 현실에 관해 다양한 입장을 제안하고 다른 세계를 상상하는 교차와 접촉의 지대를 재현하는 장치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영화 속 자막 및 통역을 관계에 관한 새로운 접촉지대로서 주목했다. 영화 <모가디슈>(2021)와 <강철비2: 정상회담>(2019)에서 자막과 통역은 북한을 하나의 국가로 상상하는 접촉지대를 발견하는 것과 동시에 남북, 남북과 국제사회 사이의 관계에 관한 은폐된 입장을 호명하는 재현의 언어이자 장치이다. 이렇게 영화 속에서의 자막과 통역은 남북을 비롯해 국제사회와 남한, 그리고 북한 사이의 관계에 관한 일방향성을 문제시하고 그것에 관한 대안적 공동체를 상상함으로써 관계의 다자성과 다층성에 대한 욕망을 현전한다.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dynamics of inter-Korean relations created by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South Korean films that recently represented North Korea.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film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history of film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re spoken and written words or writings, which are not only faithful to or incidental to the spoken word, but are borderline languages that interfere with or disturb the formality of the spoken or written form. In a film, subtitles and interpretation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devices that represent the zone of intersection and contact that suggests various positions on the reality the film represents and imagines a different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focuses on subtitles and interpretation in films as new contact zones for relationships. The films Mogadishu(2021) and Steel Rain 2: Summit(2019) represent the contact zone imagining North Korea as a state through subtitles and interpretation, respectively, while at the same time reprodu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the North and the South,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ropose a new position. In this way, subtitles and interpretation in the film present the desire for multilaterality and multiscalarity of the relationship by imagining an alternative public body by questioning the one-way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North and South Korea.

      • KCI등재

        이상 소설의 영화적 제휴 양상과 의미 : 소설 〈실화〉의 환술과 스크린 이미지

        전우형(Chon Woohyung)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3

        이상 문학을 거울에 비유할 수 있다면, 그것은 항상 작가 이상이나 문학의 이미지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다양한 외부의 이미지들마저 함께 반사하는 이상스러운 거울이다. 그리고 그 거울을 들여다 볼 때면 항상 그 이미지들에 매료되고 이상 문학의 본질을 그곳에서 구하기도 한다. 이는 흔히 이상 문학의 탈경계적 성격이라고 지시되는데, 이때 영화의 간섭이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크다. 이 논문은 이상 문학의 탈경계성을 구성하는 매개로서 영화와의 제휴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씌었다. 그간 이상 문학의 영화적 상상력을 주제로 한 연구는 이중노출과 같은 영화의 기본적인 표현기법의 문면화 방식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 분명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런 식의 연구는 이상 문학세계를 오히려 후퇴시킬 우려가 있다. 이상의 문학을 영화의 일반적인 형식과 효과 너머의 거울로 비추어보는 일, 혹은 이상의 영화이해가 갖는 독특함과 그 실험적 형식을 살펴보는 일이 필요한 것이다. 이때 독특함은 영화, 특히 르네 끌레르 영화에 대한 창조적 해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영화의 본질에 대한 가장 근접한 이해를 토대로 하고 있기도 하다. 도일 이후 유일한 소설인 〈실화〉에는 같은 시기영화에 대한 그의 관심이 급상승하는 계기이기도 했던 르네 끌레르 영화와의 제휴 양상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현실과 환상의 둔갑과 병치라는 르네 끌레르식 영화의 특징은 스스로를 속이며 존재하는 현실과 환상의 환술, 그리고 화려하지만 아무것도 반사하지 않는 스크린이라는 독특한 거울구조로 변하여 이상의 문학세계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기입되었다. 이상이 끈질기게 천착한 기호놀이는 적어도 〈실화〉에 이르러 ‘부재하는 기표’와 ‘의식적 환상’이라는 영화적 상상력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처럼 보인다. 이상 문학의 영화적 제휴양상이 갖는 의미는 그가 맞닥뜨린 현실의 환멸을 몽환적이거나 화려하게 전시하고 그것이 실은 아무것도 반영하지 못하는 스크린 위에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그 환멸로부터 벗어나는 실험적 형식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how Yisang's literature "crosses the boundary"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affiliation with cinema. His later works remarkably shows the influences of cinematic imagination, especially those of Rene Clair. True to cinema's essential qualities, Rene Clair's films tend to juxtapose reality and illusion. In his films, showy signifiers on screen do not yield any signified. Yisang has shown a predilection for Rene Clair's flims and "Shil-wha"(losing flowers), written by Yisang after his visit to Tokyo, attests to his influence. Reverberating with Rene Clair's flims, reality is transformed into illusion and vice versa in this novel. This can amount to 'magic art', a representative rhetorical device in Yisang's literature. This device reveals an empty signifier without any signified in it, accentuating Yisang's leading motif of "a modified mirror" paralleling cinema screen. In a word, this affiliation with cinematic imagination is crucial to Yisang's literature in general. Through the infinite play of the signifiers emptied of the signified and 'the conscious illusion,' Yisang could free himself from his frustration with the abject daily life and the depraved modern civilization he experienced in Tokyo as well as Kyungsung.

      • KCI등재

        “평양 로케이션”, 평양에서 영화를 배우는 사람들

        전우형 ( CHON Woohyung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1 No.-

        이 글은 분단체제와 이념대립 등을 우회하는 북한과의 접촉지대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접근은 다중적이고 다자적인 접촉지대가 금기와 적대를 내포하는 월북을 대신해 북한으로의 이동과 만남을 교류와 공존으로 재인식할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론이다. 이는 그간 월북이 제한해 왔던 분단체제와 이념대립을 초월한 공동체와 네트워크가 수행해 온 역학에 대한 탐문이며 이를 통해 남북 경계에 관한 규범화된 기억의 다른 순간을 포착하는 여정이다. “평양 로케이션”은 영화제작을 위한 접촉 자체도 그렇거니와 북한의 과거와 현재를 재현하는 과정에서 북한을 둘러싼 경계의 다른 기억에 개입한다. 2010년대 <안나, 평양에서 영화를 배우다>,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 등 위로부터의 국외 합작영화로 불렸던 이 영화들은 사실 2000년대 <천리마 축구단> 제작을 계기로 모인 외국 영화인들이 상상하는 아래로부터의 다중적이고 다자적인 북한과의 접촉지대 구축과 연동되어 있다.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니콜라스 보너(Nicholas Bonner)의 활동을 감안할 때, 이 접촉지대는 국가 간 간섭이 비교적 덜 미치는 영화제와 비엔날레 등 초국적 공동체를 통해 북한의 영화언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거점이었다. 이렇게 평양 로케이션은 북한을 둘러싼 경계를 분할과 통제 너머 공존의 접촉지대로 상상하는, 적어도 그것에 관한 새로운 경합장을 여는 재현의 장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a contact zones with North Korea that bypasses division system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This approach is a theory to verify the possibility that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contact zones will re-recognize movement and meeting with North Korea as exchange and coexistence on behalf of North Korea, which implies taboos and hostility. This is an inquiry into the dynamics carried out by communities and networks that transcend the division system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that North Korea has restricted so far, and through this, it is a journey to capture other moments of standardized memory of the inter-Korean border. “Pyongyang Location” intervenes in different memories of the boundaries surrounding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North Korea’s past and present, as well as the contact itself for film production. These films, which were called overseas joint films such as Aim High in Creation! and Comrade Kim Goes Flying in the 2010s are in fact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contact zones with North Korea imagined by foreign filmmakers in the 2000s. Considering the activities of Nicholas Bonner,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is, the contact zone was the base for forming North Korea’s film language network through transnational communities such as film festivals and biennales, which have relatively less interference between countries. In this way, Pyongyang Location was a device of reproduction that opened at least a new battlefield about it, imagining the boundaries surrounding North Korea as a contact zone for coexistence beyond division and control.

      • KCI등재

        다중적 국경경관(Multi-scalar Borderscapes)과 접경의 재현정치

        전우형(Woohyung CHON)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Vol.- No.136

        This paper note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borderscap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tact zones as research texts and a methodology. The process by which borderscapes make thought about borders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makes them see contact zones as an alternative space and dynamic frame of thought that clearly reveals the limits of national, ethnic, and dichotomous thinking. Borderscapes exist in the borderlands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border and borderlands exist away from it. Art Hotel Re:maker recently installed in Goseong is an example of the former, the documentary film All live Olive with the West-Eastern Divan Orchestra is examples of the latter. Art Hotel Re:maker transforms the national and security-oriented borderlands’ landscape into a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platform. Orchestra and documentary film also acquire the meaning of borderscapes as devices for revisiting borders and representing transboundary life by infiltrating borders or borderlands into the daily life of everyone in the world. This aspect of existence of the borderscape extends the borders to contact zones with the border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as a methodology seeking liberation from borders. The contact zone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border study in that it distances the border from the existing marginalized image. Multi-scalar bordercapes make contact zones into nearby subjective place rather than distant other’s space, and approach the possibility of contact zones as a methodology by juxtaposing the origins of pre-border and the future of trans-borders. Contact Zones research and contact zones as a methodology are closely linked with social practice that eventually discovers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borderscapes and creates a variety of platforms for reciprocating the values of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 KCI등재

        구보와 카메라 눈(kinoglaz), 다큐멘터리 형식의 문학적 실험

        전우형(chon woohyung)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이 논문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영화적 상상력의 특징이 카메라 눈(kinoglaz)과 다큐멘터리 형식의 모방이라는 점을 논증하기 위해 씌었다. 이 과정은 우선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창작방법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고현학과 산책자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해소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양자 사이에 영화의 매개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 작품에서 영화의 영향은 기존의 논의에서처럼 이중노출 등의 세부적인 흔적으로만 존재한다기보다 현대사회에 대한 작가의 세계인식과 창작방법의 본질적인 차원을 구성하는 것으로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논의가 추상적인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며, 이를 위해 현대적 세계인식과 창작방법의 근본적인 속성을 보여주는 명징한 영화 형식을 분석틀로 삼아야 한다. 공교롭게도 그 당시 영화계에서 다큐멘터리는 자기 성찰적이며 도시 관찰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표현 형식으로 선보였던 사실이 있다. 자신의 키노글라즈 이론을 토대로 러시아의 도시를 필름에 담아냈던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Chelovek s Kinoappartom, 1929)를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이 연구는 텍스트 사이에 존재하는 카메라와 소설가의 작품 내 존재 양상처럼 외적 형식의 유사성을 밝히는 데에서 시작하여 두 텍스트 바깥에 놓여있는 현대사회라는 또 다른 텍스트를 읽고 재현하는 ‘눈’의 본질적 혈연관계를 확인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영화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이 혈연관계, 즉 인간의 눈을 뛰어 넘는 카메라 눈이 결국 인간적인 내면을 획득하는 계기가 만들어지는 자기 반영적 서사라는 점에서 단순한 상호텍스트성을 넘어 현대사회의 새로운 서사양식으로서 의미화가 가능하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cinematic imagination on One Day of Gubo, the Novelist is the emualtion of documentary film style by application of KInoglaz-camera eye. This argue, first, might be a clue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which the recent argumentations about Modenology can be inconsistent with Flâneur as Park Taewon’s method of writing novels. Because the documentary film style appear to have some possibilities to be connected to those two methods. Fortunately, there was a documentary film with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Soviet union, 1929. This is Chelovek s Kinoappartom, directed by Dziga Vertov. This film Closely parallels the one day of gubo, the Novelist. The existence of camera in the film is similar to the novelist into the novel. And two texts are made of self-reflective narrative. So far, there is no evidence that Park Taewon watched that film. However, Dziga Vertov devised the Kinoglaz and firstly experimented that in the film, Chelovek s Kinoappartom. This Kinoglaz means the theory of camera eye, which starting with Choi Jaeso, lots of other critics and scholars mentioned on Park Taewon’s way of wirting novels. The Kinoglaz which Vertov devised, was adapted for the way of object, neutral and dynamic observation to daily life in Seoul in Park Taewon’s novel. Futhermore in his novel, camera which are beyond human eye would gain the inner world of mankind. So this has meaning that novel reached to discover the way of recognizing and representing modern world by the interaction with camera eye and human inside.

      • KCI등재

        북중러 접경 초국가적 시민사회 건설의 서사성 연구

        전우형(woohyung CHO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이 글은 ‘북중러 접경 두만강 다국적도시’ 개발계획에 내재한 탈분단 및 평화구축의 서사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김석철의 두만강 다국적도시 개발계획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 그리고 동북아시아 관계의 화해와 공존에 관한 서사이다. 국가의 등장으로 멈춘 접경의 시간을 재생하는 원형 성채도시라는 이 공간의 외형은 국가 이전의 공동체에 대한 지향이면서 동시에 국가 중심의 현존하는 세계와의 단절, 또는 그것으로부터의 해방을 표상한다. 이처럼 무엇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할 개발계획에 내포된 잠언적 표상들로 인해 김석철의 두만강 다국적도시 구상안은 하나의 서사적 세계로 이월된다. 이 개발계획은 2014년 언론에 의해 공개되자마자 정부로부터 부인되는 운명을 맞이하면서 서사적 긴장이 극대화되었다. 김석철의 개발계획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 환대하는 동북아시아 사이의 관계에 관한 서사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두만강 다국적도시 구상안은 국가주의와의 경합을 내포하고 있다. 정부가 서둘러 이 개발계획을 공식적으로 부인한 것은 이것이 수행하는 재현정치로 인해 국가주의의 한계에 맞닥뜨렸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김석철은 정부가 수용하지 않은 이 개발계획을 전시회, 심포지엄, 출판과 언론을 통해 서사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현상은 다국적도시 구상안에 내포되어 있었던 국가주의와 경합을 벌이던 모델들이 사회적으로 실천되는 과정이기도 했다. 국가 중심이 아닌 개인과 대중들 사이의 다자적 협력 모델로서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과정이자, 국가가 주인이었던 평화와 통일정책에서 국가의 자리를 지우는 실천들이 이 다국적도시 구상안을 매개로 이어졌다. 김석철의 북중러 접경 다국적도시 구상은 개발이라는 언어로 씌었으나 그 언어로는 담을 수 없는 환대하는 공동체로서의 한반도와 동북아시아를 상상했다는 점에서 서사적 산물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narrative of post-division and peace-building inherent i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Tumen River Multinational City bordering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Kim Seok-cheol s Multinational City Development Plan on the Tumen River is a narrative of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of Northeast Asian relations. The outer form of this space, called an archetypal fortress city that represents the bordering time stopped by the emergence of the state, is an orientation for the pre-stat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s a liberation from the existing world centered on the state. Above all, thanks to the proverbial representations implied in the development plan, which should be more realistic and concrete, Kim Seok-cheol s concept plan for the Tumen River multinational city is carried over to a single narrative world. As soon as this development plan was released by the media in 2014, it faced the fate of being denied by the government, maximizing the narrative tension. Since Kim Seok-cheol s development plan began with a narra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elcoming Northeast Asia, the concept of the Tumen River multinational city implies competition with nationalism. It is possible that the government hastily officially denied the development plan because it felt a threat to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t carried out. Kim Seok-cheol began narrating this development plan, which the government did not accept, through exhibitions, symposiums, publications and the press. This phenomenon was also a process in which the models competing with the nationalism contained in the concept of multinational cities were socially practic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overnance as a model of multilateral cooper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 public, not centered on the state, and the practice of clearing the position of the state in the policy of peace and unification, where the state was the master, led to this multinational city initiative. Kim Seok-cheol s concept of a multinational city bordering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was written in the language of development, but it is narrative in that he imagined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s a welcoming community that could not be contained in that language, and in that he carried out a representational politics of nationalistic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