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철결핍빈혈 환자에서 관찰되는 위장관 질환의 임상양상

        배중호 ( Joong Ho Bae ),한동수 ( Dong Soo Han ),김종표 ( Jong Pyo Kim ),백창희 ( Chang Hee Baek ),정용우 ( Yong Woo Chung ),전용철 ( Yong Cheol Jeon ),손주현 ( Joo Hyun Sohn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1

        목적: 성인 남성과 폐경기 여성에서 철결핍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위장관 출혈이며, 출혈 관련 위장관 병변을 발견하기 위해 상, 하부 위장관내시경을 사용한다. 이번 연구는 철결핍빈혈이 있는 환자에서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진단된 위장관 질환의 임상적 특징과 출혈 연관 병변에 대한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철결핍빈혈로 진단 받은 189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 가운데 상, 하부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7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성 출혈이 있거나 소화기계 이외의 다른 원인에 의한 빈혈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총 78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49.3세였고 남녀 비는 1:2.7이었으며, 27.7%에서 출혈 연관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에서 확인된 출혈 연관 병변은 소화성 궤양(13.6%), 미란 위십이지장염(12.6%), 위암(5.1%)의 순이었고, 하부위장관내시경검사에서는 대장 용종(11.5%), 염증성 장질환(6.4%), 대장암(3.8%)의 순이었다. 출혈 연관 병변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평균 연령은 54.8세로 병변이 없는 환자들의 평균 연령 43.7세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고(p=0.026), 출혈연관 병변이 있는 환자들의 세망세포비(reticulocyte count)는 2.8%로 없는 환자군의 2.0%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p=0.002). 하지만 혈색소, 평균적혈구용적(mean corpuscular volume, MCV), 혈청 철, 페리틴(ferritin), 총철결합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과 상, 하부 위장관 증상의 동반 여부 등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상, 하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발견된 철결핍빈혈 관련 위장관 병변들 중 상부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이 높았으며 위암이 대장암보다 많이 발견되었다. 고령이거나 세망세포비가 높을수록 출혈 연관 병변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향후 국내 실정에 맞는 철결핍 빈혈 관련 위장관 질환의 예측인자를 찾기 위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 Gastrointestinal blood los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Iron Deficiency Anemia (IDA) in men and postmenopausal women. Thus, esophagogastroduodenoscopy and colonoscopy are widely used to examine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search for the cause of ID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and biochemical variables that predicted the outcome of endoscopic findings in patients with IDA. Methods: Patients diagnosed as IDA from 2001 to 2004 were referred and retrogradely analyzed using their clinical, biological, endoscopic, and histological data. Results: 78 patients (21 men, 67 women: mean age 49.3 years) with IDA were enrolled, and 28.9% of patients had bleeding-related lesions.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evidence of bleeding was 54.8 year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43.7 years of the non-bleeding group (p=0.026). The reticulocyte count for the bleeding-related group was 2.8%, which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2.0% of the non-bleeding group (p=0.002).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upper GI lesions were higher than lower GI lesions. Endoscopy revealed a source of IDA in 28.9% of cases. For hospitalized patients with IDA, endoscopy should be recommended to those older than 60 years of age, and those with increased reticulocyte count. (Intest Res 2005;3:68-73)

      • KCI등재

        쇼트 비디오 플랫폼의 부정적인 정보요인 관점에서 살펴본 소셜미디어 이용중단의도: 중국 틱톡(Tik Tok)이용자를 중심으로

        전용철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쇼트 비디오 플랫폼은 이용자에게 표현의 자유, 재미를 비롯한 '밝은 면'을 제공하는 반면, 많은 부정적인 정보 요소들이 '어두운 면'을 구성하여 이용자의 지속적인 플랫폼 이용의도를 제약한다. 본 연구는 자극-유기체-반응(SOR) 모델을 프레임워크로 삼아 쇼트 비디오 플랫폼의 '어두운 면'이 이용자의 플랫폼 이용중단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콘텐츠 저속화 외에도 광고 방해성, 정보 모호성, 루머의 확산이 이용자 플로우 경험의 형성을 지연시키고, 이 네 가지 부정적인 정보 요인이 쇼트 비디오 이용자의 소셜 미디어 피로감을 유발하여 소셜 미디어 이용중단의도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동시에, 플로우 경험은 이용중단의도에 대한 세 가지 완화효과가 있다. 첫째, 소셜 미디어 피로감이 이용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고, 둘째, 소셜 미디어 피로감의 형성을 방해하며, 셋째, 이용자의 이용중단의도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킨다. Short video platforms provide users with a "light side" that includes freedom of expression and fun, but a lot of negative information elements constitute a "dark side" that limits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latform. This study adopts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as a framework for exploring how the "dark side" of short-video platforms influences users' intention to discontinue using the platforms. Our results show that in addition to content vulgarization, advertising interference, information equivocality, and rumor dissemination delay the formation of user flow experience, and these four negative information factors cause social media fatigue in short video users, leading to social media discontinuing intention. At the same time, the flow experience has three moderating effects on discontinuing intention. First, it moderates the effect of social media fatigue on discontinuing intention, second, it hinders the formation of social media fatigue, and third, it directly reduces users' discontinuing intention.

      • KCI등재

        Treatment of an Adult Patient with Atopic Dermatitis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specially Sa-Am Acupuncture

        전용철,이현배 사단법인약침학회 2016 Journal of Acupuncture & Meridian Studies Vol.9 No.6

        Atopic dermatitis is known not to respond well to many clinical treatments.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case of an adult woman with atopic dermatitis who was effectively treated by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soriasis based on lung dryness and heat and heart fire. The patient underwent acupuncture treatment based on the theory of Sa-Am acupuncture. Two meridians, the hand tai-yin meridian and the foot tai-yang meridian, were used to control lung dryness, lung heat, and heart fire. Using the LU9 and SP3 acupoints to tonify the hand tai-yin meridian, we could sedate lung dryness and heat, and using the BL67 acupoint to tonify the foot tai-yang bladder meridian, we could sedate heart fire. With this treatment, her symptoms completely disappeared in about 6 months. This case report provides a preliminary indication that TKM, especially Sa-Am acupuncture, can be effective for treating patients with psoriasis. Thus, further study is warra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