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난자의 형태와 난소의 보존 및 채취시기가 고양이 난자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연화,이명헌,김상근 韓國受精卵移植學會 2003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고양이의 불임 해결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써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목적으로 난자의 형태, 보존 및 번식주기별 난자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신선 난소로부터 회수한 난구세포부착 및 나화 난자를 각각 배양했을 때 GV 및 MI으로의 체외성숙율은 74.3%와 25.7%와 및 28.6%와 11.4%,로써 난구세포 부착 난자가 나화 난자의 비해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 2. 휴지기, 난포기 및 황체기 단계로 구분하여 채취한 난구세포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phology, preservation and reproductive cycle of oocytes in vitro maturation of cats oocytes and development of IVM embryo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Nuclear status of GV and MI of in vitro cultured(24 h) oocytes with and whithout cumulus cells were 74.3% and 25.7%, 28.6% and 11.4%, 77.1% and 5.7%, respectively, The rate of oocytes with cumulus cells was higher than that of denuded oocytes. 2. Nuclear status of GV and MI of in vitro cultured(24 h) oocytes recovered from ovaries collected at different stages of the reproductive cycle(inactive, follicular and luteal) were 88.6% and 6.5%, 60.0% and 11.4%, 77.1% and 5.7%, respectively. 3. Nuclear status of fresh and salts-stored oocytes with and whithout cumulus cells were 74.3%, 25.7% and 37.1%, 11.4% and 57.1%, 13.3%, 17.1%, 3.3%, respectively. The rate of oocytes with cumulus cells(13.3%∼74.3%) was higher than that of denuded oocytes(3.3%∼57.1%).

      • KCI등재

        EGF,, Glucose, 농도 및 Fibroblast Subculture가 핵이식 배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연화,왕애국,김상근 韓國受精卵移植學會 2005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핵이식 배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였다. 핵이식 배를 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 KCI등재

        Effects of EGF, $\beta-ME$, Glucose, $O_2$ Concentrations and Fibroblasts Sub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NT Embryos

        전연화,왕애국,김상근,Quan J. H.,Wang A. G.,Kim S. K.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2005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beta-ME$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핵이식 배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12.0\pm1.3\%,\;9.6\pm1.9\%,\;10.9\pm2.1\%,\;9.1\pm2.3\%$였다. 핵이식 배를 $25{\mu}M\;\beta-M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1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9.6\pm1.7\%,\;7.3\pm2.3\%,\;11.9\pm1.8\%$와 $7.4\pm2.1\%$였다. $\beta-ME$를 첨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beta-ME$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한 배보다 높은 체외발생율을 나타냈다. (p<0.05). 핵이식 배를 1.5mM glucos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9.4\pm2.2\%,\;6.8\pm2.7\%,\;10.9\pm2.4\%$와$8.9\pm2.6\%$였다. Glucose를 첨가한 NCSU-23과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한 배보다 높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냈다. 핵이식 배를 NCSU-23 및 PZM-3 배양액과 $5\%$ 및 $20\%$ 산소 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11.1\pm1.8\%,\;9.8\pm1.4\%,\;12.5\pm1.6\%$와$10.9\pml.5\%$였다. NUSU-23과 PZM-3 배양액에서 $5\%$ 산소 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20\%$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난자보다 높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났다. 섬유아세포를 NCSU-23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공여자세포로 이용하여 10 및 $11\~15\;passage$ 이내로 계대배양하였을 때의 융합율은 $60.0\~73.3\%,\;52.5\%$였다. 섬유아세포를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공여자세포로 이용하여 10 및 $11\~15passage$ 이내의 계대배양시의 융합율은 $60.4\~75.1\%$ 및 $58.7\%$였다.

      • KCI등재

        Effect of Media, Synchronization of Fibroblast Cells, Culture Time, $\textrm{O}_2$ Concentration and Activation on Developmental Rate of Nuclear Transferred Porcine Oocytes

        전연화,이만휘,김상근,Quan J. H.,Rhee M. H.,Kim S. K.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2004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돼지 태아 섬유아세포유래 공여세포를 미세주입에 의해 주입 후 재 조합한 핵 이식 배에 대한 배양액, 세포주기의 동기화, 배양시간 및 난자의 활성화에 따른 융합율과 체외발생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핵 이식 배를 NCSU-23, TL Hepes 및 TZM-3 배양액으로 1시간 및 8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분할율은 각각 15.6%, 14.0%, 15.0% 및 13.9%, 10.5%, 13.3%로서 배양액 및 시간에 따른 분할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공여핵원용 세포를 0, 8, 15시간 배양했을 때 G2/M기로의 체외발달율은 12.0%, 18.0%, 48.0%였다(p<0.01). 공여핵원용 세포를 12-24시간 배양했을 때 G2/M기로의 체외발달율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공여핵원용 세포를 10% FBS + NCSU-23 배양액으로 1-2, 6-8, 12-14일간 배양 후 핵 이식한 배의 융합율은 각각 60.0%, 73.3%, 62.5%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36.0%, 56.7%, 50.0%였다. 0.5% FBS + NCSU-23, 0.5% + TL-Heaps 및 0.5% + TZM-3 배양액으로 5% $O_2$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을 때 핵 이식배의 $\geq$2 cell 및 배반포로의 발생율은 각각 12.5$\pm$1.6%, 11.1$\pm$1.8%, 11.7$\pm$1.0%였으며, 10% $O_2$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을 때 핵 이식배의 $\geq$2 cell 및 배반포로의 발생율은 각각 10.5$\pm$1.5%, 9.8$\pm$1.4%, 10.0$\pm$0.8%였다 배양액과 $O_2$ 조건에 따른 유의한 발생율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constructed by the microinjection of cultured fetal fibroblast cells into porcine oocytes matured in vitro. Single fetal donor cells were deposited into the perivitelline space of enucleated oocytes, followed by electrical fusion and activation. Activated embryos were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ed with 5% FBS, at 38.5$^{\circ}C$ for 6 to 8 days in 5% $CO_2$ and air. In experiment 1, fusion rates of nuclear transfer embryos did not differ for fetal fibroblast cells incubated in 5% FBS + NCSU-23 or 5% FBS + TL Heaps medium, nor did fusion rates of donor cells differ between 1-8 hr incubation durations. Fusion rates for the four treatment subclasses ranged from 72.1% to 78.0%. In experiment 2, Pre-synchronization in medium containing 0.1 $\mu\textrm{g}$/m Hoechst 33342 an increase from 0 and 8 versus 15 h culture an increased percentage of porcine fibroblast cells in G2/M at the end of the synchronization period (12.4%, 17.5% and 47.6%). Neither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H 33342 (0.2-1.6 $\mu\textrm{g}$/$m\ell$) nor a longer exposure time (12h, 18h and 24h)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orcine G2/M fibroblasts. In experiment 3, fusion ra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ar nuclear transfer embryos constructed using donor cells cultured in 5% FBS + NCSU-23 medium for 1-2, 6-8 or 12-14 days (60.0%, 73.3% and 62.5%), respectively. The cleavage rate for nuclear transplant embryos using fetal fibroblast cells cultured for 1-2 days was 44.0%, significantly less than 56.7% and 50.0%. for 6-8 or 12-14 days duration of culture, respectively. In experiment 4, the proportions of nuclear transfer embryos that developed to the $\geq$2 cell and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culture medium (5% FBS + NCSU-23 or 5% FBS + TL-Heaps) or by $O_2$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5% vs 10%). Rates of development to the $\geq$2 cell stage ranged from 65.9% to 70.1%, and development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ranged from 9.8% to 12.5% for the four treatment subclasses. Developmental rate was highest for embryos cultured in 5% FBS + NCSU-23 under a gas atmosphere of 5% $O_2$ in air.

      • KCI등재후보

        EGF, β-ME와 Glucose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핵 이식 배의 발생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전연화,김상근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2005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β-ME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자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85.7±3.1%, 75.2±2.8%, 87.1±2.4%와 78.2±2.6%였으며 EGF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EGF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했을 때의 난자보다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난자를 25μM β-M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9.5±2.6%, 74.7±2.5%, 80.2±2.3%, 78.6±2.7%였고 β-ME를 첨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자를 1.5mM glucos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9.2±2.3%, 75.0±2.6%, 85.5±2.5%와 78.9±2.7%였고, glucose를 첨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보다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핵이식 배를 20ng/ml EGF, 25μM β-ME 및 1.5mM glucose를 첨가한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8시간, 144시간 배양하였을 때 2세포기 및 배반포로의 체외발생율은 각각 56.4±2.7%, 54.3±2.9%, 70.5±2.1%,, 69.6±1.5% 및 12.0±1.3%, 9.6±1.7%, 10.9±2.1%, 11.9±1.8%였다.

      • KCI등재후보

        배양액, 섬유아세포, 배양시간, 산소 농도 및 활성화 처리가 돼지 핵이식 배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연화,이만휘,김상근 韓國受精卵移植學會 2004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돼지 태아 섬유아세포유래 공여세포를 미세주입에 의해 주입 후 재 조합한 핵 이식 배에 대한 배양액, 세포주기의 동기화, 배양시간 및 난자의 활성화에 따른 융합율과 체외발생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핵 이식 배를 NCSU-23, TL Hepes 및 TZM-3 배양액으로 1시간 및 8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분할율은 각각 15.6%, 14.0%, 15.0% 및 13.9%, 10.5%, 13.3%로서 배양액 및 시간에 따른 분할율의 유의적인 차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constructed by the microinjection of cultured fetal fibroblast cells into porcine oocytes matured in vitro. Single fetal donor cells were deposited into the perivitelline space of enucleated oocytes, followed by electrical fusion and activation. Activated embryos were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ed with 5% FBS, at 38.5 for 6 to 8 days in 5% and air. In experiment 1, fusion rates of nuclear transfer embryos did not differ for fetal fibroblast cells incubated in 5% FBS + NCSU-23 or 5% FBS + TL Heaps medium, nor did fusion rates of donor cells differ between 1-8 hr incubation durations. Fusion rates for the four treatment subclasses ranged from 72.1% to 78.0%. In experiment 2, Pre-synchronization in medium containing 0.1 /m Hoechst 33342 an increase from 0 and 8 versus 15 h culture an increased percentage of porcine fibroblast cells in G2/M at the end of the synchronization period (12.4%, 17.5% and 47.6%). Neither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H 33342 (0.2-1.6 /) nor a longer exposure time (12h, 18h and 24h)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orcine G2/M fibroblasts. In experiment 3, fusion ra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ar nuclear transfer embryos constructed using donor cells cultured in 5% FBS + NCSU-23 medium for 1-2, 6-8 or 12-14 days (60.0%, 73.3% and 62.5%), respectively. The cleavage rate for nuclear transplant embryos using fetal fibroblast cells cultured for 1-2 days was 44.0%, significantly less than 56.7% and 50.0%. for 6-8 or 12-14 days duration of culture, respectively. In experiment 4, the proportions of nuclear transfer embryos that developed to the 2 cell and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culture medium (5% FBS + NCSU-23 or 5% FBS + TL-Heaps) or by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5% vs 10%). Rates of development to the 2 cell stage ranged from 65.9% to 70.1%, and development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ranged from 9.8% to 12.5% for the four treatment subclasses. Developmental rate was highest for embryos cultured in 5% FBS + NCSU-23 under a gas atmosphere of 5% in air.

      • KCI등재

        EGF, 와 Glucose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핵 이식 배의 발생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전연화,김상근 韓國受精卵移植學會 2005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자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와 였으며 EGF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 KCI등재후보

        개 난소의 보존, 난자의 배양시간 및 난구세포 부착 유무가 난자내 정자의 침입율에 미치는 영향

        전연화,왕애국,한영호,이규승,김상근 韓國受精卵移植學會 2004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개의 불임해결과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목적으로 난소의 보존 및 난구세포의 부착 여부가 신선 및 동결 개 정자를 이용한 투명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적출한 난소를 4 와 salt에 각각 48시간 보존 후 회수한 난구세포 부착 난자와 나화난자의 정자침입율은 각각 62.5%, 37.5% 및 42.5% 및 22.4%로서 난소를 적출 후 곧 바로 회수한 난구세포 부착 및 나화난자 내 정자침입율인 93.3%와 56.7%에 비해 현저히 낮

      • 번식주기의 단계별로 회수한 고양이 난자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연화,이명헌,김상근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28 No.1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phology, reproductive cycle, incubation time and activation of oocytes on in vitro maturation of cat oocytes and development of IVM/IVF embryo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recovered from ovaries collected at different stages of the reproductive cycle (inactive, follicular and luteal stage), the developmental rates of oocytes to GV and MI stage were 72.5% and 27.5%, 57.5% and 7.5%, 62.5% and 17.5%, respectively. 2. The developmental rates of oocytes with cumulus cells to GV and MI stage in different conditions of incubation (5% CO₂, 95% O₂ and 10% CO₂, 90% O₂) were 70.0% and 27.5%, 52.5% and 20.0%, 55.0% and 12.5%, respectively. 3. The developmental rates to GV and MI oocytes when cultured at different time of incubation (17∼20, 21∼24, 25∼28 and 29∼32 h) were 67.5% and 20.0%, 67.5% and 30.0%, 62.5% and 22.5%, 65.0% and 15.0%, respectively. 4. The fertilization and cleavage rates of freshly collected oocytes with and without cumulus cells were 72.5% and 25.0%, 37.5% and 7.5%, respectively. The rates were greater in oocytes with cumulus cells than those without cumulus cells. 5. The fertilization and cleavage rates of oocytes recovered from ovaries collected at different stages of the reproductive cycle (inactive, follicular and luteal stage) were 75.0% and 25.0%, 40.0% and 7.5%, 50.0% and 15.0%,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