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규범, 사회인습, 틀린믿음에대한 아동의 이해

        전시현,이현진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4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conventional rules and its relations with false belief understanding in Korean children. In an Experiment, thirty 4- and 5-year-olds were asked to judge the protagonists’ behaviors at 4 different criteria and also to respond to the false belief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distinguished between moral and conventional rules at some criteria (i.,e., rule-contingency and punishment), but not at other criteria (i.e., nonpermissibility and personal selection). As the age level goes up, the false belief understanding increases. As for the relations between understanding of moral/convention rules and false belief, the false belief understanding was correlated with neither moral judgment nor conventional judgment at 4-year-olds, but was correlated with both of them at 5-year-olds.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increase of the false belief understanding might affect on understanding of moral/conventional rules.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도덕규범 및 사회인습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이해를 살펴보고 이러한 이해가 틀린믿음 이해와 관련되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4세와 5세 아동에게 도덕규범과 사회인습적 사건에서 비허용성, 규칙의존성, 개인선택, 처벌의 4가지 준거에 따라 이야기 주인공의 행동을 판단하게 하고, 틀린믿음 질문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규칙의존성 준거에서 도덕규범과 사회인습을 구분하였지만 비허용성, 개인선택, 처벌 준거에서는 구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규범과 사회인습의 구분이 개념적이라기보다는 준거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을 보여준다. 틀린믿음에 대한 이해는 연령이 높을수록 증진되었다. 또한, 틀린믿음과 도덕규범 및 사회인습 간의 관계에서 4세 아동의 경우 틀린믿음 이해가 도덕규범 판단이나 사회인습 판단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5세 아동의 경우에는 이들 간에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들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다른 사람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이러한 마음이해 능력이 도덕규범이나 사회인습 판단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해준다.

      • 관혈적 정복술 후 골이식 없이 치료한종골 골절의 방사선학적 평가

        전시현,송광순,전재홍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2

        목 적:전위성 관절내 종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관혈적 정복시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은 증례의 결과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골이식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1 9 8 9 년 6월부터 1 9 9 8 년 7월까지 종골 골절로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고정술을 시행하고골이식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3 5명 4 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측면사진에서 융기관절각(Bohler angle), 십자각(Gissane angle), 종골의높이/넓이의 비를술 전, 술 후, 장기 추시 등 3시점에서 측정하여 변화의 정도를 관찰하였고, 골절의 양상, 고정 방법,연령, 성별 등의 요소에 따른 변화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결 과: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방사선학적으로 융기관절각은 술 전 평균 -7 ± 18 도, 술 후 2 1± 7 도로 회복되었으며, 최종 추시 상 19 ± 7 도로 술 전과 최종 추시 상 비교하여 평균 2 8도의 증가가 발생하였다. 십자각은 술 전 104 ± 17.87 도에서 술 후 106.2 ±1 0 . 0 7 도, 최종 추시 104.48 ± 1 0 . 1도로 조사되었으며, 높이/넓이의 비율은 술 전 0.568 ±0.076, 술후 0.637 ± 0.037, 최종추시 0.648 ±0 . 0 3 8 로 조사되었다. 골절의 양상, 고정 방법, 연령, 성별 등에 따라서 분류하여 각각의 수치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P > 0 . 0 5 ) .

      • 장관골 단순성 골낭종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결과

        전시현,송광순,김철용,Jeon, Si-Hyun,Song, Kwang-Soon,Kim, Chul-Y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장관골 단순성 골낭종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2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장관골 단순성 골낭종에서 병적 골절을 동반한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세에서 19세까지 평균연령 9세였고, 남자 11명, 여자 1명이었으며 추시 기간은 12개월에서 69개월까지 평균 32.9개월이었다. 병적 골절에 대하여 일차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원칙적으로 하였으며, 전위가 있는 체중 부하부위 골절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골절 유합 후 남은 잔존 병소에 대하여 국소적 스테로이드 주입법, 피질천공술 또는 소파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였으며 골유합 소견이 보이면서 골낭종의 치유소견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처치 없이 관찰하였다. 추시 기간 중 효과 판정 방법은 낭종이 완전히 치유된 경우를 우수(excellent), 낭종이 치유 되가는 과정을 보인 경우 양호(good)로 판정하였으며, 낭종의 크기의 변화가 없거나 계속 커지는 경우를 불량(poor)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병적 골절은 보존적 치료(9예)와 관혈적 정복술(3예)을 통하여 전례에서 유합 소견을 보였다. 골유합 후 골낭종의 치유소견이 보여 특별한 처치 없이 관찰한 6예에서 양호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잔존병소가 지속되는 6예에 대해서는 국소적 스테로이드 주입법(3예), 피질 천공술(1예) 또는 소파술 및 골이식술(2예)을 시행 후 양호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단순성 골낭종에 동반된 장관골 병적 골절의 치료에서 전위가 없거나 도수 정복이 가능한 경우 보존적 치료가, 체중 부하부위의 전위골절의 경우 관혈적 정복술이 좋은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또 병적 골절의 골유합 소견을 얻은 후 골낭종의 치유소견이 나타나는 경우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며, 잔존 병소가 지속되는 경우 이차적 치료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suggest an appropriate treatment modality regarding analyze outcomes of treatment for pathologic fracture to simple bone cyst of the long bone.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12 cases with pathologic fracture of the long bone among the 31 cases treated for simple bone cyst from December. 1993 to May. 2001. The mean age was 9 years ranged from 2 years to 19 years, male was 11 cases and female was 1 cases, and the mean follow up interval was 32.9 month ranged from 12 month to 69 month. The principle of treat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the long bone was conservative treatment except operative treatment for fracture with displacement of the femur. After fracture was united, the residual lesion was treated by local steroid injection, cortical drilling, curettage & bone graft. But we observed without specific treatment in cases that had healing process of simple bone cyst followed by bony un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as exellent if simple bone cyst was completely healed, as good if that had process of healing, as poor if that was no change or more increased in size. Results: The pathologic fracture was united in all cases treat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in 9cases and by 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 in 3 cases. After fracture was united, the 6 cases were observed without specific treatment, because they had healing process of cyst, and had outcomes as good and excellent. Conclusion: We suggest to need observation when simple bone cyst has healing process after pathologic fracture was united, otherwise secondary treatment will be needed when residual lesion is persis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성인 고관절 내반고증의 전자간 외반 절골술

        강창수,송광순,전시현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8 계명의대학술지 Vol.17 No.2

        저자들은 1998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본 교실에서 시행한 젊은 성인 내반고 11례에 대하여 전자간 외반 절골술을 시해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의 깊게 선택한 대상자에게서 시행한 성인 내반고에 대한 전자간 외반 절골술로 임상적으로는 동통의 호전, 하지 부동의 교정, Trendelenburg징후의 음성화를 얻을 수 있었고, 또한 대퇴경간각과 골두ㆍ전자간 거리를 교정함으로써 정상에 가까운 생역학을 얻어 장기적으로는 고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예방과 경도 및 중등도의 골관절염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Many cases of osteoarthritis of the hip are theoretically preventable if the predisposing deformity can be prevented or corrected before the osteoarthritis begins. Coxa vara is one of theses predisposing deformity. For many patients, intertrochanteric osteotomy relieve pain and allows more extensive procedures to be done late if necessary. We analyzed radiologic change and clinical results in 11 patients (4 developmental coxa vara and 7 Legg-Calve-Perthes disease sequelae ) who had undergone intertrochanteric valgus osteotomy for coxa vara from January 1988 to January 1996 and followed up between 2 and 10 yea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Pain relieved in 9 cases(82% 2. The leg lengthened average 1.70 cm (Preoperative average leg length discrepancy was 2.04 cm). 3. Trendelenburg sign was negative in 9 cases. 4. Femoral neck-shaft angle was corrected from a mean of 111.27 degrees to a mean of 130.73 degrees. 5. Head-trochanteric distance was corrected from a mean of-1.39 cm to a mean of + 0.52 cm.

      • KCI등재
      • KCI등재
      • CLS 대퇴 스템을 이용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고관절 전치환술

        민병우, 전시현이경재 대한고관절학회 2002 Hip and Pelvis Vol.14 No.2

        Total Hip Arthroplasty with the CLS Stem in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Byung Woo Min, M.D., Si Hyun Jeon, M.D., Kyung Jae Lee, M.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